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Patterns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3초

Injury trends among foreign and domestic tourists in Jeju from 2008 to 2018

  • Hwang, Ki Sang;Lee, Sung Kgun;Song, Sung Wook;Kim, Woo Jeong;Kang, Young Joon;Kang, Kyeong Won;Park, Hyun Soo;Park, Chang Bae;Kang, Jeong Ho;Bu, Ji Hwan;Ko, Seo Young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8-13
    • /
    • 2022
  • Jeju is the largest island in Korea and one of its key tourist attractions. As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steadily increases, so does the number of injuries incurred ther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injuries suffered by foreign tourists versus those of domestic tourists. As a cross-sectional study of a retrospective medical record surve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reference to the Jeju Injury Surveillance System from the 11-year period of January 2008 to December 2018. The follow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demographic data, mechanism of injury, place of occurrence, activity when injured, patient outcome, and mortality. A total of 92,095 injured Jeju Island visitors was recorded during this time, a number that included 88,050 Koreans and 4,045 foreigners. The gender ratio showed similar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age differences. In both groups, the most common mechanism of injury was collisions/cuts. Also, more foreigners experienced falls than Koreans. Regarding the location, Koreans had the most road accidents, while foreigners were most likely to be injured at outdoor locations, such as seas and rivers. Furthermore, more foreigners experienced severe injuries requiring hospitalization. Notably,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in injury between foreign and Korean tourists visiting Jeju Island and its findings lend support to targeted safety promotion programs.

제약 조건에서의 예보를 위한 기상 응용의 실행 패턴 분석 (An Analysis of Execution Patterns of Weather Forecast Application in Constraints Conditions)

  • 오지선;김윤희
    • KNOM Review
    • /
    • 제22권3호
    • /
    • pp.25-30
    • /
    • 2019
  • 기상 응용의 경우 시간적, 자원적 한계 내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제공해야 한다. 수많은 과거 데이터를 통한 예보는 시간적인 소요가 크며, 국지성 태풍 예보와 같은 재난 안전 관련 분석/예측의 경우에는 여전히 자원적 한계가 존재한다. 태풍 예보, 도로별 침수/홍수 지역 예측 서비스 등 시간 제약하에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 경우와 제한적인 물리적 환경 조건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 없이 적합한 예보를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적, 자원적 조건에서도 원활한 예보 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상 및 기후 예측 응용을 분석한다. 격자 크게 따른 수행 시간 분석을 통해 격자 조절을 통해 시간적 제약 조건이 있는 경우에 대처할 수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메모리 자원 조절을 통해 수행 시간을 분석하여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 자원 조건을 확인하였으며 swap, mlock 분석을 통해 응용의 자원 사용 패턴을 확인하였다.

Traumatic degloving injuries: a prospective study to assess injury patterns, management, and outcomes at a single center in northern India

  • Divij Jayant;Atul Parashar;Ramesh Sharma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4호
    • /
    • pp.385-39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pidemiology, management, outcomes, and postoperative disabilities of degloving soft tissue injuries (DSTIs) treated at a tertiary care center in northern India. Methods: A prospective study of patients with DSTIs was conducted over 15 months. The type of degloving injury, the mechanism of injury, and any associated injuries were analyzed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WHODAS) 2.0 along with the management, outcomes, and disabilities at a 3-month follow-up. Results: Among 75 patients with DSTIs, the average age was 27.5 years, 80.0% were male, and 76.0% had been injured in traffic accidents. The majority (93.3%) were open degloving injuries. Lower limbs were affected most often (62.7%), followed by upper limbs (32.0%). Fractures were the most commonly associated injuries (72.0%). Most patients required more than two procedures, including secondary debridement (41.3%), split skin grafting (80.0%), flap coverage (12.0%), or vacuum-assisted closure (24.0%), while five patients underwent conservative management for closed degloving injuri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surgical site infections (14.7%) and skin necrosis (10.7%). Two patients died due to septic shock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The mean length of hospital stay was 11.5±8.1 days, with injuries affecting the lower limbs and perineum requiring longer hospital stays. The mean WHODAS 2.0 disability score at 3 months was 19. Most patients had mild disabilities. Time away from work depended largely upon the site and severity of the injury. Approximately 75% of patients resumed their previous job or study, 14% changed their job, and 8% stopped working completely due to residual disability. Conclusions: DSTIs are common injuries in trauma and management is challenging. Although open DSTI are clinically evident at secondary survey, closed degloving injuries may be missed in the primary survey, necessitating a high index of suspicion, thorough clinical examination, and protocol-based management. Primary preventive strategies (e.g., road safety protocols, preplacement training, and proper protective equipment in industries) are also need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these injuries.

온도조건 비영향형 복합재생방식 DPF의 실차적용을 통한 대형디젤기관의 배출가스 특성 연구 (A Study on Exhaust Gas Characteristics of Heavy-duty Diesel Engines through Actual Vehicle Application of Non-influenced Temperature Condition Type Active Regeneration Method)

  • 이윤철;오상기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59
    • /
    • 2024
  • Cars are one of the main causes of air pollution in large cities, and 34.6% of domestic air pollution emissions come from mobile sources, of which cars account for 69.6%.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nitrogen oxides (NOx) and particulate matter (PM), which are major pollutants in diesel vehicles, is increasing due to their high contribution to emiss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natural regeneration caused by low exhaust gas temperature during low speed and low load operation was solved by applying a complex regeneration DPF that is not affected by temperature conditions to large diesel vehicles with higher driving time and engine displacement than small and medium-sized vehicles. And the feasibility of application to large diesel vehicles was reviewed by measuring the emission reduction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reduction efficiency test on the actual vehicle durability product, PM showed a reduction efficiency of 84% to 86%, and the reduction efficiency of gaseous substances showed a high reduction efficiency of over 90%. The actual vehicle applicability test was completed with three driving patterns: village bus vehicle, police car, and road-going construction equipment vehicle, and no device problems occurred until the end of the test. Both load and no-load smoke measurement results showed a smoke reduction efficiency of over 96%.

자기보고 기반 운전성향을 통한 주행행태 특성 추정 연구 (Estimation of Driving Behavior Characteristics through Self-Reported-Based Driving Propensity)

  • 황순천;이동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26-41
    • /
    • 2024
  • 안전한 도로교통 환경 조성을 위하여 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요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실제 주행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별 인적요인 특성을 도출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개별 운전자의 자기 보고를 통하여 도출되는 위험운전성향을 분석하여 주행 행태 특성과 상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교통상황에 따른 주행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성향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고안된 설문 기법을 활용하여 실험 참가자들의 위험운전성향을 여러 방법으로 도출하고, 가상환경 기반의 주행 시뮬레이터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주행행태 특성을 분석하여 위험운전성향과 주행행태 특성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형 DBQ를 통하여 도출되는 난폭운전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빠른 주행속도와 가속도 행태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위험운전행동을 보이는 운전자를 추정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지역의 모델 패턴을 활용한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의 감염가능 지역 분석 (Analysis of Potential Infection Site by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Using Model Patterns of Avian Influenza Outbreak Area in Republic of Korea)

  • 엄치호;박선일;배선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0-74
    • /
    • 2017
  •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이하 GIS)은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이하 HPAI)의 예찰, 역학조사, 감염농장 관리, 예방적 살처분 실시, 청정화 진행 등 질병관리를 위한 전 과정에서 공간 위치정보의 관리와 표현 그리고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2011년 구제역 발생으로 큰 피해를 본 이후, GIS와 연계된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orea Animal Health Integrated System: 이하 KAHIS)를 구축하여 가축전염병 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농장 및 축산관련 시설과 차량에 대한 관리 및 모니터링 수준의 KAHIS 방역통합시스템은 HPAI 예찰 및 방역에 역부족이다. 따라서 KAHIS시스템과 더불어 효율적 가축질병(HPAI) 관리를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기준 HPAI 감염농장의 특성을 바탕으로 차후 HPAI 감염 가능 농장을 예측하였다. HPAI 감염농장 특징 분석을 위하여 권역별 HPAI-양성농장의 개수와 밀도 및 가금사육 두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HPAI-양성농장의 82.4%가 전라지역과 충청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위 두 지역에 위치한 HPAI-양성농장(충청지역: $4.2{\pm}5.6$, 전라지역: $2.2{\pm}1.1$)은 HPAI-음성농장(충청지역: $1.8{\pm}1.5$, 전라지역: $1.7{\pm}0.7$)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은 밀도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HPAI-양성농장의 92.4%에서 가금두수 최소 6,537에서 최대 24,250를 사육하고 있었다. 위의 HPAI 감염농장 특징은 GIS Multiple Ring Butter(MRB) 기능을 이용하여 차후 HPAI 감염 가능 농장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철새도래지 반경 30km(386개)와 35km(407개) 내 위치한 HPAI-양성농장의 수는 HPAI 확산 후 전국 감염농장(429개)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철새도래지 반경 30km 내 위치한 일반가금농장 중 하천 반경 1-1.5km와 지방도로 반경 1km에 중첩되는 지역에 위치한 일반가금농장의 개수(324-409개) 및 지리적 위치는 2014년 HPAI-양성농장의 개수(386개)와 90.0% 그리고 지리적 위치와 54.8%의 유사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철새도래지의 위치정보와 가금농장의 위치 및 사육가금두수의 정보를 토대로 GIS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발생할 HPAI 발생농장에 대한 추이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한 동북부지역 도로에서 뱀류 로드킬의 양상 (Patterns of Snake Roadkills on the Roads in the Northeast Region of South Korea)

  • 박대식;정수민;김성규;라남용;이정현;김자경;김일훈;김대인;김석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53
    • /
    • 2017
  • 도로의 건설에 따른 불가피한 생태계 피해들 중 도로상에서 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 로드킬이 있으며, 특히 산간지대가 많은 지형적 특성에 따라 국내에서 로드킬은 특별히 관심을 받고 있다. 로드킬은 야생동물 개체군 감소의 한 원인으로 종종 언급되고 있다. 국내에서 포유류, 조류, 양서류 등과 같이 파충강(Reptilies) 중 뱀류의 로드킬 역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에서 뱀류 로드킬 발생 경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2007년 5월부터 2012년 9월 사이에 강원도 지역을 주로 포함하고 일부 경기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을 포함하는 남한 동북부 지역에 고속도로를 제외한 일반도로를 대상으로 뱀류 로드킬을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10종 155건의 로드킬이 발견되었는데, 그들 중 유혈목이(Rhabdophis tigrinus), 쇠살모사(Gloydius ussuriensis), 누룩뱀(Elaphe dione), 능구렁이(Dinodon rufozonatus), 살모사(Gloydius brevicaudus) 5종이 전체 로드킬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로드킬은 먹이를 찾아다닐 것으로 예상되는 뱀류가 그렇지 않은 뱀류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수컷의 비율이 암컷보다 높았고, 성체의 비율이 아성체보다 높았다. 계절적으로는 9월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해발고도 상으로는 200-400m 사이에서, 도로 가장자리의 환경 특성으로는 산-도로-수계와 산-도로-농경지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뱀류 로드킬의 경향을 파악하고, 해당 지역들에서 뱀류를 위한 로드킬 저감방안 수립 및 시행시 대상 지역 및 위치선정, 대상종의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전(東傳) 연주문의 변천과정 비교연구 -5세기~10세기 벽화복식 및 출토 직물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 in Oriental Linked pearls Pattern)

  • 안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0권
    • /
    • pp.243-270
    • /
    • 2007
  • 직물에 표현되는 연주문은 제작 과정상 크기나 모양의 제약이 없어 그 표현이 자유롭고, 그 형태와 재료 색체 등을 통해서 당시의 사회문화를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제인 동전(東傳) 연주문은 사산조 페르시아에서 출발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전래된 것으로 동서문화 교류와 밀접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주문이 시작되는 5세기부터 10세기에 해당하는 서 중앙아시아의 벽화 복식, 중국 신강 청해 일대에서 출토된 고대직물 그리고 일본 정창원(正倉院) 소장품의 연주문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상의 자료를 통해 연주문의 동서 교류 현상과 구조적 변천과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크로드를 따라 동전(東傳)하는 연주문의 도안은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난다. 예를 들러 고대 소그들인들이 주로 활동했던 파미르고원 서쪽에서는 서아시아적인 모티브가 변형된 사슴이나 화식조 등을 주제로 하는 연주문금이 출토되지만, 쿠차 신강에서는 중국적인 모티브가 첨가되어 한자문이 삽입되거나 태양신[Helios] 대신 불상문 보살문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새로운 문양의 등장은 구조적인 변화를 동반하여 점차 사산조 페르시아의 정형화된 패턴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그 구조적인 변천과정은 후대 여러 문양의 구성 및 배치방법과 연관이 있다. 연주 환간의 마름모꼴 공간에 안치된 사합초화문 등이 능화문의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10세기 이후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골조문양의 유행 단위문양을 상하좌우로 배치하는 탑자문의 전개법이 연주문과 유사하다. 요컨대 연주문은 기술적 진보와 함께 표현 자체에서 세련된 예술적 코드를 읽을 수 있으며, 지역이나 문화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문양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아시아 Kaftan양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aftan Style in Asia)

  • 오춘자
    • 복식
    • /
    • 제35권
    • /
    • pp.45-66
    • /
    • 1997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aftan styles iin Asia. The purpose of he study was to examine the origin o the kaftan concentrating on the history and cultural backgrounds of nomads in he Western Central and North Eastern Asia. Secondly for more thorough study and expla-nation on how these kaftans contributed to East-West trade along the silk road. wall paintings and miniature illuminations along Oasis roads persia and Saracen period were compared, Also real kafta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Western (Turkey palestine) Central(Kazakistan Uz-bekistan Tadzhistan Qyrgyztan Turkmenistan) and the North Eastern Asian(Mongol) area. Third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North Eastern Asian(Mongol) area. Thirdly an attempt has been made to provide the style classifications according to their peculiarities of the various kaftans as well as how kaftan gave important influences on custumes of different religious sects. The kaftan is a long coat-like garment with front openings fastened with long sash having an extra long sleeves which were worn by middle and high class nomadics throughout the West Central and North Eastern Asia This type of kaftans were a basic clothing for nomadics since they were constantly moving fromone to another areas on their horse back riding. They also wore tight trousers with boots. Kaftans seem to be originated from nomads of Steppe around B.C. 800 On B. C 400 west asian areas such as Solokha Kul-oba Kulogan had pictures sculptues on vases showing kaftans of half coat type length with front opening tied with band. Also the materials used were the products of animals such as wool or felt with animal designs showing Scythian nomads. In the North Eastern Asia Hsiung-Nu were active in Kazakha North Altai and Mongol The Clothing and fabrics exfavated near Noin-ula Pazyrik showed many samples of kaftan with trousers with other interment be-longings with a corpse around B.C 300 to A. D 100 when trades along the silk roads were proven by many historians Kaftans excavated in this area wore red front opening silk materials which suggesting settling down of nomads. in he central Asia Dol-gull near Altai mountain area were mainly miners who later had many trades with Persia and Bizantine. After Dol-gull Bezeklik temple Samarkant Kizil cow Budda sculture wall paintings of Astana tomb showed typical kaftan of this re-gion. These were both hip covered length as well as long coat with narrow sleeves. Es-pecially they had different color band fron the main kaftan with grogeously and splendously designed silk. In perusia during A. D 1400 to 1600 minia-ture illumination showed kaftan as a high class symbol more than clothing purpose. They had best quality silk with extra long sleeves draping and had a layers of kaftans one on top of anther as a symbol of wealth These Kaftans with different colors and designs were even more beautiful with their effective combinations and contrast of colors. On the other hand the lower class common people and servants wore simple kaftan with the front part of the kaftan were slipped into the belt in order to be more active and con-venient to work, The real kaftans discovered at Topkapi Saray palace of Turkey from A. D 1300 to 1900 were also compared. These kaftans were very numerous in numbers as well as designs The materials and designs used were also vari-ous such as Chinese to Italian silk. The shaped and pattern itself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previous nomad's Kaftans. The Palestian kaftans remained were from the beginning of 19th and 20th century. Since this area is hot and dry desert they used black and navy blue colors mostly in order to exclude the sun lights. The patterns used were similar to Nomads and Bedouin with cross stiches and patch work decorations. In the central Asia they had similar life style and natural environmental cnditions with Turkish tribe which resulted in similar kaftan styles as nomads. Mongols conserved basic patterns of kaftan since Cinggis Khan with deep folding in order to keep warm. At last the kaftans studided in this thesis were classified in to four such as half coat long coat jacket and vest style. A pattern used in the Central Asia were zigzag and ani-mal design whereas in the West Asia were floral plant arabesk and circle pattern. As I discussed previously kaftan styles of nomads in the Asia maintained its basic pat-tern throughout the history except slight changes in color gusset sleeve shapes. These slight changes were made according to the need to adapt the need of environmental natu-ral conditions, The reason for aboriginality of kaftan in Asia was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Most interesting fact is that for all these years Mongols are still wearing kaftan in their life ensuring us that they art the preserves of old kaftan. Since this thesis dealt enormous Asian regions I had a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cover the Far Esatern asian area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how these kaftans were influenced in their clothing history as well as Eastern and Western culture. This topic along with the studies on materials and designs of patterns of kaftan will be another research project in the future.

  • PDF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의 사르마티아(Sarmathia)식 검집 패용 방식의 전개 과정으로 본 동서교섭 (Thinking in Terms of East-West Contacts through Spreading Process of Sarmathia-Pattened Scabbard on Tillya-Tepe Site in Afghanistan)

  • 이송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4호
    • /
    • pp.54-73
    • /
    • 2012
  • 최근 북방유목민족인 사르마티아에 관한 고고학적 자료들이 증가하면서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양상과 그 실체들이 조금씩 규명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동서 교역의 활동 양상을 사르마티아식 검집의 확산 지역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르마티아인들의 검은 스키타이나 페르시아인들이 사용한 아키나케스(Akinakes)의 계보를 잇는 것이지만 손잡이나 패용 방식에서 손쉽게 칼을 뺄 수 있도록 변화되었다. 즉 양 측면에 달린 4개 돌기에 끈으로 연결한 검집을 허벅지에 부착시키는 패용 구조로 변한 것이다. 사르마티아식 검은 기원전 5세기 파지리크시기 알타이 지역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사르마티아인들의 활동 중심지인 남시베리아, 박트리아, 파르티아, 로마로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서 교섭의 요충지인 박트리아지역에 속하는 아프가니스탄 틸랴 테페 4호묘에서 출토된 검집에 관심을 두었다.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한 채 매장되었던 틸랴 테페 4호묘의 묘주는 당시 쿠샨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던 박트리아에서 상당한 위치의 인물로 파악된다. 묘주가 2자루의 사르마티아식 검을 패용하고 있었던 것은 박트리아에 사르마티아의 영향이 상당이 수용된 사실을 의미한다. 사르마티아인들이 동서교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국산 물자를 실크로드에 공급하였던 이들의 역할과도 관련이 있다. 이에 사르마티아인들이 활동한 북방 초원 루트에 중국 한대 동경, 메론형 구슬, 수정구슬 등의 장식구슬, 금환연접구슬 등 중국 특히 비단이 생산되었던 남중국의 공예품들이 출토되는 경위에 관심을 가졌다. 모자이크 구슬은 당시 남중국 그리고 사르마티아와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살펴보았다. 거리적으로 먼 사르마티아와 남중국이 교섭할 수 있었던 중간 매체로는 흉노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하여 흉노의 유적에서 남중국에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는 금환연접구슬이 발견되는 점을 참고하였다. 남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환연접구슬이나 모자이크구슬이 아프카니스탄의 틸랴 테페 유적에는 없는 반면 같은 초원길로 연결되는 사르마티아 유적이나 흉노의 몽골 유적에서 등장하는 점이 흥미로운 것이다. 이는 남중국과 사르마티아, 흉노와의 연결 루트를 상정하게 한다. 한편 사르마티아인들의 중심연대인 기원전 2세기에서 기원후 2세기 사이 초원루트와 남중국을 잇는 교통로로는 운남에서 미안마를 지나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지나 인도 동부로 들어가는 서남실크로드로 판단된다. 1세기 동서교섭의 루트에는 북방 초원 루트, 남해 루트, 오아시스 루트 등 다양한 루트가 존재한다. 이들 루트들은 운반, 집산되는 물자의 특성이나 당시 정치적 관계에 의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형성되었다. 이 글에서는 인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남중국을 잇는 최단거리의 길인 서남루트가 북방 유목민들인 사르마티아인들에 의해 사용되고 개척된 상황을 살펴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