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reflex Change and MVIC Change Depending upon Shouting Type

기합소리 유형에 따른 H-reflex변화와 MVIC변화 분석

  • Published : 2009.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shouting actions on the strength of the human body. Both H-reflex and MVIC measures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were used to investigate effects on impact force and motor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optimum shouting methods. The H-reflex of the soleus muscle gave an electric stimulus to the curve of the knee that contains the tibial nerves. Surface electromyelography was used to collect muscle activity the amplitude increased 28% at action with shouting and 29% at the one immediately after short-time shouting than the one without shouting was. To assess the myoelectric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a surface electrode was atta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lower extremity and to increase 10% and 1% depending upon shouting typ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Shouting affected not only motor efficiency (H-reflex), but also the amplitude of MVIC, with a positive effect on increased muscle strength. Further comprehensiv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many variables of increased muscle strength for general purposes, for instance, shouting and breathing, brain waves, and so on.

본 연구는 기합소리를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인체내부의 근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H-reflex방법과 대퇴직근의 MVIC측정을 하여 추후 충격력과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최적의 기합소리의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설계하였다. 가자미근 H반사는 정강신경이 지나가는 오금에 전기자극을 주어 유발하였고, 표면근전도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결과 기합 없이 측정한 결과 보다 기합을 지르면서 측정 시 28%증가하였고, 기합을 짧게 지른 직후 측정한 결과 29%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근전도 측정은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Rectus femoris)에 표면전극을 부착해 MVIC를 측정한 결과 기합의 유형에 따라 10%와 1%의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기합이 운동신경효율성(H-reflex)과 MVIC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았을 때 근력증대에 긍정적인 요인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근력증대의 변인 중 기합소리뿐만 아니라 호흡과 관련된 연구, 뇌파와 관련된 연구 등 일반화시킬 수 있는 많은 변인들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환, 윤준구(2001). 기합이 운동 신경 효율성의 변화와 근력 증대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2(4), 85-93.
  2. 김규호, 박승한, 김정기, 김의식, 허용, 김진형(2006).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등속성 대퇴근력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7(4), 425-431.
  3. 김규호, 박승한, 반부근(2007). 초등학교 태권도 선수의 체력과 등속성 대퇴근력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8(2), 557-562.
  4. 김이수(2004). 동양무예에 있어서 기합의 의미. 한국체육학회지, 43(3), 41-51.
  5. 문영진, 이순호, 임비오(2007). 역도 인상동작 수행시 바벨 증가에 따른 EMG 경향성에 대한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6(4), 1-12. https://doi.org/10.5103/KJSB.2006.16.4.001
  6. 박장규(2005). 태권도 선수들의 대퇴 등속성 근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335-343.
  7. 신성휴, 박기자, 권문석, 김태완(2004). 태권도 발차기 분류에 따른 Muscle Activity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3(4), 497-507.
  8. 윤상진(2006). 원거리 근수축이 H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9. 이상철(1992). 배근력 측정시 기합과 경쟁부여가 최장근의 근전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31(1), 385-390.
  10. 이종호, 이창섭(1983). 기합소리와 근력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지, 10(1), 99-107.
  11. 이충영(2004). 12주간 웨이트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틀이닝이 태권도선수의 대퇴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2693-2705.
  12. 이충영(2005). 대학교 태권도 선수의 체중감량 수준이 대퇴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6), 161-168.
  13. 최창국, 권영진(1983). 기합이 근력증가에 주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22(2), 2161-2166.
  14. 황수진(2006). 기립자세에서 체중부하량에 따른 가자미근 호프만반사의 변화.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5. Chestnut, J. L., & Docherty, D.(1999). The effects of 4 and 10 repetion maximum weight training protocols on neuromuscular adaptations in untrained men.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3(4), 353-359. https://doi.org/10.1519/1533-4287(1999)013<0353:TEOARM>2.0.CO;2
  16. Hakkinen, K.(1989). Neuromuscular and hormonal adaptations during strength and power training: A review. Journal of Sports Medicine and Physical Fitness, 29(1), 9-26.
  17. Sale, D. G.(1988). Neural adaption to resistance training.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5), 135-145. https://doi.org/10.1249/00005768-198810001-00009
  18. Williams, L. R. T., Sullivan S. J., Seaborne, D. E., & Morelli, M.(1992). Reli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for H-reflex recordings. Electromyography Clinical Neurophysiology, 32, 43-49.

Cited by

  1. Influence of the Supplementary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during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ol.11, pp.2, 2016, https://doi.org/10.13066/kspm.2016.11.2.53
  2. The Effect of Supplementary Shouting Technique on Muscle Activity to Rectus Abdominis and External Oblique During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vol.27, pp.1, 2015, https://doi.org/10.18857/jkpt.2015.27.1.1
  3. Comparison between the Ki-hap technique and verbal encouragement on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in healthy participants 2017, https://doi.org/10.1016/j.jbmt.2017.09.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