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etveld Analysi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7초

$LiAl_5O_8-LiFe_5O_8$ 합성과 결정구조 해석 (Crystal structure refinement and synthesis of $LiAl_5O_8-LiFe_5O_8$)

  • 조남웅;김찬욱;장세기;유광수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44-252
    • /
    • 1997
  • $LiCO_3, Al_2O_3, Fe_2O_3$ 혼합물을 1620K에서 반응시켜 리튬전지의 음극재료로 응용이 가능한 스핀넬형 $LiAl_{2.5}/Fe_{2.5}O_8$를 합성하였다. XRD의 Rietveld 해석을 통하여 결정구조 해석을 하였다. 고용체의 공간군은 $P4_3$32(a=8.1293$\AA$)이고, 결정구조해석의 최종 Residual index는 약 5%정도이었다. 역 스핀넬구조에서 양이온 $Al^{3+}, Fe^{3+}$은 4-배위와 6-배위로 위치하고, $Li^+$은 4b, 12d의 6-배위자리에 존재하였다.

  • PDF

Distribution of Pr ions in $Y(Ba_{1-Xn}Pr_{Xn})_2Cu_3O_y$

  • Ha, Dong-Han;Lee, Kyu-Won;Kim, Jin-Tae;Park, Yong-Ki;Park, Jong-Chul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권2호
    • /
    • pp.135-140
    • /
    • 2000
  • Distribution of Pr ions between Y- and Ba-site of the $Y(Ba_{1-Xn}Pr_{Xn})_2Cu_3O_y$ ($0{\leq}Xn{\leq}{0.3}$, Xn : nominal composition) material prepared by the solid state reaction method was studied. Although the samples have narrow superconducting transition, tiny peaks of $Y_2BaCuO_5$ impurity phase are included in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suggesting that some of the Pr ions are entered into the Y-site. The distribution of Pr ions between Y- and Ba-sit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ass fraction of YBCO and $Y_2BaCuO_5$ phase for each sample through the Rietveld analysis of the x-ray diffraction data. About 60 % of Pr ions occupy the Y-site regardless of the Pr content. Various superconducting parameters such as the oxygen content and the hole concentration etc. a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mpurity correction.

  • PDF

MWCNT가 첨가된 시멘트복합체의 수화 및 전기저항 특성 (Hydration and Electrical Resistance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MWCNTs)

  • 이건철;김영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8
    • /
    • 2020
  • 탄소나노튜브는 우수한 역학성, 전기전도성 등으로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건설산업에서는 구조체에 자기센싱 기능을 부여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자들마다 실험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이에 대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WCNT가 첨가된 시멘트페이스트의 수화열, 공극률, 리트벨트 정량분석법, 압축강도, 거리에 따른 전기저항값을 측정하여 수화와 강도특성 및 전기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수화열은 MWCNT가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XRD 리트벨트 정량분석법 결과 MWCNT 첨가율 증가에 따른 수화생성물의 양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압축강도 저하의 원은은 공극률 분석결과 MWCNT가 시멘트페이스트내에서 공극의 양을 증가시겼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SEM분석결과 MWCNT가 반데르발스힘에 의해 뭉쳐져 있어서 이 부위가 공극 및 취약부로 발생것으로 판단된다. 전기저항값은 첨가율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여 추후 자기센싱에 대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ONKCS 방법을 이용한 비정질 실리카 함유 인공광물혼합시료의 정량 X-선회절 분석 (Quantitative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Synthetic Mineral Mixtures Including Amorphous Silica using the PONKCS Method)

  • 전철민;이수정;이성우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7-34
    • /
    • 2013
  • X-선회절 분석은 결정질 물질의 정량과 정성분석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분석기술이며, 따라서 회절자료를 이용한 매우 다양한 광물조성 정량분석법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실리카, 석영, 뮬라이트, 강옥으로 제조한 인공광물혼합시료를 대상으로 리트벨트법과 PONKCS (partial or no known crystal structure) 방법을 적용하여 정량 X-선회절 분석을 수행하였다. 100% 비정질 실리카와 내부표준시료 첨가 시료의 회절자료를 이용하여 PONKCS 방법으로 비정질 실리카의 결정 모형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다. 비정질 실리카의 경우, 원 중량 대비 치우침의 절대값 평균은 1.85 wt%였다. 비정질 실리카의 함량이 작은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치우침을 보이는데, 이는 배경 회절패턴의 강도가 낮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밖에 석영, 뮬라이트, 강옥의 경우, 치우침의 절대값 평균은 각각 0.53 wt%, 0.87 wt%, 0.57 wt%였다. 내부표준물질 혼합법을 적용한 전통적인 리트벨트 정량분석 결과와 비교할 때 PONKCS 방법이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한 인공광물혼합시료에 대하여 신뢰도 높고 성공적인 정량 분석법임을 확인해 주었다.

$Ba2(Ti_{8.472}Zr_{0.528})O_{20}$의 결정구조와 유전특성 (Microstructure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Ba2(Ti_{8.472}Zr_{0.528})O_{20}$)

  • 백남석;이헌식;조남웅;박성;이병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6
    • /
    • 1996
  • A single phase Ba2(Ti8,472Zr0.528)O20 was prepared by the oxalate method from aqueous solution of BaCl2 TiCl4 and ZrOCl2. The structure anan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Rietveld analysis method at room temperature. Powder X-ray data of Ba2(Ti8,472Zr0.528)O20 was indexed with the triclinic lattice(a=7.4587 $\AA$ b=14.0672 $\AA$, c=13.3327 $\AA$, $\alpha$=89.87, $\beta$=79.45 ${\gamma}$=84.46) The R (Residual) values of structure refinement were in a range between 10.00 and 8.00 This analysis proved that the added Zr occupied Ti sites in th structure of Ba2Ti9O20. Ba2(Ti8,472Zr0.528)O20 has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dielectric constant K=40.49 at 5.42 GHz Q=4621) so that it can be used as good microwave dielectric materials.

  • PDF

Formation Condition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of Niobate Tetragonal Tungsten Bronze (TTB) Type Ferroelectrics

  • Naoki Wakiya;Wang, Ju-Kai;Kazuo Shinozaki;Nobuyasu Mizutani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6권4호
    • /
    • pp.380-384
    • /
    • 2000
  • Crystal structure of $Ba_5-5X$Y$_10/3$Nb$_10$O$_30$ was tried to determine by Rietveld analysis using powder X-ray diffraction data. This compound has tetragonal tungsten bronze (TTB) structure with general formula, (Al)$_2$(A2)$_4$(B1)$_2$(B2)$_8$(O1)$_8$(O2)$_8$(O3)$_4$(O4)$_2$(O5)$_4$(O6)$_4$. However,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Ba and Y in Al and A2 sites by the analysis only. Combination of Rietveld analysis and site potentials calculation as well as lattice energy calculations helpe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s the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Ba^2+$ cations occupy A2 (pentagonal tunnel site) and $Y^3+$ cations occupy Al (cubic site). The distribution of cations at each site coincides with the distribution estimated by the difference of ionic radii. This supports the formation condition of TTB which was proposed in our previous report. $Ba_5-5X$Y$_10X/3$Nb$_10$O$_30$ shows ferroelectric characteristics. In this compound, remanent polarization decreases slightly with the composition X.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of crystal structure determination reveals that atomic positions along c-axis for A1, A2, B1 and B2 cations are also decreased with the composition X. This would suggest that the dependence of remanent polarization on composition X is derived by the dependence of atomic coordinates on composition X.

  • PDF

게리 릭트벨트의 색채조형성에 관한 연구 - 가구 디자인과 쉬로더 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lor-Plasticity of G. Rietveld -focused on furniture design and Schr der House)

  • 주서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9호
    • /
    • pp.49-56
    • /
    • 1996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gn methods in the Schrider House executed by the Dutch architect G. Th, Rieveld. The plastic principles which underlies the architecture design a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ew structural joint system (Cartesian Coordinate System) ' and ' Color-Plasticity ' which characterized a series of his furniture design from 1918 to 1924. It indicates that Reitveld attempted to realize the simplicity, clarity and flexibility of spatial expression in his first independent architecture by the application of technical skill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his early days.

  • PDF

분말 X-선 회절의 리트벨트 해석법을 이용한 $(Na_{0.7}Sr_{0.3})(Ti_{0.3}Nb_{0.7})O_3$계에서의 구조 상전이 특성연구 (X-ray Powder Diffraction Structural Phase-transition Study of $(Na_{0.7}Sr_{0.3})(Ti_{0.3}Nb_{0.7})O_3$using the Rietveld Method of Analysis)

  • 정훈택;김호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48-753
    • /
    • 1995
  • NaNb $O_3$70 mol%와 SrTi $O_3$30 mol%의 고용체인 ($Na_{0.7}$S $r_{0.3}$)( $Ti_{0.3}$N $b_{0.7}$) $O_3$는 완전 고용에 의한 one phase의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형성하였으며 온도변화에 대한 유전 특성 측정 결과 100K 부근에서 완만한 유전 피크가 관찰되었다. 유전 피크를 전후한 상온과 12K에서 결정 구조 해석을 Rietveld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결과 상온에서는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의 단위포를 형성하며 공간군은 Pmmm이였고, 12K로 온도를 낮추었을때 역시 단순 페로브스카이트의 a, b 그리고 c격자를 2배로 하는 격자를 격자 상수로 갖는 사방정계 단위포를 형성하나 공간군은 Pnma로 바뀌었다. 이러한 결정 구조의 변화는 c축 방향의 (Ti, Nb)-O-(Ti, Nb) 결합 각도에는 거의 변화가 없이 팔면체 중심의 (Ti, Nb)-O간의 결합 거리가 대칭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이로인해 산소 팔면체가 distortion되어 생기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00K 부근에서의 완만한 유전 피크는 산소 팔면체의 distortion에 의한 구조상전이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수 있었다.다.

  • PDF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Doped LiFe0.48Mn0.48Mg0.04PO4 as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 Jang, Donghyuk;Palanisamy, Kowsalya;Kim, Yunok;Yoon, Won-Sub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02-107
    • /
    • 2013
  •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g-doped $LiFe_{0.48}Mn_{0.48}Mg_{0.04}PO_4$ and pure $LiFe_{0.5}Mn_{0.5}PO_4$ olivine cathodes are examined and the lattice parameters are refined by Rietveld analysis. The calculated atomic parameters from the refinement show that $Mg^{2+}$ doping h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olivine $LiFeMnPO_4$ structure. The unit cell volume is 297.053(2) ${\AA}^3$ for pure $LiFe_{0.5}Mn_{0.5}PO_4$ and is decreased to 296.177(1) ${\AA}^3$ for Mg-doped $LiFe_{0.48}Mn_{0.48}Mg_{0.04}PO_4$ sample. The doping of $Mg^{2+}$ cation with atomic radius smaller than $Mn^{2+}$ and $Fe^{2+}$ ion induces longer Li-O bond length in $LiO_6$ octahedra of the olivine structure. The larger interstitial sites in $LiO_6$ octahedra facilitate the lithium ion migration and also enhance the diffusion kinetics of olivine cathode material. The $LiFe_{0.48}Mn_{0.48}Mg_{0.04}PO_4$ sample with larger Li-O bond length delivers higher discharge capacities and also notably increases the rate capability of the electrode.

중성자회절법을 이용한 이트리아 저코니아의 결정구조 연구 (Neutron Diffraction Study on the Crystal Structure of Yttria-Stabilized Zirconium Oxide)

  • Jin-Ho Lee;Chang-Hee Lee;Won-Sa Kim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4-170
    • /
    • 2000
  • 중성자 단결정 및 분말회절실험을 이용하여 이트리아를 첨가한 저코니아 (yttria-stabilized airconia, Zr0.73Y0.27O1.87) 결정의 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입방정계로써, 공간군 Fm/equation omitted/ a=5.155(2)$\AA$, V=136.99(5), Z=4로 결정화되었고, 중성자 단결정 회절실험의 결과로 얻어진 70개의 브라그 회절반점을 이용한 최종신뢰도 R(F) 및 $\omega$R(I) 값은 각각 0.0576, 0.1057 이었다. Zr과 Y 원자 들은 이상적인 형석 (CaF2) 구조의 cation 위치에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었으며, 산소 원자들의 대부분 (95%)은 (1/4,1/4,1/4) 위치에서 <110> 방향으로 $\Delta$/a~0.033의 크기만큼 이동하였고, 나머지 산소 원자들은 <100> 방향으로 $\Delta$/a~0.033의 변위가 존재하였다. Rietveld 분석법을 이용한 중성자 분말회절실험의 결과는 단결정 회절실험에서 보여주었던 결정학적 정보와 모든 면에서 잘 일치하고 있었으며, 정방정계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몇 개의 불순상의 존재가 최종 분석된 분말 회절상에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