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paddy

검색결과 2,267건 처리시간 0.042초

재배방법의 차기가 수도 품종의 생육.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Cultivating Method on Growth, Yield in Rice Variety)

  • 이종철;노태홍;문창식;서해영;박금동;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59-164
    • /
    • 1973
  • 본 시험은 중부지방에서 재배방법의 차이(이앙재배,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에 따른 수도품종의 생육ㆍ수량의 변이를 알고자 1970-1972년에 걸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수까지의 일수는 담수직파가 이앙재배에 비해 현저히 단축되었으며 건답직파재배는 이앙재배에 비해 출수일수가 연장되었다. 2. 수수는 담수직파재배, 건답직파재배, 이앙재배, 순으로 많았으며 일수영화수는 이앙재배, 건답직파재배, 담수직파재배순으로 많았다. 3. 정조중은 모두 품종 공히 담수직파재배에서 가장 많았고 이앙재배는 건답직파재배보다 증수되었으며 담수직파재배에서 고위수량성인 품종은 사도미노리, 아끼바레, 수원 213-001 등이었다. 4. 수량과 수량구성요소와의 상관을 보면 이앙재배에서는 현미천입중 및 일수영화수, 담수직파재배에서는 일수영화수 및 수수, 건답직파재배에서는 수수와 정(+)의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다. 5. 정조중과 출수일수와의 상관은 건답직파재배와 담수직파재배에서는 부(-)의 상관관계가 현저하였으나 이앙재배에서는 부(-)의 상관이 매우 낮았다.

  • PDF

답전윤환에서의 조, 수수, 기장 및 벼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and Rice in Paddy-Upland Rotation)

  • 윤성탁;김영중;정인호;한태규;유제빈;예민희;조영손;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00-307
    • /
    • 2015
  • 잡곡의 안정적 생산체제 마련을 위한 답전윤환 최적 모델개발의 일환으로 답전윤환에 있어서 논으로부터 밭1년과 밭2년차 재배에 있어 조, 수수, 기장과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의 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의 4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에는 76.3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70.5일 소요되어 약 6일정도 출수소요일이 짧았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가 평균 2.2이삭이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3.3이삭으로 포기당 1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수량은 밭1년차가 179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220.3 kg을 나타내 약 23% 증수하였다. 2. 기장 4품종의 평균 출수소요일 67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 기장은 평균 64.8일 소요되어 밭1년차에 비해 밭2년차가 약 2일 일찍 출수하였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에서 4.2이삭이었던 반면 밭2년차에서는 평균 8.3이삭으로 약 4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수량은 밭1년차는 130.8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152.8 kg으로 16.8% 증수하였다.3. 수수의 경우 5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 68.6일 소요되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67.4일 소요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수당립수는 밭1년차는 2,619.6립 이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2,931.6립으로 약 12%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 수량은 밭1년차는 231.7 kg으나, 밭2년차 평균수량은 242.3 kg으로 4.6% 증수하였다. 4.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에서의 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보면 출수기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논연속구 75.6 cm에 비해서 논-밭-논 윤환구가 82.9 cm로 7.3 cm 컷으며, 수장도 논연속구에 비해 논-밭-논 윤환구가 1 cm 컷다. 포기당 이삭수는 논연속구가 20.7이삭, 논-밭-논 윤환구는 25.0이삭으로 논연속 윤환구에 비해 윤환구가 4.3 이삭 많았다. 10a당 수량은 논연속구가 479.9 kg, 논-밭-논 윤환구는 526.8 kg으로 연속구에 비해 윤환구가 9.8% 높았다.

SCB 액비 시용 논에서 물관리를 통한 양분의 수계 부하 최소화 방안 (Minimizing Nutrient Loading from SCB Treated Paddy Rice Fields through Water Management)

  • 김민경;권순익;강성수;정구복;홍성창;채미진;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71-675
    • /
    • 2012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 오계2리 SCB 액비를 시용한 논에서 수질환경 부하 저감을 위한 물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첫째, 액비가 시용된 경지정리된 논에서는 시용 직후부터 이앙 후 3주까지 물 흘러대기를 금지하여 시용된 양분의 환경부하를 최소화하면서 시비효율을 높이는 방안, 둘째, 액비를 최소 이앙 20일 전에 시비하여 토양 중 양분 보유 능력을 높여 작물의 양분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안, 셋째, 액비 살포 후 바로 경운시 담수심을 5 cm내외로 유지하여 환경부하 저감 및 용수절감 효과를 높이는 방안, 넷째, 액비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변성 대장균은 논에 시용 후 48시간 후부터 소멸되기 시작하므로 최소 2일 동안 물꼬를 막아 논 표면수의 유출을 억제하여 대장균에 의한 인근 하천 수계 오염을 저감하는 방안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SCB 액비를 시용하는 평탄지 논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로 물관리 패턴이 다른 곡간지 논에서는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액비를 시용하는 논은 대부분 시용이 용이한 경지정리된 평탄지 논으로 본 연구결과들은 외부 수질환경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영농지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담수어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경제적 가치평가 (Economic Value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 남홍식;변영웅;박기춘;박광래;이영미;한은정;김창현;공민재;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6-294
    • /
    • 2020
  • 본 연구는 복합생태농업을 수행하고 있는 유기농 논에서 제공하는 쌀 생산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경제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합생태농업을 위한 유기논의 구조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하여 쌀 생산 농가의 소득증대와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찾고자 수행하였다. 복합생태계 농업 유형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기능별 기대효과 분석결과, 일반 관행논은 양서파충류, 수서곤충, 조류서식처, 체험/생태교육, 식생다양성 등 생물다양성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유기 논습지 및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물다양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일반 관행 논습지와 유기 논습지에 비해 어류 생산을 위한 둠벙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쌀 생산량은 줄어드나 어류의 생산량은 증가하여 총 소득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향후 생태계서비스 기능 가치를 평가한다면 더욱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쌀 산업의 공급과잉 문제해결, 안전적인 농가 소득보전,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ESTIMATION OF THE AREA AND THE YIELD OF A RICE PADDY BY LANDSAT-5/TM

  • Ishiguro, E.;Hidaka, Y.;Sato, M.;Miyazato, M.;Chen, J.Y.;Ogawa, Y.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383-392
    • /
    • 1993
  • Identification of rice paddy fields and estimation of their areas from the images taken by LANDSAT-5/TM were attempte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erial photographs and also by ground observations. Changes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rice plants were measured with a portable spectroradiometer during the growth period. Analyzing these characteristics, an index was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growth and the yield of rice . Applying the index to the data observed by LANDSAT-5.TM on Sep. 26, 1986, Oct .20, 1989 and Sep, 21, 1990,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imated derived from the index agreed with actual values. The results well demonstrated its feasibility for evaluating the yield of rice by a satellite like LANDSAT-5/TM.

  • PDF

DETECTION OF FILLED RICE PADDY FIELDS IN SOUTHEAST ASIA

  • ISHITSUKA, Naoki;OHNO, Hiroyuki;SAKAMOTO, Toshihiro;OGAWA, Shigeo;SAITO, Genya;Magsud, Mehdiyev;Ugsang, Donald M.;YOKOYAMA, Ryuz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57-759
    • /
    • 2003
  • Understanding the area of the rice paddy fields is important, and suitable for it the remote sensing. SAR is effective to the monitor in Southeast Asia with the rainy season. The detection of the filled rice paddy fields by RADARSAT was tried in the north part of Bangkok Thailand, and in the Mekong river valley Cambodia, which ware the main rice production country in Southeast Asia. We get observation data by RADARSAT and fields all through a year around Bangkok. However, because the flood had occurred on the study area in 2002 observed, the detection only of the rice fields ware difficult.

  • PDF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1999~2007) in Greenbelt Area, Seoul)

  • 최진우;이경재;노태환;민성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25-1034
    • /
    • 2010
  •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s of landuse and environmental value of cultivate land for eight years from 1999 to 2007 year in greenbelt area, Seoul. Greenbelt area decreased from $166.82\;km^2$ in 1999 to $156.50\;km^2$ in 2007 according to removal policy. Regarding landuse status in 2007, forest field area accounted for 64.16 %, dry paddy area 4.10 %, facilitated farming area 3.82 %, rice paddy area 2.95 % out of total greenbelt area. Cultivate land occupied wide spaces with dry paddy area, facilitated farming area, tree nursery in Seocho-gu, Gangnam-gu and Gangdong-gu. Changes of landuse were serious in Seocho-gu. The trend of changes of landuse for eight years is that rice paddy area was changed dry paddy area by laying the ground and dry paddy area was changed facilitated farming area for intensive agriculture. Rice paddy area could change without permission by laying the ground in below 50 cm height and it was changed to green houses due to increase in profit and modern policy of agriculture. It is nessary to monitor landuse regularly, improve regulation for change of landuse, compensate a property loss for maintaining environmental value in greenbelt area.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한 발아미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Germinated Rice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Sikhe Production)

  • 김석신;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06
    • /
    • 1997
  • 식혜원료로의 활용가능성 검토를 위해 현미와 벼를 $15^{\circ}C$에서 2일간 침지한 후 $15,\;20,\;25,\;30^{\circ}C$에서 최대 10일간 발아시키면서 잎눈의 성장, ${\alpha}-amylase$의 활력, 추출물의 함량, 당도 및 점도를 관찰하였다. 발아온도가 오를수록 현미와 벼의 발아속도, ${\alpha}-amylase$의 활성 증가 속도,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 증가 속도 모두 빨라졌으며, 추출물의 점도는 발아일수 경과에 따라 먼저 감소하다가 그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발아 현미와 벼의 ${\alpha}-amylase$의 활력은 발아 보리보다 작았으나 추출물의 함량 및 그 당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 식혜제조시 발아 현미나 벼를 보리 엿기름 대신 사용할 가능성은 없으나 발아 현미를 백미 대신 식혜 원료로 사용할 경우 현미 자체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당화속도도 빠르고 당화 후 현미의 물성도 백미처럼 부드러울 수 있으리라 예상되었다.

  • PDF

Use of the foraging area by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a closed semi natural paddy field

  • Yoon, Jong-Min;Na, Sang-Hee;Kim, Su-Kyung;Park, Shi-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2호
    • /
    • pp.149-155
    • /
    • 2012
  • Rice paddy fields have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avian wetland foragers, and fish-rice farms have become a new tool in improving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However, the use of the habitats by avian foragers, particularly by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was not well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a fish-rice farm influenced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documented the foraging behavior of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in a closed semi-natural paddy fiel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ish refuge pond (water depth 40 cm) had a higher abundance of fish whereas the areas planted with rice (water depth 20 cm) had more tadpoles and some aquatic insects.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captured mostly fish and aquatic insects in the rice-planted area and mostly fish in the fish refuge pond. The two oriental storks had higher foraging success and spent more time for foraging in the rice-planted area than in the fish refuge pon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oriental storks might prefer foraging in the area with fish, aquatic insects, and amphibians under a greater success rate presumably due to shallow water depth in the paddy fields with a fish-rice farm.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유휴농경지의 습지 복원 적지선정에 관한 연구 - 군포시 반월천 유역 사례로 - (Wetland Restoration Site Selection for Promoting Biodiversity in Abandoned Rice Paddy Fields - Focusing on Gounpo Ban-wol Stream Watershed -)

  • 임유라;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6
    • /
    • 2009
  • The increase of rice productivity, the decrease of rice demand, aging farmers, and the market-opening of rice along wi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changes have been led to the increase of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s. Such abandoned rice paddy fields have been left in many areas and most of them have become wetl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ethodology of selection to the wetland for development in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s along with surroundings. The selec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assessment study to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was done through hydrology, wild animals habitation, wetland vegetation, outside disturbance, and natural purification capacity assessment. In addition, the same method was applied to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for both the restoration site selection and the type of restoration. Both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were applied to the sites, drawn on the maps, and overlayer for the comprehensive map, and then the wetland suitability index was applied to the suitable site. The development technique was applied to 10 sites near the Banwol Stream watershed in Gunpo, Gyeonggi province. The selection of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the optimal sites can lead to not only the biodiveristy increase in agricultural or semi natural areas but also to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networks in national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