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fields

검색결과 935건 처리시간 0.024초

Dependence of Yield Response of Rice to Nitrogen Level on Soil Testing

  • Kim, Yoo Hak;Kong, Myung Suk;Kang, Seong Soo;Chae, Mi Jin;Lee, Ye Jin;Lee, Deog B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594-597
    • /
    • 2014
  • Crop yields depend on the limiting factor of crop growth; Liebig law of minimum. Identifying the kind and the necessary amount of the limiting factor is essential to increase crop yield. Although nitrogen is the most essential nutrient, N application does not always bring about yield increases when other elements are limiting in rice cultivation. Two experiments were compar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soil testing on rice yield response to N level. The one was an experiment about yield response of 3 rice cultivars to 7 levels of N application, which was conducted from 2003 to 2004 in 25 farmer's fields without ameliorating soil conditions by soil testing and the other was a demonstration experiment on N fertilizer recommendation equation by 0, 0.5, 1.0, and 1.5 times of N recommended level in 5 soil types from 30 fields after ameliorating soil conditions by soil testing. The N response patterns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without soil testing showed a Mitscherlich pattern in some cultivars and soil types, but did not in the others. The N response patterns of the demonstration experiment showed a Mitscherlich pattern in all soil types. Becaus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 was the minimum nutrient in the demonstration experiment by ameliorating soil conditions with soil testing, but not in the other experiment without soil testing, the supply of minimum nutrients by soil testing c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N-fertilization.

Assessing Changes in Sel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of Rice Paddy Fields in Gyeongbuk Province

  • Park, Sang-Jo;Park, Jun-Hong;Won, Jong-Gun;Seo, Dong-Hwan;Lee, Suk-He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0-16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data of monitoring 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rice paddy soils in Gyeongbuk Province. The sel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every 4 year from 1999 to 2015. The soil pH measured in 2015 was higher than pH 6.0, which was 0.3-0.4 pH unit higher than data until 2007 survey year. The mean content of organic matter was greater than $24g\;kg^{-1}$ since 2003, but 35% of soil samples remained below the recommended level ($20-30g\;kg^{-1}$) in 2015. The mean concentration of available phosphate was maintained at $40mg\;kg^{-1}$ higher than the upper recommendation level ($80-120mg\;kg^{-1}$), and more than 40% of paddy soils tested were found to have less than the recommendation level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exchangeable K concentration ranged from 0.25 to $0.39cmol_c\;kg^{-1}$. Exchangeable Ca showed an average at the optimum range ($5.0-6.0cmol_c\;kg^{-1}$) during the monitoring period. Exchangeable Mg decreased linearly ($0.02cmol_c\;kg^{-1}\;year^{-1}$) from $1.55cmol_c\;kg^{-1}$ as of 1999 to below the lower level of the recommendation range ($1.5-2.0cmol_c\;kg^{-1}$). The amount of available $SiO_2$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11 to over the recommendation level (${\geq}157mg\;kg^{-1}$). It was revealed that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rice paddy fields was influenced by topology, soil texture, type and region as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r cluster analysis. Therefore, an assessment on chemical properties of rice paddy soils should be performed to consider various soil physical conditions and agronomic practices such as fertilization, cropping system, and so on. Because of the high variability of nutrient levels across Gyeongbuk Province, nutrient management based on soil fertility test is required by respective farm land unit.

메탄발효 소화액 시용이 벼 생육과 식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ing Methane Fermentation Digested Sludge to Rice Paddy on Growth of Rice and Rice Taste)

  • 류찬석;이충근;우메다 미키오;이승규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4호
    • /
    • pp.269-277
    • /
    • 2009
  • In this research, the vegetation growth and rice taste of the liquid fertilizer applied fields (LF)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hemical fertilizer applied fields(CF) in order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methane fermentation digested sludge as liquid fertilizer using precision agriculture and remote sensing technology. In panicle initiation stage, the vegetation growth at LF was 60%~80% of it at CF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nitrogen contents between CF and LF. The estimation model of nitrogen contents was established by GNDVI (R=0.607, RMSE=$1.04\;g/m^2$, n=36, p<0.01). In heading stage, vegetation growth at LF went close to it at CF as ratio of 80%~95%. The nitrogen content estimation model was also established (R=0.650, RMSE=$1.73\;g/m^2$, n=35, p<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spatial variability between LF and CF.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of rice taste and it's elements, when three samples, which were more than twice of standard deviation, were excepted. The protein contents estimation model using GNDVI of before harvesting (R=0.700, RMSE=0.470%, n=29, p<0.01) were more suitable to predict the protein contents at harvesting comparing with it of heading stage(R=0.610, RMSE=0.521%, n=29, p<0.01).

Estimating Irrigation Requirement for Rice Cropping under Flooding Condition using BUDGET Model

  • Seo, Mi-jin;Han, Kyung-Hwa;Zhang, Yong-Seon;Jung, Kang-Ho;Cho, Hee-Rae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46-254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rainfall pattern and soil characteristics on water management in rice paddy fields, using a soil water balance model, BUDGET. In two sites with different soil textural group, coarse loamy soil (Gangseo series) and fine soil (Hwadong series), respectively, we have monitored daily decrease of water depth, percolation rate, and groundwater table. The observed evapotranspiration (ET) was obtained from differences between water depth decrease and percolation rate. The root mean square difference values between observed and BUDGET-estimated ET ranged between 10% and 20% of the average observed ET. This is comparable to the measurement uncertainty, suggesting that the BUDGET model can provide reliable ET estimation for rice fields. In BUDGET model of this study, irrigation requirement was determined as minimum water need for maintaining water-saturated soil surface, assuming 100 mm of bund height and no lateral loss of water. The model results showed different water balance and irrigation requirement with the different soil profile and indicated that minimum percolation rate by plow pan could determine the irrigation requirement of rice paddy field. For the condition of different rainfall distribution, the results presented different irrigation period and amounts, representing the importance of securing water for irrigation against different rainfall pattern.

밭벼와 콩 재배지의 온실가스 배출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from Upland Rice and Soybean)

  • 신용광;안종웅;고문환;심재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6-262
    • /
    • 2003
  • 밭벼와 콩 재배지에서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을 측정하였다. 2001년 4월 28일 폭 30 cm 간격으로 대진벼를 파종하였다. 포장의 물관리는 스프링클러 관개와 천연강우 관개로 하였다. 콩 품종 장엽콩, 태광콩, 황금콩을 2001년 6월 16일에 $60{\times}15cm$ 간격으로 한 구멍에 2알씩 파종하였다. 기체시료는 주 2회씩 채취하여 메탄과 아산화질소를 분석하였다. 밭벼 작기중 메탄 배출은 스프링클러 관개구에서 $3.5kg\;CH_4\;ha^{-1}$ 였었고 천연관개구에서 $-1.7kg\;CH_4\;ha^{-1}$ 였었다. 밭벼 작기중 아산화질소 배출은 스프링클러 관개구에서 $50.8kg\;N_2O\;ha^{-1}$ 였었고 천연관개구에서 $8.3kg\;N_2O\;ha^{-1}$ 였었다. 밭벼 재배지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 GWP는 스프링클러 관개구와 천연관개구에서 각각 15,822 및 $2,216kg\;CO_2\;ha^{-1}$ 였었다. 콩 작기중 메탄 배출은 장엽콩 재배구에서 $-14.7kg\;CH_4\;ha^{-1}$ 였었고 태광콩 재배구에서 $-4.3kg\;CH_4\;ha^{-1}$, 황금콩 재배구에서 $4.8kg\;CH_4\;ha^{-1}$ 였었다. 콩 작기중 아산화질소 배출은 장엽콩 재배구에서 $4.7kg\;N_2O\;ha^{-1}$, 태광콩 재배구에서 $4.6kg\;N_2O\;ha^{-1}$, 그리고 황금콩 재배구에서 $3.0kg\;N_2O\;ha^{-1}$ 였었다. 콩 작기중 배출하는 온실가스 GWP는 장엽콩, 태광콩, 황금콩 재배구에서 각각 1,152, 1,323 및 $1,027kg\;CO_2\;ha^{-1}$ 였었다.

파종방법을 달리한 수원 및 이천 지역 소규모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 associated with Different Planting Methods in Suwon and Incheon)

  • 이준호;김광호;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6
    • /
    • 1997
  •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PDF

분해성 피복자재의 멀칭처리가 벼 생육 및 지렁이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with Easily-Decomposable Organic Materials on the Rice Growth and Earthworm Ecology Characteristics in Paddy Fields)

  • 남홍식;이상범;박광래;홍승길;강충길;손진관;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4호
    • /
    • pp.72-86
    • /
    • 2014
  • 본 연구는 벼 재배에서 유기물함유 피복자재의 멀칭처리가 벼 생육 및 수량과 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피복 자재의 원료 및 색상에 따라 쌀함유, 전분함유(투명색과 검정색), 광물질함유, 일반 비닐의 멀칭 처리구와 무피복(관행 및 유기재배) 대조구를 설정하였다. 처리구에 따라 벼의 생육과 수량이 상이하였는데, 벼의 수량은 쌀함유 피복($6.51ton\;ha^{-1}$)과 일반 비닐($6.47ton\;ha^{-1}$)이 가장 높았고, 전분함유 투명 피복($6.25ton\;ha^{-1}$)와 광물질 함유 피복($6.20ton\;ha^{-1}$)이 관행 제초구($6.15ton\;ha^{-1}$)과 유사하였으며, 전분함유 검정 피복($4.93ton\;ha^{-1}$)은 관행 제초구 보다 낮았다. 벼 재배 기간 중 토양의 평균 온도는 $23.6{\sim}24.1^{\circ}C$로 쌀함유 피복에서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누적온도 역시 쌀함유 피복에서 다른 처리보다 높았다. 토양 이화학성 중 전기전도도, 유기물 함량, 인산 함량 등도 처리간 차이가 있었다. 쌀함유 피복구에서 지렁이에 의한 분변토 생성량($17.7kg\;m^{-2}$)이 다른 처리구($5.5{\sim}9.8kg\;m^{-2}$) 보다 많은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벼 수량과 논 토양의 지렁이 활동 측면에서 쌀함유 피복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논오리 방사밀도가 오리의 행동양상 및 벼 생육 ${\cdot}$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ck Free-Ranging Density on Duck Behavior Patterns, and Rice Growth and Yield under a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 고병대;송영한;만전정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6-92
    • /
    • 2001
  • 벼논 오리농법에 있어서 오리 방사체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각 처리구를 4 a의 동일면적으로 구분하고, 방사 오리수를 각각 6수, 9수, 12수 및 15수씩으로 하는 4처리구를 설계하여 방사밀도에 따른 오리의 행동형 및 벼 생육과 수량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일중 12시간 동안의 행동변화에서 섭식 및 이동행동은 12수 방사구에서 가장 길었고, 노동행동에서도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2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길게 나타났다(P<0.05). 반면 휴식행동은 12수 방사구에 비해 9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현저히 길게 나타났다(P<0.05). 방사오리가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는 일중 6시간 동안의 이동 회수는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적었고 나머지 3처리구간에서는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잠수회수는 9수 방사구에서 다른 3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1), 벼 포기 쪼는 회수도 9수 방사구에서 12수 및 15수 방사구에 비해 현저히 많았다(P<0.05). 그러나 오리가 쪼은 총 벼포기수에서는 방사밀도가 낮은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1). 벼 초장은 오리 방사후 30일째부터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고(P<0.05), 경수(莖數)는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출수후 벼 생육변화에서 간장(稈長)은 방사밀도가 높은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짧았고(P<0.05), 수장(穗長)은 오리 방사밀도에 의해 대차없었다. 벼 지상부의 건물중량은 방사밀도가 높을 수록 낮은 값에 편중됨을 보인 반면, 지하부의 건물중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벼 결주발생수은 15수 방사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수, 9수 및 12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당(穗當) 영화수는 6수 및 9수 방사구에 비해 12수 및 15수 방사구에서 유의적으로 많았고(P<0.05), 등숙율은 다른 3처리구에 비해 15수 방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10 a당 수량은 12수 방사구에서 726.5 kg으로 가장 높은 수량증가를 보였고, 다음으로 9수, 15수 및 6수 방사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서해안 간척답에 있어서 다년생잡초매자기 방제에 관한 연구 제 1 보 매자기의 분포 (Control of Perennial Weed Scirpus maritimus L. in Reclaimed Paddy Fields of West Seashore I. Distribution of S. maritimus)

  • 양환승;전재철;문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3
    • /
    • 1978
  • 우리나라 서 . 남해안 간척지의 매자기 분포상황을 알기 위해서 전간척지 면적의 약 29%에 해당하는지역에 대해 설간 및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1. 매자기는 우리나라 중부의 경기도 강화군으로부터 남부인 전남의 양도, 고흥군에 이르기까지 전간척지에 분포되어 있다. 2. 전체 간척지의 평균 침입정도는 5 단계평가로 4.09에 이르고 있다. 3. 전체 조사지역중 73.04%가 평점 5및 4에 속하였다. 4. 전체 사사지역 어디에서나 매자기는 모내기 전과후 두차례에 걸쳐 발생하고 있었다.

  • PDF

휴경논에서의 수질관리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in Fallow Paddy Fields)

  • 김형중;김선주;김필식;안열;양용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69-76
    • /
    • 2006
  • Fallow paddy areas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import of cheap agricultural product, and the unbalance between farming cost and rice price since 1990. The increasing fallow paddy area needs to be protected from the devastation by weed breeding for the re-cultivation. In this study, two fallow paddy fields managed with different water depth were selected for monitoring and analysing of water quality, water balance and plant body change. The managed fallow paddy fields were more effective in water quality purification and plants growth control than non-managed fallow paddy fields. And the fallow paddy field managed with some degree of water depth was the most effective field in terms of weed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