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Traffic Facilities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초

교차로에서의 도로·교통안전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 추정 (Estimating Traffic Accident Reduction Effect of Road Safety Facilities in Intersesctions)

  • 윤여일;이수범;임준범;박길수;문정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42
    • /
    • 2017
  •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하여 도로상에 도로안전 관련 시설물을 설치함으로써 도로 환경적 요인에 대한 결함을 제거하는 대표적 교통안전개선사업이다. 그러나 개선사업으로 인해 설치된 각 시설물들에 대한 효과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로 교통안전 관련 시설물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최근 2004년부터 2013년까지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공사가 완료된 4,171개 지점을 대상으로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5가지 시설물에 대한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교통사고에 대해서는 교통섬 4.45%, 표지병 32.17%, 과속단속카메라 24.13% 사고감소 효과를 나타냈으며, 반면 무단횡단금지시설 0.61%, 미끄럼방지포장은 1.67% 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지병, 무단횡단금지시설, 미끄럼방지포장과 같이 국토교통부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에서 특정유형의 교통사고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언급된 시설물들의 교통사고 감소효과도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지병은 악천후 시 교통사고에 대해서 52.96%, 무단횡단금지시설은 차대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해서 62.77%, 미끄럼방지포장은 추돌사고에 대해서 26.60%의 순수 교통사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치영상처리 및 패턴 인식에 의한 도로교통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안 연구 (A Study of Effective Method to Update the Database for Road Traffic Facilities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 최준석;강준묵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1-37
    • /
    • 2012
  • 도로의 확장 및 신규 도로의 설치로 인하여 도로교통시설물의 변경 및 신규설치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및 운전자의 증가와 함께 교통안전을 위한 도로 및 교통안전표지는 지속적인 증설과 관리가 요구된다. 도로 시설물 중 교통안전표지판을 신속하게 갱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통안전표지판에 대하여 자동인식기능을 개발하고 위치정확도를 분석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효율적 갱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좌표측정을 위한 전방위 카메라 표정요소 산출, GPS/IMU/DMI 통합시스템 구축 및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수치지형도의 도로시설물 DB의 효율적 갱신방법을 제시하였다.

속도저감형 시설이 차량 주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n the Vehicle Running Speed Analysis according to the Speed Reduction Road Facilities)

  • 강수철;유순덕;조규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58-170
    • /
    • 2016
  • It has been applied several ways in order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and speed management on the road which is one of very important factors to prevent accidents.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whether the facility such as the flashing and crosswalk, speed cameras and intermittent warning signs affect on a driving deceleration or not. It has been shown that the flashing and crosswalk and speed cameras except intermittent warning signs play a role of reducing the driving speed. The result showed that these traffic safety facilities help to improve the average speed as well as velocity distribution which was derived by the speed deviation even if there were the difference between facilities. Speed limit display does not affect the deceleration of the driver. Therefore, it was founded in this research that there were the driving speed reduction effect due to the facilities on the road. In order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n the road, it is necessary to install facilities with appropriate location and spacing on the road. In addition, place that turns out suppressed speeding through speed management also are required adequate facilities such as speed cameras.

교통안전진단 결과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요인분석 - 사고자 요인을 중심으로 - (A Factor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Traffic Safety Diagnosis Results - Driver Factor -)

  • 이환승;안병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8-137
    • /
    • 2006
  • Traffic accidents occur due to complex influences of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ers, and road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education and surroundings for transportation companies, driving habits of drivers, and road safety facilities and accessory facilities were main factors that affected strongly traffic accidents. Also, it found that driving habits of drivers could affect accidents heavily more than two other factors. Road safety and accessory facilities were analysed that they affected traffic accidents independently with transportation companies and their own driver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a traffic accident prevention as our main target, those companies need to produce atmosphere that their own drivers can have safety awareness, and related institutions for the above target should run parallel with policy assistance and strict traffic enforcement. In the end, this study suggests that transportation companies should secure manpower wholly being charged with traffic safety and financial resources investing in it.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관제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Road Traffic Safety Facilities Equipment and Devic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고정호;한음;이은진;이보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673-674
    • /
    • 2023
  • 도로교통의 안전 확보와 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찰청에서 규격 또는 지침으로 제정하여 노변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 장치는 교통신호정보를 받기 위한 통신선과 함께 장치 구동을 위한 전원선을 개별로 시공해야 하기에 시공 비용의 절감과 함께 다종·다형의 장치에 대하여 통합적인 관제, 확장성, 유연성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통신을 기반으로 전원 공급이 하나의 케이블로 가능한 이더넷 전원장치(PoE) 기술과 IoT 프로토콜인 MQTT를 이용하여 다종·다형의 교통안전시설 장치를 통합관제하고, 확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Message Broker-Based Real-Time Control Method for Road Traffic Safety Facilities Equipment and Devic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JeongHo Kho;Eum H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95-209
    • /
    • 2024
  • 1990년대 개발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춘 교통신호제어기는 최근 도로 이용자의 교통안전 향상 및 자율협력주행 등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들에 대한 전원공급 문제와 다양한 통신방식, 계층화된 블랙박스 구조 등으로 인해 유연성과 확장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전원장치(PoE : Power over Ethernet) 기술을 통해 직류(DC) 전원 사용과 전원공급 문제를 해결하고, 메시지 브로커(Message Broker) 기술을 통해 중앙화된 데이터 기반 제어를 함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교통환경에 대응이 가능한 교통안전시설 통합관제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교통안전시설 장치를 위한 데이터 기반 실시간 제어 방안을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라인스캔 카메라를 이용한 도로 안전시설 설치간격 및 높이측정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Syste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for Measuring installation Interval and Height of Road safety Facilities Using a tine Scanning Camera)

  • 문형철;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31-237
    • /
    • 2008
  • 선진국의 기본 요건들 중 하나는 잘 정비된 교통인프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해외에서는 각종 교통안전시설에 대해 객관적인 상태평가를 기초로 하여 시설을 관리하는 자산관리(Asset Management)측면에서 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도로관련 각종 안전시설은 매우 다양하며, 기능 또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치 규정 및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 그러나 설치기준 및 지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이 기준에 부합되게 설치되지 않아 오히려 도로이용자에게 불편함 뿐 아니라, 안전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도로안전시설 중 도로의 설계(운영)속도 및 기하구조에 따라 설치 간격 및 높이들이 규정화 되어있는 시설에 대해 라인스캔카메라를 이용, 이를 신속하게 측정 가능한 영상분석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매우 정확하게 시설의 크기와 설치간격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센서 기반의 교통시설물 서비스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 이용주;김지소;장훈;정진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5-4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 건설에 따른 도시 기반시설물의 관리 중 특히 교통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센서 기반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 내외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를 교통흐름관리, 교통정보제공, 도로 구조 형성 3개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USN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아 미래의 u-City 건설 지역에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교통 이용편의와 교통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센서기반의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대터널의 사례에 기반한 대심도 지하도로 교통시설 및 운영 개선방안 (Study on the Ways to Improve Deep Underground Road Facilities and Operation Based on the Cases of Longitudinal Tunnel)

  • 최종철;임준범;홍지연;이성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2-131
    • /
    • 2015
  • Recently, starting with the deep underground road construction plan in Seobu Expressway, Korea, there area many studies on deep underground roads to be newly built. However, there is an extreme lack of safety standards, which does not consider traffic conditions and road driving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safety elements to reflect in the deep underground road planning by analyzing driving stability of longitudinal tunnels with road environments, which resemble deep underground roads. For comprehensive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accidents that have occurred in seven longitudinal tunnels with a length of 2km or over in Gangwon area, were collected. Specifically, geometric structures and facilities of each tunnel were investigated. Also, the present state of facility installation and the changes in driving speed of vehicles passing through each tunnel were observed to analyze the causes for the traffic accidents in each tunnel and accident reduction alternatives.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 accidents in the tunnels resulted from the changes of traffic flow due to the abrupt speed reduction of forward vehicles, or the failure in speed control of following vehicles during the traffic congestion situation. Moreover, installing facilities such as plane and longitudinal curves, median strips and marginal strips seem to induce consistent driving speed. These results mean that for accident prevention, speed management must be preceded a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ntroduce safety facilities actively to control the driving flow of forward and following vehicles.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의 인적교통사고 심각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lderly's and Non-elderly's Human Traffic Accident Severity)

  • 이상혁;정우동;우용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3-144
    • /
    • 2012
  • 본 연구는 교통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 간의 교통사고요인을 파악하여 각 요인들이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나이에 의해 구분된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을 교통사고자료를 이용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재분류하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심각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교통시설, 도로환경, 개인별특성에서 17개 독립변수로 정하여 순서형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사고 당사자의 연령뿐만 아니라, 사고유형이나 운전자 개인의 특성, 도로환경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은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변수의 종류와 크기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적합한 교통시설이 개선된다면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