• 제목/요약/키워드: Role Based Access Control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6초

FuRBAC 모델 : 권한위임이 기능단위로 설정 가능한 역할 기반 접근제어 모델 (FuRBAC : Function-Unit Delegation On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 최준영;조남덕;윤이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9
    • /
    • 2006
  • 역할 기반 접근제어 모델은 접근 권한이 역할(role)에 부여되고 사용자는 적절한 역할에 소속됨으로서 역할의 수행에 필요한 최소 자원만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RBAC의 중요한 논점 중에 하나인 위임의 문제를 권한 위임, 관리, 감독에 있어 실제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 수준에서 기능단위로 적용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위임을 기능단위로 하면 역할을 직접 위임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위임으로 인한 권한 적용 오류를 최소화된다. 또한 위임에 따른 보안문제를 감독하기 위해 승인부분을 추가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보안통제가 강화된 접근제어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e of Access Control System with Enforced Security Control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엄정호;박선호;정태명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71-8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 각종 정보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황인식 기술 및 직무-역할 기반의 접근제어 시스템(CAT-RACS)을 설계하였다. CAT-RACS은 상황정보에 따른 정책 구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황-역할 개념과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보안등급 속성을 추가한 접근제어 모델(CA-TRBAC)을 적용하였다. CA-TRBAC는 사용자의 직무와 역할이 접근제어 조건에 합당할지라도 상황이 접근제어 조건에 부합하지 않거나, 역할과 직무가 접하려는 객체의 보안등급과 일치하지 않거나 하위 등급일 경우에는 접근을 허가하지 않는다. CAT-RACS는 상황인식 보안 매니저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접근제어 등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황정보 융합 매니저를 통해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 제공과 보안정책 구성에 필요한 상황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보안정책 매니저를 통해 CA-TRBAC 정책, 사용자 인증 정책, 보안 도메인 관리 정책을 관리한다.

A Role Based Access Control Method Considering Tasks in the Mobile Agent-based Workflow System

  • Jeong, Seong-Min;Han, Seung-Wan;Lim, Hyeong-Seo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1
    • /
    • pp.549-552
    • /
    • 2000
  • We address an access control in the mobile agent-based workflow system. The Role Based Access Control (RBAC) is suitable to model the access control for business processes. However, current RBAC models are not adequate to mobile agent-based workflow system. Because separation of duties becomes complicated and it is impossible to perform several workflows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se problems, we limit the scope of privilege within the specified task. We define considerations, specification of constraints needed in RBAC when tasks are involved. Also, we present an access control scenario and algorithms in the mobile agent-based workflow system.

  • PDF

Extended Role-Based Access Control with Context-Based Role Filtering

  • Liu, Gang;Zhang, Runnan;Wan, Bo;Ji, Shaomin;Tian, Yu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3호
    • /
    • pp.1263-1279
    • /
    • 2020
  • Activating appropriate roles for a session in the role-based access control (RBAC) model has become challenging because of the so-called role explosion. In this paper, factors and issues related to user-driven role management are analysed, and a session role activation (SRA) problem based on reasonable assumptions is proposed to describe the problem of such role management. To solve the SRA problem, we propose an extended RBAC model with context-based role filtering. When a session is created, context conditions are used to filter roles that do not need to be activated for the session. This significantly reduces the candidate roles that need to be reviewed by the user, and aids the user in rapidly activating the appropriate roles. Simulations a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extended RBAC model is effective in filtering the roles that are unnecessary for a session by using predefined context conditions. The extended RBAC model is also implemented in the Apache Shiro framework, and the modifications to Shiro are described in detail.

역할기반 접근제어에 기초한 사용자 수준의 위임 기법 (User-Level Delegation in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 심재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9-62
    • /
    • 2000
  • Role-Based Access Control(RBAC) has recently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 alternative to traditional discretionary and mandatory access control to apply variant organizations function hierarchy of commercial or govemment. Also RBAC provides a delegation that is one of control principles in organization. In general delegation occurring in real organization is performed by an user giving permissions to another user. But, RBAC cannot implement these user-level delegation correctly. And delegation result in security problem such as destroying separation of duty policy information disclosure due to inappro-priate delegation. Besides security adminsitrator directly deals with that problem. In this thesis we suggests some methods that is created by the user.

u-Healthcare 시스템을 위한 RBAC-WS (Role-based User Access Control with Working Status for u-Healthcare System)

  • 이봉환;조현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2호
    • /
    • pp.173-180
    • /
    • 2010
  • IT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환자들의 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진료가 가능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다른 병원의 의사나 연구원 또는 환자의 가족들에게 의료 정보를 공개하도록 의료법이 개정되면서 사용자 관리와 프라이버시 침해라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역할 기반 접근제어 모델에 기반한 사용자 접근 모델은 제안한다. RBAC 모델은 효율적인 사용자 관리 및 접근 제어를 제공하지만, 악의를 가진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역할을 가지고 정보를 유출하고자 할 경우 막을 방법이 없다. 이러한 RBAC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working status" 파라미터를 역할 속성과 연동하는 RBAC-WS 모델을 제안하였다. 역할에 working 속성을 연동함으로써 허가를 받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업무 외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함으로서 내부자에 의한 정보유출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RBAC을 위한 함수를 개발하여 도메인이 서로 다른 헬스케어 시스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RBAC-WS 모델의 기능 분석을 위하여 Healthcare 시스템 중 널리 사용되는 PACS에 적용하였다.

TRBAC의 워크 플로우 과업을 고려한 과업역할할당(TRA) 모델 (An Task-Role Assignment Model for Workflow Task of TRBAC)

  • 박동규;임황빈;황유동;정지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하)
    • /
    • pp.936-940
    • /
    • 2002
  •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Role-Based Access Control)의 개념은 접근통제의 전통적인 강제적 접근통제(MAC, Mandatory Access Control) 및 임의적 접근통제(DAC, Discretionary Access Control)의 대안으로서 많은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역할기반 접근통제를 워크 플로우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에 의무 분리가 복잡해지고, 의무분리를 통해 상호 배타적인 역할을 가지지 못하게 했을 때 서로 관계없는 워크 플로우를 동시에 처리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 환경의 특성으로 고려한 과업 역할기반 접근제어 모델(TRBAC: Task Role Based Access Control)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TRBAC의 워크 플로우 과업 관리를 위하여 과업(Task)을 역할(Role)에 할당하는 과업 - 역할할당(TRA)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한다.

  • PDF

RBAC을 이용한 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성이 강화된 문서 DRM 구현 (An Implementation Method of Improved Document DRM for Preventing Information Leakage using RBAC Approach)

  • 최영현;엄정호;정태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7-66
    • /
    • 2011
  • We implemented the document DRM applying role based access control(RBAC)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information leakage of a document which is transmitted in network environment. It must prevent to access document not related to user role and duty, and must allow operation to document for improving security, considering user role and security level according to a document importance. We improved the security of document DRM by adding to the access control module applying RBAC for satisfying security requirements. Though the user access document, our system allows operation authorizations to document by the user's role & security level and the security attribute of RBAC. Our system prevents indiscriminate access to the documents by user who is not associated with the role, and prevents damage the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의 역할에 기반한 접근제어 프레임워크 설계 및 안전성 평가 (Design and Safety Analysis of a Role-Based Access Control Framework for Mobile Agents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 정용우;고광선;김구수;엄영익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6호
    • /
    • pp.537-544
    • /
    • 2007
  • 홈 네트워크 환경은 가정내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이 네트워크로 통합한 최첨단 생활환경으로써, 이동 에이전트는 이러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새로운 컴퓨팅 요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동 에이전트의 이동성과 비동기적 수행능력은 가정내의 디지털 기기들을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해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감소 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 에이전트를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동 에이전트에 대한 접근제어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홈 서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접근제어를 수행한다. 홈 서버는 디지털 기기와 사용자의 권한을 명시하는 접근제어 목록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로 접근하는 사용자에 대한 접근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홈 서버는 디지털 기기와 사용자의 권한 간의 최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접근제어 목록을 갱신하는 추가적인 연산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동 에이전트의 역할에 기반한 접근제어 프레임워크(Secure-KAgent)를 보인다. 본 프레임워크는 Role-Based Access Control(RBAC)을 기초한 접근 권한의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롤 티켓(Role ticket)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에이전트에게 안전한 역할 분배를 보장한다.

역할 명세 인증서의 구조화에 의한 효율적 역할기반 접근제어 기법 (An Efficient Role Based Access Control Technique by Structuring of Role Specification Certificate)

  • 양수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9
    • /
    • 2005
  • 속성 인증서를 이용한 역할기반 접근제어를 함에 있어서 역할 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해 역할 할당 인증서와 역할 명세인증서를 활용하면 역할의 변경에 따른 갱신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과 같은 고도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는 광범위한 통제 구조를 가질 수 없으므로 이를 고려한 속성 인증서 관리 기법이 요구된다. 역할 명세 인증서를 따로 두는 경우 역할 관리 비용이 줄어드는 바, 더 나은 성능향상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역할 명세를 구조화하여 효율적 역할기반 접근제어를 위한 속성 인증서 관리 기법을 모색한다. 역할을 그룹화하여 역할 명세 인증서의 관계구조 트리를 구성하여 분산된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역할의 갱신과 분배를 달성한다. 규모 확장성을 위해 멀티캐스팅 패킷을 사용한 역할 명세 인증서 분배를 하며, 그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패킷 손실율을 고려한 성능분석을 하여 역할 그룹을 두어 역할 명세 인증서를 구조화하는 것이 성능을 향상시킴을 정량적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