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peridone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Pharmacokinetics and Bioequivalence Evaluation of Risperidone in Healthy Male Subjects with Different CYP2D6 Genotypes

  • Cho, Hea-Young;Lee, Yong-B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6호
    • /
    • pp.525-533
    • /
    • 200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risperidone in healthy male subjects representing different CYP2D6 genotypes with respect to risperidone, 9-hydroxyrisperidone (9-OH-risperidone), and active moiety. A total of 506 Korean subjects were genotyped for $CYP2D6^*10$ by means of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Based on the genotype analysis, 24 subjects, 7 homozygous for $CYP2D6^*1$ for $^*10$, and 7 heterozygous for $^*10$, were recruited and received a single oral dose of 2 mg risperidone tablet in this study. Serum concentrations of risperidone and 9-OH-risperidone up to 48 h were simultaneously determin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ctive moiety, risperidone, and 9-OH-risperidone between the two preparations in AUC_{0-{\propto}}$ and $C_{max}$. The 90% confidence intervals (Cls) for the ratio of means of the log-trans-formed AUC_{0-{\propto}}$ and $C_{max}$ for the active moiety, risperidone, and 9-OH-risperidone were all within the bioequivalence acceptance criteria of 0.80-1.25. The $CYP2D6^*10$ allele particularly was associated with higher serum concentrations of risperidone and the risperidone/9-OH-risperidone ratio compared with the $CYP2D6^*1$ allel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wo preparations of risperidone are bioequivalent and it can be assumed that they are therapeutically equivalent and exchangeable in clinical practice. Furthermore,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of risperidone and the risperidone/9-OH-risperidone ratio are highly dependent on the CYP2D6 genotypes.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R 64766)의 산화대사 과정에 관한 연구

  • 신상구;장인진;이경훈;정원석;임동석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93-93
    • /
    • 1993
  • 도파민 D 수용체 및 5-HT 수용체 차단기전을 지닌 새로운 항정신분열증 약물인 risperidone은 활성형 대사물로 9-OH risperidone을 체내에서 생성하는 바, 이 대사과정의 유전적 다형성의 여부 즉 hydroxylation 과정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코자 하였다. Metoprolol 100 mg 경구투여로 CYPIID6의 대사능의 표현형을 결정한 12명의 정상 피험자(11명: extensive metabolizer, 1명: poor metabolizer)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험자는 risperidone 1 또는 2 mg 경구투여후 혈중 risperidone 및 9-OH risperidone 농도를 경시적으로 radioimmuno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피험자중 6명의 extensive metabolizer는 quinidine 600 mg/day의 용량 투여로 CYPIID6의 활성도를 완전 억제시킨 후 risperidone 1 mg 경구투여에 따른 약동학적 성상을 재검토하여 risperidone hydroxylation에 CYPIID6의 관여 여부를 검토하였다. 1) 1명의 poor metabolizer는 extensive metabolizer에 비해 현저히 긴 risperidone 반감기를 보였다. 2) 12명의 피험자에서 관찰된 metoprolol metabolic ratio는 risperidone 혈장 반감기 및 log(risperidone AUC/9-OH-risperidone AUC)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3) Quinidine 투여는 risperidone의 반감기의 유의한 증가와 9OH risperidone AUC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나, 9-hydroxylation 대사과정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 PDF

재발과 입원을 반복하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의 비용-효과 (Cost Effectiveness of Clozapine and Risperidone in "Revolving Door" Schizophrenia)

  • 남종원;이민수;정인과;곽동일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2호
    • /
    • pp.198-205
    • /
    • 2000
  • Objectives : Risperidone and clozapine belong to a new generation of antipsychotics that are reportedly more effective and better tolerated than conventional neuroleptics. However, each of these agents costs far more per unit than conventional neuroleptics. The purpose of our retrospective study was to ascertain the total cost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risperidone and clozapine in "revolving door" schizophrenia patients. Method : Data collected on revolving door schizophrenics for 2 years before clozapine and risperidone treatment and for at least 2 years after clozapine and risperidone treatment. Direct cost of inpatient and outpatient treatment was measured. Effectiveness was scaled as "years of mild disability gained". Result : Both risperidone and cloazpine result in higher costs and additional benefits to patients, for example, increased mild disability, reduced number of relapse, and reduced hospital length-of-stay. An ICER of risperidone was less than Rc and ICER of clozapine was greater than Rc. According to decision-analytic this model, risperidone had favorable cost-effectiveness ratios relative to clozapine. Conclusion : We have assumed that risperidone is more cost-effective than clozapine.

  • PDF

급성 정신분열병 환자에 대한 Risperidone(R 64766)의 임상 효과 및 안정성 연구

  • 우종인;권준수;김성윤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65-165
    • /
    • 1993
  • 목적:지금까지 Risperidone의 치료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들이 모두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효율적인 약물 요법의 중요한 지침이 되는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바, 본 연구에서는 초발인 급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첫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antipsychotic effect)와 추체외로계증상(extrapyramidal symptoms)을 평가하고 둘째, Risperidone의 항정신병 효과와 혈장 Risperidone 및 9-hydroxyrisperidone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효혈장농도(therapeutic dose range)와 유효치료용량(effective therapeutic dosage)의 존재 여부를 검토코자 한다. 방법: DSM-III-R 진단기준(APA 1987)예 의해 정신분열병형 장애로 진단된 환자 11명(남자 5, 여자 6)을 대상으로 Risperidone을 이중맹검법(double blind design)으로 6주간 투약하였다. 정신병리의 평가는 PANSS(Kay 1988)를 이용하였고 추체외로계 부작용의 평가는 ESRS(Chouinard 1980)를 이용하였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Jansen사의 Radioimmunoassay Kit를 이용하여 3회 측정하였다. 결과: PANSS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arkinsonism과 dyskines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ystonia에 대한 physician's examination 점수는 Risperidone 투여 후 1주째에는 평균 5.96점으로 높았으나 2주째부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6주째에는 유지되었다. 혈장 Risperidone 농도와 혈장 9-hydroxyrisperidone 농도는 PANSS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 프로락틴과 테스토스테론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Serum Prolactin and Testosterone Levels in Schizophrenic Patients)

  • 한덕현;박두병;김영돈;민경준;이길홍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74-79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 용량의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risperidone, olanzapine)의 성 호르몬(prolactin과 testosterone)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총 9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혈청에서 prolactin과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haloperidol 28명, 4~20mg/day ; risperidone 31명, 2~6mg/day ; olanzapine 32명, 5~20mg/day). 그 결과 남자 환자에서 olanzapine 복용자의 혈청 prolactin 농도가 risperidone이나 haloperidol 복용자의 혈청 농도보다 낮았으나 risperidone 복용자와 haloperidol 복용자의 혈청 prolactin 농도는 상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환자에서는 olanzapine 복용자의 혈청 prolactin 농도가 risperidone이나 haloperidol 복용자의 혈청 농도보다 낮았으며 risperidone 복용자의 prolactin 농도는 haloperidol 복용자보다 낮았다. 또한 남자, 여자 환자 모두에서 haloperidol, risperidone, olanzapine을 각각 복용한 사람들의 혈청 testosterone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의 결과로 저자는 치료 용량에서 risperidone은 혈청 prolactin 농도를 haloperidol 만큼이나 증가시키지만 olanzapine의 경우 혈청 prolactin 농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은 testosteron의 농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아 청소년 정신과 입원 환자에서 Risperidone의 효과 및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CHILD &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

  • 박정현;김붕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2호
    • /
    • pp.239-250
    • /
    • 2005
  • 목적 : 소아 청소년 정신과 환자에서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인 risperidone에 대한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에서 2002년 6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 청소년 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risperidone이 사용되었던 5.4세에서 17.3세 사이의 환자 31명(남 18, 여 : 13)을 대상으로 후향적인 진료기록지 검토를 시행하였다. 결과 : Risperidone이 사용된 주된 정신과 진단은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증, 정신병적 증상이 동반된 I형 양극성 장애, 뚜렛장애, 자폐스펙트럼 질환, 혼합형 표현성 및 수용성 언어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및 품행장애, 강박장애 등이었으며 이 중 12명에서 정신지체가 동반되었다. Risperidone사용의 주된 목표 증상은 정신병적 증상(n=13, $41.9\%$),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 상동증 등과 같은 행동 증상(n=10, $32.3\%$), 만성적이고 심한 틱 증상 (n=8, $25.8\%$)이었다. Risperidone의 효과는 risperidone의 목표 증상에 대한 CGI(Clinical Global Improvement)로 평가되었는데 $67.7\%$에서 중등도 이상의 호전을 보였고 평균 7.5개월 동안 치료효과가 유지되었다. Risperidone의 평균 하루 사용량은 $0.05{\pm}0.1mg/kg$이었으며, 정신병적증상군이 0.07mg/kg로 다른 두 증상군(0.04mg/kg)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 부작용으로는 체중증가(n=23)가 가장 흔하였으며 그 외 추체외로계 증상(n=15), 자율신경계증상(n=6), 진정작용(n=5), 고프로락틴혈증(n=2) 등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인해 약물을 변경한 경우는 없었으며 외래 마지막 방문 시 $90\%$에서 risperidone을 유지하고 있어 약물내약성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인 risperidone은 정신병적 증상, 공격성, 충동성, 과잉행동, 상동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증상, 만성적이고 심각한 틱증상 등 다양한 소아 청소년 정신병리의 치료에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risepridone의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한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Risperidone과 Clozapine이 체중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 - Haloperidol과의 비교 연구 - (The Influences of Risperidone and Clozapine on Body Weight and Glucose Level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 Comparison Study with Haloperidol -)

  • 남천우;양병환;이준노
    • 생물정신의학
    • /
    • 제11권2호
    • /
    • pp.127-135
    • /
    • 2004
  • 본 연구는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이 체중과 혈당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에 관계되는 여러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risperidone과 clozapine을 쓰는 환자 각각 20명, 대조군으로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을 쓰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입원 후 4주, 8주, 12주째 체중과 공복 시 혈당을 입원 초기 체중 및 혈당과 비교하였으며 각 약물군 간의 차이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구 대상 환자의 초기 특성 상 clozapine군이 haloperidol과 risperidone군에 비하여 입원 시 체중이 높은 상태였는데 이는 clozapine을 복용하는 환자들이 이전에 haloperidol과 risperidone을 포함한 여러 가지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했던 경험이 있고 이로 인해 이미 어느 정도의 체중 증가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둘째, 체중 변화는 risperidone과 clozapine군 모두 haloperidol을 쓴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혈당 변화도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risperidone과 clozapine군이 haloperidol군에 비해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몇 가지 변수들이 체중과 혈당의 변화에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정도는 크지 않았고 그 인과관계를 증명할 수는 없었다. 위의 결과들에서 볼 때 유병 기간이 길고 이전에 여러가지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 약물 복용에 따른 증상의 호전 정도가 두드러지지 않는 만성적인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는 비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이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체중 변화와 혈당의 수치를 변화시키는 경향이 크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 PDF

Risperidone 유발 지연성 운동장애 1례(一例) (A Case on Risperidone-Induced Tardive Dyskinesia)

  • 김헌수;김현실;민병근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29-133
    • /
    • 1998
  • Objective : Base on clinical practice,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tardive dyskinesia arising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with resperidal. Methods : This article was review and analysis of a case on risperidone-induced tardive dyskinea. Results : Mrs K, a 51-year-old woman with a 1-year history of schizophrenic disorder, gradually developed tardive dyskinetic movement of the mouth, lip, and tongue over a 4 month period(From July, 1996 to June, 1997) while taking risperidone. Initially she was treated with haloperidol and alprazolam. However, the haloperidol was subsequently discontinued because of EPS developed. From 11th March, 1997, she was observed to have a severe form of tardive dyskinesia involving her tongue, lip, and mouth. After risperidone was withdrawn at 9th May 1997, her tardive dyskinetic movement was disappeared. Conclusions : This is, to our knowledge, the first report of the onset of tardive dyskinesia in a patient taking risperidone. However, additional controlled studies of specific questions are needed ; e.g., the dose-response curves for produce tardive dyskinesia and the mechanism of producing risperidone-induced tardive dyskinea and so on.

  • PDF

리스페리돈을 복용한 여성 환자에서 유발된 무월경의 치료 (The Resolution of Amenorrhea in Female Patients Taking Risperidone)

  • 이분희;김용구;한창수;고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2호
    • /
    • pp.141-146
    • /
    • 2003
  • Objective:To find out the optimal assessment that can relieve amenorrhea associated with risperidone. Methods:Sixteen female outpatients who have taken risperidone for more than 3 months reported voluntarily amenorrhea during Nov 2001 to May 2002. Since the reports of the amenorrhea, the resolution of amenorrhea has been prospectively followed during the next six months. The dosage of risperidone was reduced or discontinued in nine of sixteen patients, while risperidone was switched to olanzapine or quetiapine in other 7 patients according to the clinician's decision. Results:Fourteen of 16 patients showed higher levels of prolactin than normal level. Five patients of the risperidone-reduction group recovered from the amenorrhea while all subjects of the drug-switch group recovered. The resolved patients of the former group recovered from amenorrhea in the dosage below 3mg per day of risperidone. Two patients of the risperidone-reduction group were dropped out during the reduction. Conclus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risperidone-induced amenorrhea may be alleviated by reducing dosage to less 3mg per day(including discontinuation) or by switching to other antipsychotic drugs. Whether we would choose which method depends on patient's clinical status, diagnosis, and dose of medication and so on.

  • PDF

리스페리돈으로 인한 신경이완제 악성 증후군 1례 (A Case of Risperidone-induced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 강화연;김용구;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5권1호
    • /
    • pp.138-141
    • /
    • 1998
  •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NMS) is an uncommon but potentially fatal idiosyncratic reaction to neuroleptics, characterized by muscular rigidity, fever, autonomic dysfunction, and altered consciousness. The major theories to explain NMS is central dopaminergic blockade, but it is unclear. Risperidone is a new antipsychotic drug, a benzisoxazole derivative that blocks dopamine $D_2$ receptor and serotonin type 2 receptor. The comparatively greater serotonin-blocking activity is believed to give risperidone the specific property of not causing any more extrapyramidal side effects than conventional antipsychotics at the optimal dose of 4-8mg/day. It is postulated that risperidone is unlikely to cause NMS. Here, we report a case of risperidone induced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