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ght hand

검색결과 1,065건 처리시간 0.03초

공격위치에 따른 핸드볼 스텝슛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al Analysis of Handball Step Shoot according to Attack Position)

  • 강상학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66
    • /
    • 2005
  • The present study used a video analysis system to quantify the kinematical data of step shoot motion by male university handball players.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dynamic variables of step shoot motion according to shooting direction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1. The height of release was proportional to the height of players, and the height of release appeared low in left-side attacks.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left-right-throwing angle is larger in left-side attacks than that in center attacks and right-side attacks and, as a result, the throwing arm is lowered down in throwing. 2. The left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body was larger in order of right-side attacks > center attacks > left side attacks. 3. Players' throwing form was close to three quarter style in left-side attacks. In center and right-side attacks, the arm was somewhat more upright but still it was more three quarter style than overhand style. 4. The front-rear throwing angle at the moment of release was much higher in right-side attacks than in left-side ones.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point of time for releasing the ball is usually late in right-side attacks and, as a result, the front-rear throwing angle becomes quite large. 5. The contribution of body parts on the ball speed was higher in order of the forearm > upper arm, hand > shoulder joint. 6. In players whose distance between the two legs at the moment of release, their body usually did not incline to the side much.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rrect the right leg in their shooting motion. 7.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rowing form, the speed of the ball at the moment of leaving the hand was faster in right-side attacks than in left-side and center attacks.

손의 추적과 제스쳐 인식에 의한 슬라이드 제어 (Controlling Slides using Hand tracking and Gesture Recognition)

  • ;이은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6-439
    • /
    • 2012
  • The work is to the control the desktop Computers based on hand gesture recognition. This paper is worked en real time tracking and recognizes the hand gesture for controlling the slides based on hand direction such as right and left using a real time camera.

여대생들의 각막기본 곡률, 난시, 굴절력 (The Corneal Base Curve, Astigmatism, and Power of Women College Students)

  • 김덕훈;최호성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3-57
    • /
    • 2001
  • 각막의 구조와 기능은 연령에 따라 다소 변화한다. 본 연구는 케라토미터를 이용하여 각막의 곡률, 굴절력, 난시축에 대해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피검자는 19세와 20세로 하였다. 19세의 우안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64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81 mm이며, 좌안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65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83 mm이다. 한편 20세의 우안과 좌안의 수직각막 곡률 반경은 약 7.72 mm이고, 수평 곡률 반경은 약 7.75 mm이다. 19세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21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32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4.23 diopter 이고 수평굴절력이 약 43.24 diopter이다. 한편 20세의 우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3.67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62 diopter이며, 좌안 수직각막 굴절력은 약 43.73 diopter이고 수평굴절력은 약 43.60 diopter이다. 축에 따른 각막난시의 형태는 19세 우안은 직난시가 약 83%, 도난시가 약 16%이고, 좌안은 직난시가 약 86%이고 도난시는 12%였다. 20세 우안은 직난시가 약 56%이고, 도난시가 약 44%이며, 좌안은 직난시가 56%이고, 도난사가 41%로 나타났다. 난시의 도수에 대해서 1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36%이고 좌안은 31%이나 20세는 좌우안 모두 37.5%이다. l diopter 이상에서 2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과 좌안은 42%이나, 20세의 우안은 34.4%이고 좌안은 43.8%이다. 한편 2 diopter 이상에서 3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12%이나 좌안은 22%이고, 20세의 우안은 15.6%이고 좌안은 12%이다. 3 diopter 이상에서 4 diopter 미만은 19세 우안은 6%이고 좌안은 2%이나, 20세는 우안만 9%이다.

  • PDF

생물광자의 좌우 및 손바닥과 손등의 상관성 조사 (Correlation of biophoton emission between left and right hands, and palm and back of hands)

  • 양준모;정현희;우원명;이승호;양종수;소광섭;윤길원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55-360
    • /
    • 2004
  • 세 명의 건강한 피험자의 손에서 방출되는 생물광자의 측정을 매주 금요일에 6회씩 일년간 수행하였다. 좌우 손바닥의 생물광자 방출량의 상관계수는 0.9였으며, 좌우 손등의 경우에도 유사하였다. 손바닥과 손등의 상관계수는 평균 0.5로 나왔으며, 이 결과는 장웨이보의 $CO_2$ 발생률의 상관성과 부합되며, 한의학의 음경과 양경맥의 기능간 상관성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손잡이 유형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2D:4D)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2nd to 4th Digit Ratio according to Type of Handedness in University Students)

  • 김수일;조근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245-125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잡이 유형에 따른 손가락 길이비(2D:4D)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자료수집은 2010년 10월 4일부터 2012년 4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손잡이 유형 평가 후, 캘리퍼를 사용하여 양손의 집게손가락과 반지손가락의 길이가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2D:4D는 왼손잡이는 왼손에서,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에서 성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러나 손잡이 유형에 따라서는 남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에서 왼손잡이는 좌우 2D:4D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오른손잡이는 오른손이 유의하게 2D:4D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 2D:4D의 상관관계는 남자에서는 오른손잡이의 상관관계가 높았고, 여자에서는 왼손잡이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2D:4D는 한국인에서 손잡이 유형사이에 차이는 없으나, 성차이와 좌우 2D:4D의 상관관계는 손잡이 유형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 도플러 레이다와 머신러닝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 (Hand Gesture Classification Using Multiple Doppler Radar and Machine Learning)

  • 백경진;장병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33-4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손동작을 이용해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다중 도플러 레이다와 머신러닝의 일종인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나의 도플러 레이다는 간단한 손동작만을 인식할 수 있는데 반해, 다중 도플러 레이다는 레이다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도플러 효과가 발생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손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손동작을 분류하면 손동작 인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다중 도플러 레이다와 머신러닝을 이용한 손동작 인식 시스템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두 개의 도플러 레이다, NI DAQ USB-6008, MATLAB을 이용한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구현된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Push, Pull, Right Slide 및 Left Slide의 4가지 손동작 인식 실험을 수행하였고, SVM 모델을 적용하여 손동작 인식의 높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뇌열 1예의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 (Functional-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a Case of Schizencephaly)

  • 변우목;한봉수;이재교;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4권1호
    • /
    • pp.14-19
    • /
    • 2000
  • 목적 : 뇌열환자에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이용하여 뇌기능을 지도화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대뇌반구에 뇌열 소견이 있으며 좌측 편측부전마비를 보인 28세 남자환자를 대상으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경두부 자기자극을 시행하였다. 임상적으로 좌측 손의 운동기능은 감소되어 있었고, 우측 손의 운동기능은 정상범주에 속하였다. 뇌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EPI 기법을 이용하였고 운동자극은 1-2 Hz의 주기로 손가락을 아래위로 구부리게 하는 운동을 시행하였고 15초의 휴식기와 15초의 운동기를 반복하여 절편당 60 개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두부자기자극은 지름 90mm의 원형 자성자극기를 이용하여 maximal out-put의 80%로 자극하여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유발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을 구하였다. 결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결과 정상적인 우측손의 운동자극시에 좌측 운동피질이 활성화되었고 좌측손의 운동자극시에는 좌측운동피질, 좌측 부가운동영역, 그리고 자측 전운동영역에 활성화소견이 나타났다. 두부자기자극에서는 우측 대뇌반구에서는 한군데에서도 운동유발 전위가 발생되지 않았다. 좌측 대뇌반구에서는 5군데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으며 모두 양측 단무지 외 전근에서 운동유발전위가 유발되었다. 양손에서 운동유발전위의 잠시 , 진폭 모양이 유사하였다. 결론: 뇌열환자의 손운동기능의 피지도화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두부자기자극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었다. 뇌열환자의 동측 운동경로는 동일한 운동피질로부터 기원한 동측피질척수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 PDF

4가지 종류의 좌측 핸드 컨트롤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EMG 분석 및 운전 성능 평가 (Analysis of EMG Activities and Driving Performance for Operating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 Devices)

  • 송정헌;김용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43-152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MG characteristics of driver's upper limb and driving performance for operating accelerator and brake pedal by using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 devices(Push/Pull, Push/Right angle, Push/Rock, Push/Twist) during simulated driving.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ower extremity have problems in operation of the vehicle because of functional impairments for controlling accelerator and brake pedal. Therefore, if hand control device is used for adaptive driving controls in persons with lower extremity loss, the disabled people could improve their quality of mobility life by driving a car. Twenty subjects were involved in this research to assess driving performance and EMG activities for operating accelerator and brake pedal by using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s in driving simulator. We measured EMG responses of six muscles(posterior deltoid, middle deltoid, biceps, triceps, extensor carpi radialis, and flexor carpi radialis) during pulling and pushing movement with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s for acceleration and braking. STISim Drive 3 program was used for evaluation test of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 devices in straight lane course for time to reach target speed and brake reaction time. While operating the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s for acceleration, EMG activities of posterior deltoid in normal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 < 0.05) compared to the disabled subjects. It was also found that EMG responses of triceps and posterior deltoi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 < 0.05) when using the Push/Right angle type than Push/Pull type. While operating the four types of left hand controls for braking, EMG activities of flexor carpi radialis and triceps in subjects with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 < 0.05) compared to the normal subjects. It was shown that muscle responses of posterior deltoid, middle deltoid and trice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using the Push/Right angle type than Push/Rock type. Time to reach target speed and brake reaction time in subjects with disability was increased by 2.5% and 4.6% on average compared to normal subjects.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showed a tendency to relatively slow performance in acceleration at the straight lane course.

광대역 이중편파 무선 중계기용 패치안테나 설계 및 제작 (The Design and Fabrication for Wireless Repeater Patch Antenna of Wide-band Dual polarization)

  • 이한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87-129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1.525GHz~1.665GHz 넓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편파 패치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넓은 대역폭 및 고 이득을 갖기 위해 GND기판으로 부터 Air층을 높게 적용하였으며, 광대역 축비 및 고 이득을 갖기 위해 기생패치를 적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안테나의 정재파비(VSWR)는 전 대역에서 1.9 이하를 나타내며, 반사손실 S11과 S22는 전 대역에서 -10dB이하로 시뮬레이션과 유사한 특성 결과를 얻었다. LHCP(Left Hand Circular Polarization) 및 RHCP(Right Hand Circular Polarization)의 격리 특성은 시뮬레이션 특성보다 더 개선되어 전 대역에서 -13dB이하로 만족한 결과를 얻었다.

fMRI를 이용한 성인 편마비의 항조절점 운동이 대뇌피질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Activity of Cerebral Cortex by Key-point Control of The Adult Hemiplegia with fMRI)

  • 이원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5권3호
    • /
    • pp.295-345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activation of cerebral cortex in patients with hemiplegia that was caused by neural damage. Key-point control movement therapy of Bobath was performed for 9 weeks in 3 subjects with hemiplegia and fMRI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activated degree of cerebral cortex in these subjects. fMRI was conducted using the blood oxygen level-dependent(BOLD) technique at 3.0T MR scanner with a standard head coil. The motor activation task consisted of finger flexion-extension exercise in six cycles(one half-cycles = 8 scans = $3\;sec{\times}\;8\;=\;24\;sec$). Subjects performed this task according to visual stimulus that sign of right hand or left hand twinkled(500ms on, 500ms off). After mapping activation of cerebral motor cortex on hand motor function, below results were obtained. 1. Activation decreased in primary motor area, whereas it increased in supplementary motor area and visual association area(p<.001). 2. Activation was observed in bilateral medial frontal gyrus, middle frontal gyrus of left cerebrum, inferior frontal gyrus, inter-hemispheric, fusiform gyrus of right cerebrum, superior parietal lobule of parietal lobe and precuneus in subjedt 1, parahippocampal gyrus of limbic lobe and cingulate gyrus in subject 2, and inferior frontal gyrus of right frontal lobe, middle frontal gyrus, and inferior parietal lobule of left cerebrum in subject 3 (p<.001). 3. Activation cluster extended in declive of right cellebellum posterior lobe in subject 1, culmen of anterior lobe and declive of posterior lobe in subject 2, and dentate gyrus of anterior lobe, culmen and tuber of posterior lobe in subject 3 (p<.001). In conclusion, these data showed that Key-point control movement therapy of Bobath after stroke affect cerebral cortex activation by increasing efficiency of cortical networks. Therefore mapping of brain neural network activation is useful for plasticity and reorganization of cerebral cortex and cortico-spinal tract of motor recovery mechanisms after strok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