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 to Sleep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1초

Associations between Brain Perfusion and Sleep Disturbanc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 Im, Jooyeon J.;Jeong, Hyeonseok S.;Park, Jong-Sik;Na, Seung-Hee;Chung, Yong-An;Yang, YoungSoon;Song, In-Uk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72-77
    • /
    • 2017
  •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sleep disturbances are common and considered a major burden for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the fundamental mechanisms underlying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sleep disturbance in AD patients have yet to be elucida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and sleep disturbance in AD patients using technetium-99m hexamethylpropylene amine oxime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Methods A total of 140 AD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Seventy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AD with sleep loss (SL) group and the rest were assigned to the AD without SL group. SL was measured using the sleep subscale of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A whole-brain voxel-wise analysis of brain SPECT dat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CBF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verity of dementia, general cognitive function, and neuropsychiatric symptoms, with the exception of sleep disturbances. The SPECT imaging analysis displayed decreased perfusion in the bilateral inferior frontal gyrus, bilateral temporal pole, and right precentral gyrus in the AD patients with SL group compared with the AD patients without SL group. It also revealed increased perfusion in the right precuneus, right occipital pole, and left middle occipital gyrus in the AD with SL group compared with the AD without SL group. Conclusions The AD patients who experienced sleep disturbance had notably decreased perfusion in the frontal and temporal lobes and increased rCBF in the parietal and occipital reg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unctional alterations in these brain areas may be the underlying neural correlates of sleep disturbance in AD patients.

Efficacy of botulinum toxin in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myofascial pain and sleep bruxism

  • Hosgor, Hatice;Altindis, Seze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6권5호
    • /
    • pp.335-340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jecting botulinum toxin into the masseter and temporal muscle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myofascial pain and sleep bruxism.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linical record review of 44 patients (36 females and eight males; mean age, 35.70±12.66 years). Patients who underwent the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into the masseter and temporal muscles for th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myofascial pain and sleep bruxism were included in the study. Patients were diagnosed based on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leep bruxism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criteria defined by 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The values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ange of jaw motion, including unassisted maximum mouth opening (MMO), protrusion, and right and left laterotrusion, were observ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at one-, three-, and six-month follow-up visits. Results: MMO, movements of the right and the left laterotrusion, and protrusion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hile VAS ratings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three follow-up points relative to baseline values (P<0.05). Conclusion: Botulinum toxin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myofascial pain and sleep bruxism.

양측 손목에 착용한 Actigraphy와 야간수면다원검사 간의 수면지수 비교 (Comparison of Sleep Indices between Both Wrist Actigraphies and Nocturnal Polysomnography)

  • 신병학;박두흠;이현권;유재학;유승호;하지현;신현실;홍석찬
    • 수면정신생리
    • /
    • 제14권1호
    • /
    • pp.20-25
    • /
    • 2007
  • 목 적:본 연구는 양측 손목 액티그라프(wrist actigraphy:WATG) 간의 WATG 지수와 각각의 WATG와 야간수면다원검사(nocturnal polysomnography:NPSG) 간의 수면지수를 비교 분석하여 차이와 일치도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우수 우성인 22명(평균연령 $43.9{\pm}13.3$세, 남:여=14:8)의 치료받지 않은 일차성 수면장애를 가진 환자(primary insomnia=8, simple snorer=2, obstructive sleep apnea=12)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들은 양측 손목에 WATG를 착용한 채 1일밤 NPSG를 시행하였다. 양측 WATG 지수간을 상관관계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각 WATG와 NPSG 간의 수면기간시간, 총수면시간, 수면 잠복기, 수면효율 및 각성 시간에 대하여 상관관계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양측 WATG 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수면잠복기와 수면분절지수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그외의 다른 수면지수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양측 WATG의 수면지수 간의 양적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WATG와 NPSG 수면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양측 WATG 수면기간시간, 좌측 WATG의 수면잠복기 그리고 우측 WATG의 총수면시간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측 WATG의 수면효율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WATG와 NPSG 수면지수 간의 양적 비교에서 NPSG에 비해 WATG에서 양측의 수면기간시간(p<0.001, p<0.001)과 우측의 각성시간(p<0.05)은 감소되었으며, 좌측의 수면잠복기(p<0.001)와 우측의 총수면시간과 수면효율(p<0.05, p<0.05)은 증가되었다. 결 론:양측 WATG 수면지수 간의 상관관계에서 수면잠복기와 수면분절지수의 불일치는 각성시간 동안 WATG의 활동도가 양측간에 차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NPSG와 각 WATG의 수면지수 상관관계에서 보여주고 있는 불일치는 일일밤 수면분석을 위해 NPSG를 대신하여 WATG를 이용하는 것에 제한된 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여름철 수면시 온열쾌적감 평가 - 제3보 : 실내온도 상승에 관하여 -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during Sleeping in Summer - Part III : About Indoor Air Temperatures Rise -)

  • 김동규;금종수;김세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8권7호
    • /
    • pp.535-540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evaluate sleep efficiencies and conditions for comfortable sleep based on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under variations in thermal conditions. Five female subjects who have similar life cycle and sleep patterns were participated for the sleep experiment. It was checked whether they had a good sleep before the night of experiment. EEGs were obtained from C3-A2 and C4-A1 electrode sites and EOGs were acquired from LOC (left outer canthus) and ROC (right outer canthus) for REM sleep detection. Sleep stages were classified, then TST (total sleep time), SWS (slow wave sleep) latency and SWS/TST were calculated for the evaluation of sleep efficiencies on thermal conditions. TST was defined as an amount of time from sleep stage 1 to wakeup. SWS latency was from light off time to sleep stage 3 and percentage of SWS over TST was calculated for the evaluation of sleep quality and comfort sleep under thermal conditions. As result, the condition which raise a room temperature provided comfortable sleep.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내과적 치료 (Medical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최영미
    • 수면정신생리
    • /
    • 제3권2호
    • /
    • pp.77-89
    • /
    • 1996
  • Data collected to date indicate that sleep apnea syndrome is a risk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ysfunction such as systemic hypertension, cardiac arrhythmias, pulmonary hypertension, right heart failure, angina,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Several reports suggest that untreated patients with sleep apnea syndrome have a higher long-term mortality than treated patients and than normal subjects. But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and there is no universally accepted standard for effective treatment. We reviewed the current approaches and options in the medical treatment of sleep apnea syndrome.

  • PDF

전수면박탈이 정상인의 미세운동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on Fine Motor Performance)

  • 이헌정;송형석;함병주;서광윤;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8권2호
    • /
    • pp.129-137
    • /
    • 2001
  • 목 적 : 일상생활에서 하루 밤의 수면박탈은 흔히 있을 수 있다. 저자들은 전산화 신경인지검사를 통하여 38시간의 수면 박탈이 상지의 미세 운동수행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중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한 지원자 24명(M:F=21:3, mean age : $24.67{\pm}1.37$)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두 오른 손잡이었다. 또한 수면일지를 작성하게 하여 평소에 수면부족을 보이는 군은 배제하였다. Vienna Test System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검사 하루 전에 미리 같은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 전날 밤에 피험자들은 충분한 수면을 취하였으며, 검사 당일 오전 6시경에 기상하였다. 실험 첫날 오전 6시부터 다음날 오후 8시까지 38시간동안 수면을 박탈하였으며, 검사 첫날과 둘째 날의 오전 7시와 오후 7시, 총 4차례 Vienna Test System중 Motor Performance Series를 시행하였다. 실험기간 중에 모든 피험자에게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의 복용은 금지되었으며, 과도한 운동도 금지되었다.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피험자당 4회 시행한 검사 결과를 Repeated ANOVA를 시행하였으며, 일중리듬을 고려하여 각 아침, 저녁 session끼리의 검사 결과를 paired t-test를 시행하여서 비교하였다. 결 과 : Motor Performance Series에서 수면박탈에 따라서 상지의 오른손의 운동 기능에 있어 수행능력의 저하가 나타났다. 각 소검사를 보면 tapping의 total number(p<.005), line tracking의 number of misses(p<.05), length of misses (p<.05), inserting short pin의 total length(p<.01), inserting long pin의 total length(p<.05), aiming의 number of misses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기능의 저하가 나타났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는 38시간의 수면박탈만으로도 유의미한 운동기능의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며, 특히 가장 예민하게 미세 운동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우세한 오른손에서 기능저하가 나타났다. Inserting long pin보다는 inserting short pin 검사에서 기능이 저하되었고, line tracking, aiming에서 검사 결과의 수행 저하가 두드러진 것으로 보아서, 미세한 운동기능일수록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겠으며, line tracking에서 전체 검사 시간은 감소되며, 수행에서 실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아, 수면박탈에 따라서 조급한 수행이 이루어진다고 보여진다. 또한 주어진 32초간의 시간 안에 최대한의 속도로 펜을 두드리는 tapping 검사에서 두드러진 저하를 보인 점에서, 수면박탈에 의하여 근육의 피로가 쉽게 나타난다고 생각 할 수 있겠다.

  • PDF

The improvement of right ventricular function after adenotonsillectomy in children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 Kim, Dong Yeop;Ko, Kyung Ok;Lim, Jae Woo;Yoon, Jung Min;Song, Young Hwa;Cheon, Eun 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12호
    • /
    • pp.392-396
    • /
    • 2018
  • Purpose: Adenotonsillar hypertrophy (ATH) that causes upper airway obstruction might lead to chronic hypoxemic pulmonary vasoconstriction and right ventricular (RV) dysfunction. We aimed to evaluate whether adenotonsillectomy (T&A) in children suffering from obstructive sleep apnea (OSA) due to severe ATH could improve RV function. Methods: Thirty-seven children (boy:girl=21:16; mean age, $9.52{\pm}2.20years$), who underwent T&A forsleep apnea due to ATH, were included. We analyzedthe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mPAP), the presence and the maximal velocity of tricuspid regurgitation (TR), the tricuspid annular plane systolic excursion (TAPSE), and the right ventricular myocardial performance index (RVMPI) with tissue Doppler echocardiography (TDE) by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pre- and post-T&A. The follow-up period was $1.78{\pm}0.27years$. Results: Only the RVMPI using TDE improved after T&A ($42.18{\pm}2.03$ vs. $40{\pm}1.86$, P=0.001). The absolute value of TAPSE increased ($21.45{\pm}0.90mm$ vs. $22.30{\pm}1.10mm$, P=0.001)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z score of TAPSE pre- and post-T&A ($1.19{\pm}0.34$ vs. $1.24{\pm}0.30$, P=0.194). The mPAP was within normal range in children with AT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A ($19.6{\pm}3.40$ vs. $18.7{\pm}2.68$, P=0.05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sence and the maximal velocity of TR (P=0.058). Conclusion: RVMPI using TDE could be an early parameter of RV function in children with OSA due to ATH.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Sleep Before and After Surgic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tion

  • Ogden, Mustafa;Akgul, Mehmet Huseyin;Yuksel, Ulas;Bakar, Bulent;Kamasak, Kagan;Ozveren, Mehmet Fai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5호
    • /
    • pp.600-607
    • /
    • 2018
  • Objective : It has been reported in recent studies that 50-80% of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have concomitant sleep disord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leep before and after surg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and to assess the effects on treatment. Methods : The study included 32 patients performed discectomy and fusion with an intervertebral cage through the right anterior cervical approach.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Visual Analog Scale (VAS)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were applied to all patients preoperatively and at one month postoperatively. Results : The postoperative PSQI total points and all the PSQI subscale points, the ODI and VAS scor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values. A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reoperative ODI points and the PSQI total points and sleep duration, sleep latency and daytime functional loss subscale poi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preoperative ODI points and VAS poi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reoperative VAS points and and the PSQI total points and sleep duration, and sleep latency subscale points. A negative correlation was determined between the postoperative ODI and the daytime functional loss subscale point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in patients with cervical disc hernia, sleep quality and daytime functionality were negatively affected by severity of pain that limited daily activities. Bringing the pain under control with surgical treatment was observed to increase sleep quality.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planning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could be a sleep disorder in addition to the complaints and symptoms such as pain, hypoestesia and loss of strength.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이 수면장애 성인 여자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Essential Oil Aroma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Female Young Adults with Sleep Disorders)

  • 정한나;최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77-1084
    • /
    • 2012
  • 아로마 향기요법에서 마조람(Origanum majorana)향이 여성의 뇌기능에 미치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해 뇌파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20대 여자 성인(29명)을 대상으로 검증된 수면장애 조사를 통하여 수면질을 조사하여 수면에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선별하고 마조람 향기요법을 실행하여 뇌파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20 국제법에 의하여 전두부, 측두부, 후두부, 두정부에 뇌파 전극을 부착하였다. 마조람(50 ${\mu}l$)를 사용하여 향기요법 전 3분, 향기요법 중 3분, 그리고 향기요법 후 3분씩 나누어서 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에서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마조람향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은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 좌측 전두부와 두정부, 우측 전두부와 후두부에서 세타파를 증가시키고, 좌측 후두부에서 알파파를 감소시키며, 우측 측두부에서 베타파를 감소시켰다. 또한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 있어서 양쪽 대뇌반구의 측두부와 우측 전두부에서 세타파가 증가되었으며, 알파파가 좌측 두정부에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마조람 에센셜 향기요법은 수면질이 좋은 여자에게 알파파와 베타파를 감소시킴으로써, 수면질이 나쁜 여자에게는 알파파 감소를 통하여 각성 상태에서 벗어나게하고, 수면질이 좋은 사람뿐만 아니라 수면질이 나쁜 사람에게도 세타파의 증가를 통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뇌기능 효능이 있었다.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가 심혈관계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on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2호
    • /
    • pp.129-139
    • /
    • 1997
  •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의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를 동반한 환자들에서는 여러가지 심혈관계 기능부전이 초래되어 이들 환자의 임상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수면 무호흡증후군,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수면장애의 여러 가지 원인 중 임상영역에서 가장 흔히 볼수 있는 질환으로 전신성 고혈압,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및 우심실 부전,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뇌졸증등의 발병률이 정상인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과 달리 중추성 수면 무호흡은 수면중에 호흡중추를 불안정하게 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역시 심혈관계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는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달리 만성적인 저산소증과 고탄산증이 동반되며 이로 인해 심부정맥, 폐동맥 고혈압, 우심실 부전(폐성심) 등의 심혈관계 이상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면 무호흡을 포함한 수면과 관련된 호홉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는 호흡기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더불어 동반될 수 있는 심혈관계의 기능부전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기관절개술, 기계적 호흡, 지속적 양압공급치료, 적절한 산소요법 등의 적극적이고도 효과적인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서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