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ight Brain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25초

Microvascular Decompression for Hemifacial Spasm Associated with Vertebrobasilar Artery

  • Kim, Joo-Pyung;Park, Bong-Jin;Choi, Seok-Keun;Rhee, Bong-Arm;Lim, Young-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4권3호
    • /
    • pp.131-135
    • /
    • 2008
  • Objective : Hemifacial spasm (HFS) is considered as a reversible pathophysiological condition mainly induced by continuous vascular compression of the facial nerve root exit zone (REZ) at the cerebellopontine angle. As an offending vessel, vertebrobasilar artery tends to compress much more heavily than others. The authors analyzed HFS caused by vertebrobasilar artery and describ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icrosurgical findings and clinical courses. Methods : Out of 1,798 cases treated with microvascular decompression (MVD) from Jan. 1980 to Dec. 2004. the causative vessels were either vertebral artery or basilar artery in 87 patients. Seventy-ni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eoperatively, computed tomography (CT) or brain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with 3-dimentional short range MR technique was performed and CT was checked immediately or 2-3 days after anesthetic recovery. The authors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the compression patterns of the vessels at the time of surgery and treatment outcomes. Results : There were 47 were male and 32 female patients. HFS developed on the left side in 52 cases and on the right side in 27. The mean age of onset was 52.3 years (range 19-60) and the mean duration of symptoms was 10.7 years. Many patients (39 cases; 49.1%) had past history of hypertension. HFS caused only by the vertebral artery was 8 cases although most of the other cases were caused by vertebral artery (VA) in combination with its branching arteries. Most frequently, the VA and the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PICA) were the simultaneous causative blood vessels comprising 32 cases (40.5%). and in 27 cases (34.2 %) the VA and the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AICA) were the offenders. Facial symptoms disappeared in 61 cases (77.2%)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and 68 cases (86.1%) showed good outcome after 6 months. Surgical outcome just after the operation was poor in whom the perforators arose from the offending vessels concurrently (p<0.05). Conclusion : In case where the vertebral artery is a cause of HFS, commonly branching arteries associated with main arterial compression on facial REZ requires more definite treatment for proper decompression because of its relatively poor results compared to the condition caused by other vascular compressive origins.

초급성 두개내 출혈 환자에서 조영제의 혈관외 누출을 동반한 비전형적 자기공명영상 (Unusual MR Features of Extravasation of Contrast Material in Hyperacute Intracerebral Hemorrhage)

  • 최승홍;전우선;김지훈;강현승;권배주;나동규;김재형;한문희;장기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9권1호
    • /
    • pp.50-56
    • /
    • 2005
  • 초급성 두개내 출혈에 있어서 조영제의 혈관외 누출은 급성 출혈을 의미하며, 혈종의 크기 증가를 예견하는 소견이다. 또한, 임상 의사들에게는 적절한 치료 방침 결정에 있어 중요한 소견이다 우리는 세 명의 초급성 두개내 출혈 환자에서 비전형적인 조영제의 혈관외 누출을 보인 자기공명 영상을 보고하고자 한다. 첫 번째 증례는 우측 기저핵과 좌측 측뇌실에 동시에 발생한 조영제 혈관외 누출의 예이며, 두 번째 증례는 혈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조영증강을 보이는 종양이나 혈관 질환을 감별하였던 비교적 다량의 조영제의 혈관외 누출을 보인 증례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증례는 고혈압 환자에서 자기공명 영상을 얻는 중에 발생한 급성 출혈의 예이다.

  • PDF

Effects of Newly Synthesized Recombinant Human Amyloid-β Complexes and Poly-Amyloid-β Fibers on Cell Apoptosis and Cognitive Decline

  • Park, Soojin;Huh, Jae-Won;Eom, Taekil;Park, Naeun;Lee, Youngjeon;Kim, Ju-Sung;Kim, Sun-Uk;Shim, Insop;Lee, Sang-Rae;Kim, Ekyun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1호
    • /
    • pp.2044-2051
    • /
    • 2017
  • The main pathological hallmark of Alzheimer's disease is the deposition of amyloid-beta ($A{\beta}$) peptides in the brain. $A{\beta}$ has been widely used to mimic several aspects of Alzheimer's disease. However, several characteristics of amyloid-induced Alzheimer's disease pathology are not well established, especially in mice.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Alzheimer's disease model by investigating how $A{\beta}$ can be effectively aggregated using prokaryotes and eukaryotes. To express the $A{\beta}42$ complex in HEK293 cells, we cloned the $A{\beta}42$ region in a tandem repeat and incorporated the resulting construct into a eukaryotic expression vector. Following transfection into HEK293 cells via lipofection, cell viability assay and western blotting analysis revealed that exogenous $A{\beta}42$ can induce cell death and apoptosis. In addition, recombinant His-tagged $A{\beta}42$ was successful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DE3) and not only readily formed $A{\beta}$ complexes, but also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SH-SY5Y cells and E. coli. For in vivo testing, recombinant His-tagged $A{\beta}42$ solution ($3{\mu}g/{\mu}l$ in $1{\times}PBS$ containing $1mM\;Ni^{2+}$) was injected stereotaxically into the left and right lateral ventricles of the brains of C57BL/6J mice (n = 8). Control mice were injected with $1{\times}PBS$ containing $1mM\;Ni^{2+}$ following the same procedure. Ten days after the sample injection, the Morris water maze test confirmed that exogenous $A{\beta}$ caused an increase in memory loss.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Ni^{2+}$ is capable of complexing the 50-kDa amyloid and that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A{\beta}42$ can lead to cognitive impairment, thereby providing improved Alzheimer's disease models.

망가진 시선으로부터 확장된 추상까지 (From Broken Visions to Expanded Abstractions)

  • 막스 하틀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9호
    • /
    • pp.697-712
    • /
    • 2017
  • 최근 영화적 제작에서 필름과 애니메이션은 입체시각과 3D 댑스를 관객들을 위해 만들고 있다. 소비자 입장의 VR 기술의 성숙은 동시에 미디어 제작 추세를 3D 공간, 컴퓨터 게임에서 포르노 비디오 그리고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된 VR 단편 'Pearl'에 이르기까지 박차를 가한다. 이 모든 작업들이 양안시차의 정도에 반응하는 우리의 눈이 뇌의 좌우반구에 영향을 받아 입체시를 이루는 입체 퓨전과 연관이 있다. 이는 인간의 정상 시각을 모방한 것이다. 하지만 실험적 작업에서는 3D 공간 제작이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다. 본인의 추상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본인은 2D의 평평함과 장소의 혼돈성을 즐겨 사용한다. 이러한 점이 본인이 추상적 시각을 추구하는 부분이다. 내 앞에 있는 것과 무엇이 뒤에 있는지를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없어서, 감상에서 요구되는 효과를 강화한다. 2015년에 큐레이터인 제프리 쇼(Jeffrey Shaw)가 나에게 아니마 믹스 비엔날레(2015~2016)를 위한 입체시각 작품 제작을 요구했다. 이것이 나로 하여금 어떻게 3차원에서 초결정적 공간보다 입체경이 장소적 시각의 혼돈을 성취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호기심이 일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연달아서, 어떻게 추상과 실험 움직임 이미지 실행이 입체경으로부터 새로운 시각과 네러티브 기회를 여는 해택을 얻을 수 있는가, 만약 유기적인 융합을 넘어서는 방법으로 사용된다면 말이다. 주목할 만한 작업은 전통성 내의 전형적인 예, 양안시에 대한 확장된 접근이 본 논문에서 논의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본인이 아니마믹스 비엔날레를 위해 작업한 반복 입체시 애니메이션 III=III의 간략한 소개와 예술가들이 관심가질 만한 기술, 즉 입체시와 관련된 더욱 실험적이고 확장된 작업방법에 대해 논할 것이다.

모야모야병과 동반된 신 동맥 협착에 따른 신성 고혈압을 보인 1례 (A Case of Renovascular Hypertension Due to Renal Artey Stenosis Related to Moyamoya Disease)

  • 김정아;김승;김효선;신재일;정일천;김동석;김명준;이도연;이재승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1권2호
    • /
    • pp.294-298
    • /
    • 2007
  • 모야모야병은 주로 뇌혈관 협착을 유발하여 측부순환을 생성하는 질환으로 최근 뇌혈관 이외의 혈관에도 침범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모야모야병에서 폐동맥, 관상동맥, 말초동맥 및 신동맥의 협착을 동반한 증례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 중 신동맥 협착을 동반한 경우 이로 인한 신성고혈압을 보이는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모야모야병에서 지속적인 고혈압을 보여 2차적인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모야모야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항상 면밀하게 평가되어야 할 부분이다. 저자들은 모야모야병으로 양측 뇌경질막동맥간접문합술을 시행 받고 경과관찰 하던 환아에서 지속되는 고혈압으로 인해 발견된 신동맥 협착 및 이로 인한 신성 고혈압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al Results of Different Myocardial Protection Techniques in Aortic Stenosis

  • Lee, Jung Hee;Jeong, Dong Seop;Sung, Kiick;Kim, Wook Sung;Lee, Young Tak;Park, Pyo W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164-173
    • /
    • 2015
  • Background: Hypertrophied myocardium is especially vulnerable to ischemic injury.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arly and late clinical outcomes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myocardial protection in patients with aortic stenosi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225 consecutive patients (mean age, 65{\pm}10 years; 123 males) with severe aortic stenosis who underwent aortic valve replacement. Patients were excluded if they had coronary artery disease, an ejection fraction <50%, more than mild aortic regurgitation, or endocarditi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which was treated with antegrade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group B, which was treated with antegrade crystalloid cardioplegia using histidine-tryptophan-ketoglutarate (HTK) solution; and group C, treated with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Results: Group A contained 70 patients (31.1%), group B contained 74 patients (32.9%), and group C contained 81 patients (36%). The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 New York Heart Association functional classification ${\geq}III$ (p=0.035), N-terminal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levels (p=0.042), ejection fraction (p=0.035), left ventricular dimensions (p<0.001), left ventricular mass index (p<0.001), and righ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p <0.001). Differences in cardiopulmonary bypass time (p=0.532) and aortic cross-clamp time (p=0.48) among the three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uring postoperative recove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the use of inotropes (p=0.328), mechanical support (n=0), arrhythmias (atrial fibrillation, p=0.347;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p=0.1), and ventilator support time (p=0.162). No operative mortality occurred. Similar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ong-term outcomes. Conclusion: Although the three groups showed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patient characteristics, both antegrade crystalloid cardioplegia with HTK solution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led to early and late clinical results similar to those achieved with combined antegrade and retrograde cold blood cardioplegia.

기합소리 유형에 따른 H-reflex변화와 MVIC변화 분석 (A Study on H-reflex Change and MVIC Change Depending upon Shouting Type)

  • 정익수;오정환;이동진;이건희;이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55-661
    • /
    • 2009
  • 본 연구는 기합소리를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인체내부의 근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H-reflex방법과 대퇴직근의 MVIC측정을 하여 추후 충격력과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최적의 기합소리의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설계하였다. 가자미근 H반사는 정강신경이 지나가는 오금에 전기자극을 주어 유발하였고, 표면근전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결과 기합 없이 측정한 결과 보다 기합을 지르면서 측정 시 28%증가하였고, 기합을 짧게 지른 직후 측정한 결과 29%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근전도 측정은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Rectus femoris)에 표면전극을 부착해 MVIC를 측정한 결과 기합의 유형에 따라 10%와 1%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기합이 운동신경효율성(H-reflex)과 MVIC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근력증대에 긍정적인 요인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근력증대의 변인 중 기합소리뿐만 아니라 호흡과 관련된 연구, 뇌파와 관련된 연구 등 일반화시킬 수 있는 많은 변인들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김할머니' 사례로 살펴본 가정적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연구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과 관련하여- (The Supreme Decision on the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Madam kim' Case Reviewed by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Determination Act)

  • 김장한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257-279
    • /
    • 2016
  • 최근에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고, 2017년 8월 4일부터 효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 법은 임종 과정 환자를 연명 의료 중단의 대상으로 하고, 말기 환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받도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김할머니 사건은 뇌손상으로 지속적 식물상태에 빠진 환자에 대하여 가족이 인공호흡기 제거를 요청한 사건으로, 2009년 대법원이 일정한 요건을 인정하여 인공호흡기 제거를 허용한 사건이다. 김할머니 사건에 대하여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을 적용하였을 때, 과연 대법원과 같은 내용의 결정이 내려 질 수 있는지 가정적 적용을 시도하였다. 환자연명의료결정법은 임종과정 환자 연명의료결정에 환자의 의사내용을 요건으로 하기 때문에, 도리어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할 수도 있고, 과잉적 의료개입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말기 환자의 경우는 연명의료중단에 대하여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김할머니 사건에서 인공호흡기 제거가 불가능하다고 해석할 가능성도 있다. 현재 법에는 암, 후천성면역결핍증, 만성폐쇄성호흡기 질환, 만성간경화 및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질환을 말기 환자로 규정하고 있는데, 보건복지부 지침 등을 통하여 김할머니와 같은 지속적 식물상태를 명확하게 제외하다는 해석이 필요하고, 전체적으로는 말기 환자의 사전 연명 의료 의사에 대한 자기 결정권 인정 여부에 대하여 재논의도 필요하다.

  • PDF

사망이 확인되었던 폐암환지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Lung Cancer Confirmed to be Dead in the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s)

  • 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호
    • /
    • pp.86-95
    • /
    • 1992
  • We have performed surgical operations for 184 primary lung carcinomas over a 10 year period from December, 1979 to December, 1990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We have reviewed 77 cases confirmed to be dead in the post-operative follow-up period among 184 cases. There were 68 males and 9 females [M: F=7.56: 1], with 76.62% ranging between 50 to 70 years old There were 50 cases[64.94%] of squamous cell carcinoma, 15[19.48%] of adenocarcinoma, 4[5.19%] of large cell carcinoma, 4[5.19%] of mixed cell carcinoma 3 [3.90%] of small cell carcinoma % 1 case of bronchoalveolar cell carcinoma. There were 25 cases[32.47%] in stage I, 12 [15.58%] in stage II 32 [41.56%] in stage IIIa and 8 [10.39%] in stage IIIb according to the new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for lung cancer. The operative methods were left pneumonectomy in 38 cases, right pneumonectomy in 21, bilobectomy in 5, lobectomy in 12, and wedge resection in one case.ase. There were 9 operative mortalities; one case by bleeding, 5 cases by respiratory failure, one case by bleeding & renal failure, one case by empyema thoracis with BPF and one case by brain metastases. The actuarial mean survival length was 14.636$\pm$18.188months overall and 16.441$\pm$18. 627months in 68 cases excluding 9 operative deaths. The actuarial mean survival length was 18.568$\pm$11.057 months in 43 squamous cell carcinomas, 14.385$\pm$11.057 months in 14 adenocarcinomas, 10.250$\pm$8.884months in 4 large cell carcinomas and 12.250$\pm$17.193months in 4 mixed cell carcinomas. The actuarial mean survival length was 14.051$\pm$16.963months in 59 pneumonectomy cases, 15.200$\pm$12.478 months in 5 bilobectomy cases, 18.417$\pm$26.026months in 12 lobectomy cases. The actuarial mean survival length was 28.952$\pm$25.738months in 22 stage I cases, 19. 455$\pm$16.723months in ll stage II cases, 8.633$\pm$6.584months in 29 stage IIIa cases and 6. 167$\pm$4.355months in 6 stage IIIb cases. The differences of actuarial mean survival length according to the sta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0.003]

  • PDF

정신분열병 환자의 임상적 증세 호전에 따른 $^{99m}Tc$-HMPAO 뇌 SPECT 소견의 변화 (Effect of Clinical Improvement of Schizophrenic Symptoms on $^{99m}Tc$-HMPAO Brain SPECT)

  • 신철진;궁성수;정인원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0-319
    • /
    • 1997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후의 국소뇌혈류량의 변화 및 증상호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DSM-IV 진단기준에 의거한 총 1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 6주째에 $^{99m}Tc$-HMPAO 뇌 SPECT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PANSS를 사용하여 정신병리를 함께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은 입원전 최소 2주간의 항정신병 약물 비복용기간을 거친 환자들이었으며 이중 3명은 과거 항정신병약물의 복용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6주간의 약물 치료훼 환자들은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 호전군과 비호전군으로 나누어졌으며 이들간의 뇌국소혈류지수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두엽의 혈류지수는 양집단 모두에서 감소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측 측두엽의 혈류량은 호전군에서 유의하게 많이 감소하였고 또한 우측 측두엽의 혈류량의 감소량은 PANSS 총점의 감소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측두엽의 활동성간의 관계를 시사하는 소견이라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