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sk function

검색결과 1,706건 처리시간 0.024초

안전필수(Safety-Critical) 시스템의 실시간 운영체제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n Real Time Operating Systems for Safety-Critical Systems)

  • 강영두;정길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85-3892
    • /
    • 2010
  • 원자력발전소의 발전소보호계통과 같은 안전필수 시스템은 예상 가능한 사고로부터 인간과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써,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고유의 안전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전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계측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최신의 컴퓨터에는 다양한 하부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시간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시간 운영체제는 가장 엄격한 소프트웨어 품질이 요구된다. 또한, 예상 가능한 조건에서도 안전필수 시스템의 기능이 적절히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 분석 및 평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 원자력발전소 안전필수 시스템에는, 원자력 기준과 품질등급에 따라 개발된 제품이 아닌 상용제품의 실시간 운영체제를 정성적 측면에서 승인(Commercial Grade Item Dedication)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다. 이로 인해 실시간 운영체제가 안전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적합한지를 평가하는 상세 방법론과 경험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안전필수 시스템에 적용함을 목적으로 신규 개발되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경우,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도출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전의 안전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실시간 운영체제의 설계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안전필수 실시간 운영체제에 대한 안전성 분석 및 평가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상세 안전성 평가의 방법과 사례는 향후 타 산업분야에서의 안전필수 실시간 운영체제 개발 및 안전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들기름이 Dimethylhydrazine으로 처리한 쥐에서 대장암의 Biomarker인 지방산조성과 1, 2-Diacylglycerol 및 Eicosanoid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pha$-Linolenic Acid Rich Perilla oil on Colonic Mucosal Levels of Biomarkers(Fatty Acid Profile, DAG, Eicosanoid) in Colon Carcinogenesis of DMH-Treated Rats)

  • 김채종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1호
    • /
    • pp.112-121
    • /
    • 1996
  • The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 of blend fat calculated from the foods consumed in Korean with those of perilla oil, beef tallow and corn oil on colonic mucosal phospholipid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levels of TXB2 and diacylglycerol (DAG) which were known as biomarkers for cancer. Male Sprague Dawley rats, at 7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1, 2-dimethylhydrazine (DMH)-treated group, and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four groups.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one of four dietary fats, blend fat (BF), perilla oil(PO), beef tallow (BT) or corn oil (CO), at 15% (w/w) level. At the same time, each rat was injected with saline for control group or DMH twice a week for 6 weeks to give total dose of 180mg/kg body weight. DMH inje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dietary fa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s of PGE2 and TXB2 in colonic mucosal layer compared to control (p<0.01). However, the level of eicosanoids was influenced by the types of dietary fats in both control and DMH group. In control groups, colonic mucosal level of TXB2 was higher in beef tallow group, but lower in perilla oil group compared to that of blend fat (p<0.01). In DMH groups, the level of TXB2 was higher in beef tallow and corn oil groups(p<0.05). The level of PGE2 showed the same trends with TXB2 and beef tallow mos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evel of PGE2. DMH treatment did not influence on tissue fatty acid profile, which was directly reflected by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 Proportions of C18 : 2 in colonic mucosal phospholipid well reflected dietary level of C18 : 2 showing the order CO>BF>PO>BT. The precentage of arachidonic acid(AA) in mucosal phospholipid was the highest by CO adn BT groups and the lowest by PO group. The incorporation of $\alpha$-linolenic acid in colonic mucosal phospholipid in perilla oil group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content of AA. Dietary level of C18 : 2 might not be the only controlling factor for the production of eicosanoids in colonic mucosa layer and might function with $\omega$3 fatty acids. The level of DAG was significanlty lower in PO group than that of BT group. Therefore, $\omega$3 $\alpha$-linolenic acid rich perilla oil could be very important dietary sourec in controlling eicosanoid production DAG level in cloln and recommenced to use more often in meal preparation to reduce the risk factor against colon cancer.

  • PDF

평택시 군용비행장 주변지역 주민건강조사 (Study on the Health Status of the Residents near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 김현주;노상철;권호장;백기청;이무용;정재윤;임명호;구미진;김창훈;김혜영;임정훈;김동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5호
    • /
    • pp.307-314
    • /
    • 2008
  • Objectives : We conducted an epidemiologic survey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aircraft noise exposure on the health of the residents near the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Methods :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noise level, questionnaire survey, and health examination were performed for 917 residents.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four groups: subjects who lived in the village close to the fighter airbase (high exposure), subjects who lived along the course of fighters (intermediate exposure), and subjects near a helicopter airbase,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 The prevalence of the aircraft noise related accident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n the exposure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isk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ere higher in the expos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prevalence of anxiety disorder and primary insomnia were higher in the expose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revalence odd ratios of the risk for primary insomnia after adjusting age, sex, agricultural noise, and occupation were 4.03 [95% confidence interval (95% Cl) 1.56-10.47] for the subject near the helicopter airbase, 1.23 (95% Cl 0.40-3.76) for those intermediately exposed to fighter noise, and 4.99 (95% Cl 2.14-11.64) for those highly exposed to fighter nois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aircraft noise may have adverse effects on hearing function, cardiovascular health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t seems to be needed to take proper measures including the control of the aircraft noise and the management of the exposed people's health.

위치기반(LBS)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예측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location-base service(LBS) disaster risk prediction system in deteriorated areas)

  • 변성준;조용한;최상근;조봉래;이건원;민병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570-57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비콘과 스마트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하여 위치기반 쇠퇴지역 재난재해 위험성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비콘은 주로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삼각측위를 이용한 이용자 위치 파악에 사용되었으나 실외에 설치되어 위험지역 등록위치 및 온습도 정보 수집에 활용하여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다. 또한,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비콘 자체의 방수, 방습, 방진 기능이 필요하며 온습도 비콘의 경우 센서가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컨테이너로 방수 기능을 보완하였다. 이러한 기능을 바탕으로 쇠퇴·취약 지역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파악하고, 온도/습도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해당 지역의 날씨 및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콘과 스마트폰 GPS 수신기를 통해 사용자 위치 데이터가 습득되며, 사용자가 쇠퇴·취약 지역을 전송할 시 데이터를 구축하여 위험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시공간의 온도/습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해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시공간에서의 쇠퇴지역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축적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다.

한국 재난의 멱함수분포와 사회적 충격사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wer Law Distribution of Korean Disaster and Identification of Focusing Events)

  • 김용균;김상필;조형식;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81-190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재난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1세기 한국사회 역시, 메르스와 같은 신종 재난의 출현, 복합재난의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복잡해지고 있는 한국의 재난 패턴을 분석하기 위하여 1948년부터 2014년까지의 한국에서 발생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와 재난빈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우리나라 재난대응 조직에 변화를 가져온 사건들을 분석하여 멱함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재난 피해와 빈도 사이의 관계는 멱함수 법칙을 따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함수식의 계수를 계산하였다. 이와 더불어, 우리나라 재난대응조직의 변화는 대규모 피해로 사회전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충격사건"들에 의해 유발되었으며, 이러한 사건들은 발생빈도는 낮지만 그 피해규모가 큰 사건들로서 멱함수의 긴 꼬리 부분에 위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가 갖는 정책적 시사점은 정규분포곡선으로 설명되지 않는 멱함수의 긴 꼬리 부분에 위치한 사건들에 주목하여 재난대응을 위한 정책 수립이나 조직 정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건강증진을 위한 한의학적 방법론 연구 -야간근로와 음허증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Health Promotion in Korean Medicine: Correlation between Night-shift Work and Yin-deficiency)

  • 이상재;박종배;이선동;김광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44-348
    • /
    • 2004
  • This study regarded irregular life styles such as nigh-shifts as contrary to the norm advised in the rules of Yang-saeng to analyze the problems brought about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Yin-deficiency syndrome'. Yin-deficiency survey was given to sales workers on a big shopping mall in Seoul to compare the measurements of daytime workers to those of nigh-shift workers. The measurement of complaining symptoms related to Yin-deficiency of daytime workers and night-shift workers were compared, In comparison of the daytime workers and the night-shift workers, night-shift workers showed higher measurements than the daytime workers in the item of irritable fever on the five Hearts, flushing of the zygomatic region in the afternoon, tidal fever, dizziness, insomnia, yellow and scanty urination, and constipation. Especially tidal fever, insomnia, and constip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total of ten items consisting of Yin-deficiency-related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 in night-shift workers than the daytime workers. 'Factors for deficiency-type Heat' consisting of irritable fever on the five Hearts, flushing of the zygomatic region in the afternoon, tidal fever, and dried mouth and thro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 score in night-shift workers than the daytime workers. 'Accompanying factors' consisting of night sweats, emaciation, dizziness, insomnia, yellowish and scanty urination, and constipation also show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 score in night-shift workers than the daytime workers. From the above results that night-shift workers show high degree of Yin-deficiency than daytime workers, and those overworking irregularly also show high degree of Yin-deficiency than those who work for adequate amount of time regularly implies that sitting up at night for work and sleeping at daytime, excessive work, and irregular life styles all function as high-risk factor for Yin-deficiency.

기상자료 분석을 통한 대관령 지역의 작물 최저 한계온도일 추정 (Agro-climat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in Crop Production of Daegwallyeong Area in Korea)

  • 류종수;이정태;이계준;오동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53-1156
    • /
    • 2012
  • 대관령 지역의 과거 38년간 (1972-2009)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최저한계온도를 추정하였다. 최저한계온도 출현 빈도 추정은 Gumbel의 극한치 확률분포이론을 도입하여 기온자료의 확률분포함수를 도출하여 이루어졌다. 그 결과 저온 출현일 빈도는 작물의 생산안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조사하였으며, 저온 출현일이 앞당겨질수록 작물을 일찍 심어 안정된 생육을 유지할 수 있어 그 만큼 수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관령 지역에서 한계 저온 $5^{\circ}C$ 이상이 5일 이상 지속되는 날짜를 보면 4월 3일, 4월 10일, 4월 20일, 4월 28일, 5월 8일로 나타났으며, 한계저온이 나타나는 시기가 앞으로 당겨질수록 그 시기 (한계저온 $5^{\circ}C$ 출현일)가 출현할 확률이 작아지고 재현되는 기간이 길어져, 작물을 재배할 기회가 줄어들어 작물 파종 및 정식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재현기간을 순서대로 보면 50, 25, 10, 5, 2년 이었다. 기온 $5^{\circ}C$에 적응하는 저온성 작물 (배추, 샐러리, 토마토, 딸기 등)은 5월 8일 이후에 파종 또는 정식하면 대관령 지역에서 안정된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거대 기포성 폐기종의 외과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Bullous Emphysema with Giant Bullae)

  • 장재한;김민호;김공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08-413
    • /
    • 1996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있는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대부분은 외과적 처치에 대한 위험성이 높지만 기포 성 폐기종이 한쪽 폐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 외과적 치료는 안전하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다. 따라 서 기포성 폐기종 환자의 외과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대상환자를 정하는 것이다. 전북대 학교병 원 흉부외 과학교실에서는 1987년부터 1992년까지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 11명을 수술 치료 하였다. 남자가7명,여자가4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19세에서 61세까지 였다. 외과적 치료의 대 상은.점 차 진행하는 호흡곤란이 있으며, 한쪽 흥강의 113 이상을 점유하는 거대 기포가 있고, 기관 및 종 격동을 환측 반대 쪽으로 밀고있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은 폐기포 절제 및 쐐기 절제술 7례, 폐구역 절제술 2례, 그리고 폐엽 절제술 2례 시행하였다. 수술사망은 없었으며, 모든 환자의 증상과 폐기능 검사소 견은 수술후 향상되 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되어진 거대 기포성 폐기종 환자에서는 외과적 치료가 안전하고 좋은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수요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한강수계 댐 연계 운영 최적화 (Optimization of Multi-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Water Demand Uncertainty in the Han River Basin)

  • 정건희;류관형;김중훈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89-102
    • /
    • 2010
  • 미래의 기후조건과 생활패턴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미래용수수요 또한 불확실성을 가지며, 이는 충분한 용수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댐 운영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가용 수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충분한 용수분배를 하는 동시에, 홍수와 가뭄에 대한 대비까지 가능한 댐의 운영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불확실한 용수수요량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저수지의 운영을 통한 저류량을 1단계에서 결정하고, 2단계에서 용수수요에 따른 용수공급량과 하천유지유량을 결정하기 위한 최적화 모형을 2단계 추계학적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구축하고, 목표저류량과 실제 저류량의 차이, 용수공급과 하천유지유량의 부족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저수지 운영 규칙을 최적화하였다. 또한 가뭄시 보다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을 위해 댐저류량에 따라 댐 계획방류량을 일정비율 줄여주는 Hedging Rule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절성과 적용성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모형은 한강수계의 댐들 중 다목적댐인 충주, 횡성, 소양강 댐과 용수전용댐인 광동 댐, 그리고 발전용 댐이지만 비교적 큰 저류용량을 가진 화천 댐을 연계 운영 대상으로 하여, 미래 용수수요량 시나리오를 고려한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나리오에서 생공용수, 농업용수, 하천유지용수 공급량을 대부분 만족시킬 수 있었고, 댐의 저류량 역시 갈수기 용수공급에 대비하여 홍수기인 6월 말에서 9월 중순에 저류량을 확보하면서도 홍수피해저감까지 고려하는 운영이 가능하였다. 이는 다목적 댐들의 연계운영을 위한 저수지 운영규칙결정에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기능 갑상선 결절 환자에서 갑상선 유두암의 의미 있는 예측인자로서 혈청 갑상선 자극호르몬의 역할 (The Role of Serum Thyrotropin Level as a Meaningful Predictor of Papillary Thyroid Cancer in Patients with Nontoxic Nodular Goiter)

  • 문신제;박정환;이유화;홍상모;이창범;박용수;김동선;최웅환;안유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8-203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Distinguishing benign from malignant lesion in thyroid noddex is important but clinically difficult. FNAB is the first investigation of choice. However, cytologic results are often indeterminable. In those cases, additional molecular biologic tests are helpful. If serologic tests are available to predict malignancy, it can be useful to fortify accurate diagnosis. We analyzed whether TSH or FreeT4 level could be used as a predictor of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8 to March 2009, 540 patients received one of thyroidectomy in a single center. We only included 167 patients from 18 to 65 years old without cardiopulmonary or renal disorders. All the patients were in euthyroid state and took no medications, which affect the thyroid function. We reviewed charts retrospectively to find out differences in TSH level and FreeT4 level between the benign and malignant groups. Results : In this study, all the patients with malignancy had the papillary cancer. In benign group, average TSH level came out to be 1.48mU/L, whereas the average TSH level of malignant group was 1.98 mU/L. Moreover, the higher the cancer stage was, the higher the TSH level was. Although we have adjusted factors that can affect TSH level(age, sex, race, goiter type), we still received the same result. The risk of malignant cancer increased in proportion with TSH level within the normal range. In free T4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roup. Conclusion : We propose that TSH level can play a role as one of the predictors for thyroid cancer. However, there is limitation because all the patients with malignancy in this study have papillary cancer. Thus, we can apply this result only in papillary cancer, and we need more study for other types of thyroid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