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yogur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6초

쌀의 저장기간이 쌀 첨가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Period of Rice on Quality of Rice Added Yogurt)

  • 백지혜;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0-476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저장기간이 다른 3종의 통일벼(86년산, 88년산, 89년산)를 각각 2%(w/v)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4종, Leuconostoc 1종)으로 발효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저장기간이 다른 쌀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과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점도,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촉진되었는데, 젖산균의 종(種)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쌀에 의한 젖산균의 산생성 촉진효과는 쌀의 저장기간에 의하여 현저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우유에 첨가된 쌀은 저장기간이 다르더라도 요구르트의 관능성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점도 측정의 결과를 보면 쌀의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쌀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커드상 요구르트는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5^{\circ}C$에서 15일간 보존된 쌀 첨가 요구르트의 저장성은 첨가된 쌀의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우수하였다.

  • PDF

Fermentation properties of rice-added yogurt using two types of blended lactic acid bacteria as a starter

  • Park, Yun Hwan;Choi, Jung Seok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2호
    • /
    • pp.273-281
    • /
    • 2021
  • These days, different types of yogurt are being manufactured by adding various starters and functional ingredients for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yogurt added with rice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two types of starters and to examine its attributes. Ten percent of skim milk powder and 0, 2.5, 5.0, 7.5, or 10% rice were mixed in water (w/v) and then inoculated with two types of starter: 1) Type A, Streptococcus thermophiles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as starter; and 2) Type B, Streptococcus thermophiles,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Bifidobacteium animalis ssp. lactis as starter. The pH of B type yogurt was lower (p < 0.05) than that of A type yogurt from 6 hours to 14 hours after fermentatio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all fermented milk showed maximum increases at 2 and 6 hours of fermentation (p < 0.05).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fermented milk peaked at 6 hours after fermentation and maintained this level thereafter. There was no effect of rice addition on microbial growth or acidity of the fermented milk. Sensory attributes of yogurt samples with and without added r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experiment showed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yogurt with added rice was not different when two different types of starters were used to manufacture yogurt.

쌀당화액을 활용한 호상요구르트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rd Yogurt Production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옥선;성정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5-496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al conditions for curd yogurt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ctin (2.8~8.4 g), skim milk (14~70 g) and oligosaccharide (28~84 g) ratio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 pH, total acidity, and color value, were analyz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pH of curd yogurt decreased with decreasing pectin and oligosaccharide ratio. The addition of pecti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cosity while skim mil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lor value (a and b value).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oligosaccharide and skim milk had significant effects on sweetness and sour taste. Oligosaccharide and skim milk masked the sour taste of curd yogurt. The optimum range of ingredients for curd yogurt using saccharified rice solution was predicted to be 4.27~4.90 g of pectin, 30.80~41.30 g of skim milk, and 28.00~36.10 g of oligosaccharide. Based on the overlapped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evaluation, the optimal amounts of pectin, skim milk and oligosaccharide were 4.59 g, 36.50 g and 32.05 g, respectively.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ABA Rice Yogurt

  • Park, Ki-Bum;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18-522
    • /
    • 2005
  • Yogurt containing hi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was develop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germinated brown rice. Lactobacillus acidophilus, L. plantarum, and L. brevis OPY-1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Lactobacillus MRS broth for use as yogurt starter. After treatment with 5% monosodium glutamate in MRS broth, L. brevis OPY-1 strain isolated from Kimchi produced GABA concentration of 8,003.28 nmol/mL. Starter was inoculated into fermentation substrate mixture containing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and blend of powdered whole milk and skim milk. Samples were incubated, and viable cell colonies were counted. Highest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was reached between 16 and 20 hr. Concentrated rice milk fermented with high GABA-producing strain contained GABA concentrations of $137.17\;{\mu}g/g$ D.W., whereas concentrated fermented milk prepared by conventional method contained GABA of $1.29\;{\mu}g/g$ D.W. Sensory evaluation panelists gave favorable ratings to fermented rice milk containing high GABA concentration.

Effects of Germinated Brown Rice Addition on the Flavor and Functionality of Yogurt

  • Kim, Mi-Hye;Ahn, Sung-Il;Lim, Chan-Mook;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08-515
    • /
    • 2016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ogurt, supplemented with germinated brown rice (GBR) containing γ-aminobutyric acid (GABA), during storage. GBR was produced by soaking brown rice at 30℃, and saccharified germinated brown rice (SGBR) was produced by treating brown rice with α- and β-amylase for 1 h, at 80℃ and 60℃, respectively. Yogurt was manufactured using a commercial starter (YC-X11, CHR. Hansen, Denmark) at 37℃ for 12 h. The fatty acids and GABA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GC and HPLC,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in the cereal samples consisted of oleic, linoleic, and palmitic acid. The portion of oleic acid was the highest, at 35.65% in GBR, and 32.16% in SGBR. During germination, the oleic acid content increased, whereas linolenic and palmitic acid contents from GBR tended to decrease. Although the 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stearic and myrist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that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oleic and linoleic aci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upplementation of BR, GBR, or SGBR in the yogurt. The yogurt, supplemented with cereal samples, showed a tendency of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GABA with an increase in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However, yogurt supplemented with GBR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GABA, regardless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cereal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yogurt supplemented with BR, GBR, or SGBR could be a promising dairy product.

우유와 쌀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Rice)

  • 홍외숙;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87-59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쌀을 각각 2%(w/v)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쌀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쌀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보다 촉진되었는데 현미의 촉진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의 결과를 보면 우유나 2% 현미를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 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커드상 요구르트의 관능성은 쌀의 첨가로 표준시료보다 다소 저하되었으며, 쌀 첨가시료 중에서는 통일벼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우수하였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변화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 모유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 KHM-11의 Amylase 활성과 쌀 첨가 요구르트의 특성 (Fermentation Properties of Amylase Activity and Added Rice Yogurt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olated from Korean Human Milk)

  • 배형철;이조윤;랜친핸드;남명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87-392
    • /
    • 2010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assess fermentation properties of amylase activity and added rice yogurt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olated from Korean human milk. The amylase activity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was above 23 units. Characterization of carbohydrate fermentation of Enterococcus faecium KHM-11 has D-ribose, D-lactose, L-arabinose and starc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 of 4% rice yogurt was higher compared to the 0%. Therefore we were discussed Enterococcus faecium KHM-11 is suitable microorganism for fermented milk added rice powder. Hydrolysates of sugars of fermented milk with 4% rice powder cultured Enterococcus faecium KHM-11 were analyzed by TLC and HPLC. Hydrolysates of lactose and galactose were revealed and hydrolysates of glucose was not revealed in results of TLC and HPLC.

호화쌀가루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Pregelatinized Rice Flour)

  • 김수희;김안나;안병규;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7-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쌀가루와 호화쌀가루의 첨가량과 처리를 달리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반응표면분석법(RSM)을 이용하여 쌀가루 첨가량의 관능적 최적점을 갖는 조성을 확인하고 이 때의 유산발효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RSM을 통해 발효액 조성이 최적화 된 2가지(쌀가루, 호화쌀가루)의 요구르트 발효 중 pH, 산도, 당도, 점도, 유산균 수 검사를 통하여 유산발효 특성을 알아보았다. 쌀가루와 호화쌀가루 첨가 요구르트 모두에서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정산도는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당도는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발효되는 동안 당이 분해 감소되고 젖산발효에 의한 것으로 여겨진다. 점도는 발효 6시간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효 완료 시점인 10시간에서는 발효 시작 전보다 높은 점도를 보였다. 쌀가루와 호화쌀가루 첨가 요구르트의 유산균수는 7.43~9.00 log CFU/mL으로 호상요구르트의 식품 규격 적정치 범위 이상으로 측정되어 미분첨가가 요구르트 제조 시의 유산균수에 부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가루 보다는 호화쌀가루를 첨가하였을 때 쌀의 첨가량도 늘릴 수 있으며, 점도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여 호화쌀가루를 이용한 요구르트는 쌀을 활용한 더 효과적인 기능성 유산발효제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9권4호
    • /
    • pp.345-34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주박 분말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와 주박 분말로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분유에 주박을 0.5~2.0 % 첨가한 결과 적정산도는 주박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시간 후 대조구 1.07 %에서 주박 분말 첨가 요구르트는 1.19~1.29 %로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도 적정산도의 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젖산균 생균수는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수가 최대로 증가하는 시간도 주박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단축되었다. 대조군은 15시간 후 8.77 log CFU/g로, 2.0 % 첨가군은 9시간 후 8.96 log CFU/g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주박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유청 비율은 감소하여 주박 분말이 유청 분리를 억제하여 커드의 안정성에 기여하였다. 주박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는 대조군과 관능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효소로 당화시킨 주박 분해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enzymatically saccharified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 김동청;원선임;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4호
    • /
    • pp.315-3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효소 처리한 주박 당화물 분말을 발효식품에 이용하고자 상업용 Lactobacillus acidophil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혼합 균주를 이용하여 탈지분유에 주박 당화물을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고 주박 당화물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특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탈지분유에 주박 당화물을 0.5-2.0% 첨가한 결과 적정산도는 주박 당화물의 사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시간 후 대조군 0.72%에서 주박 당화물 첨가 요구르트는 0.77-0.90%로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도 적정산도의 변화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젖산균 생균수는 주박 당화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12시간 배양 후 대조군은 7.83 log CFU/g에서 주박 당화물 첨가군은 8.01-8.13 log CFU/g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주박 당화물은 주박과는 상이하게 커드의 안정성에 대한 효과가 매우 미미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주박 당화물의 첨가 수준은 0.5%가 적절하였다. 주박 당화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4^{\circ}C$에서 16일간 저장하는 동안 pH와 적정산도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젖산균 수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모든 조건에서 $10^7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