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ce field

검색결과 2,198건 처리시간 0.032초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 시용이 벼의 생육, 수량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Slow-Released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 Paper Slurry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 백준호;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4-120
    • /
    • 2000
  •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시제품)의 벼에 대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pot시험으로 무질소구, 요소구(대조구), 시제품구 처리에 벼(일미벼)를 공시하여 생육,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능력,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식물체중 무기성분 함량, 질소이용율 토양의 이화학성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과 분얼수는 생육초기에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나, 생육후기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앙 후 40일의 엽록소 함량은 시제품구에서 요소구보다 다소 높았으나, 광합성능력은 요소구보다 낮았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시제품구보와 요소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다소 높았다. 수확기에 식물체중 전질소함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정조에서는 높았으나, 짚에서는 낮았다. 수확기의 질소흡수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정조에서 4% 높았으나, 짚에서는 20% 낮았으며, 질소이용율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약간 낮았다. 시험 후 토양중 전질소 함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낮았다.

  • PDF

Analysis of Community Structure of Metabolically Active Bacteria in a Rice Field Subjected to Long-Term Fertilization Practices

  • Ahn, Jae-Hyung;Choi, Min-Young;Lee, Hye-Won;Kim, Byung-Yong;Song, Jaekyeong;Kim, Myung-Sook;Weon, Hang-Ye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85-592
    • /
    • 2013
  • To estimate the effect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metabolically active bacterial communities in a rice field, RNA was extracted from endosphere (rice root), rhizosphere, and bulk soil that had been subjected to different fertilization regimes for 59 years, and the 16S rRNAs were analyzed using the pyrosequencing method. The richness and diversity of metabolically active bacteria were higher in bulk soil than in the endosphere and rhizosphere,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fertilized and fertilized plots. Weighted UniFrac analysis showed that each compartment had characteristic bacterial communities and that the effect of long-term fertilization on the structure of bacterial community was more pronounced in bulk soil than in the endosphere and rhizosphere. The 16S rRNAs affiliated with Alphaproteobacteria and Firmicutes were more abundant in the endosphere than in bulk soil while those affiliated with Chloroflexi and Acidobacteria were more abundant in bulk soil than in the endosphere. Several dominant operational taxonomic units (clustered at a 97% similarity cut-off) showed different frequencies between non-fertilized and fertilized plots, suggesting that the fertilization affected their activities in the rice field.

논 표면 탈립 벼 종자의 월동중 발아력변화와 월동후 포장 출현 및 생육 (Germinability during Overwintering, Field Emergence, and Growth of Shattered Rice Seeds on Paddy Field)

  • 송영주;권영립;오남기;고복래;황창주;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7-44
    • /
    • 1992
  • 벼 콤바인 수확답에서 탈립된 종자의 월동중 활성검정 및 품종별 탈립량에 따른 이형주 발생정도와 양상을 검토, 벼 종자 순도유지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립종자의 시기별 발아율은 일반형, 통일형 모두 경과시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아세의 경시적 변화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조사시기에 따른 종자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차이에 있어서 팔공벼, 삼강벼 공히 단백질 Band에 농ㆍ담의 차이가 있었다. 3. 생태형별 이형주 발생율은 일반형 품종이 통일형 품종에 비하여 이형주는 대비품종에 비해 초장, 주당경수, 엽장, 절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 등의 형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1차 지경보다는 2차지경에서 저하율이 컸으며 수당 영화수에 대한 상관정도는 2차지경이 높았다. 4. 이형주 종자의 발아능력은 대비품종에 비해 대차가 없었고 종자수량에 있어서 일반형 품종이 평균 5.1kg /10a, 통일형 품종이 평균 0.9kg /10a 였으며, 생태형별 대비품종에 대한 혼입비율은 일반형 품종이 0.7%, 통일형 품종이 0.1% 정도였다.

  • PDF

논에 서식하는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의 공기노출에 의한 피부 점액세포의 변화 (Change of Skin Mucus Cells Related to Aerial Exposure of Misgurnus mizolepis (Cobitidae) Dwelling in a Rice Field)

  • 오민기;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0-74
    • /
    • 2011
  • 논에 서식하는 미꾸라지는 겨울철 수분증발에 의한 토굴을 형성하였고 피부는 공기 중에 노출되었다. 이때 미꾸라지 피부의 점액세포 변화를 유발하는 환경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진흙과 물을 수조에 채운 후 약 1개월 동안 자연증발시켜 인위적인 토굴형성에 의한 미꾸라지 피부의 공기노출 실험을 여름철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기 중에 피부가 노출된 미꾸라지의 등, 체측, 후두부의 피부 점액세포의 형태는 대부분 크고 길다란 원주세포형으로 변화하였고, 수량 역시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특정은 겨울철 자연상태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현상이었다.

벼논 오리 사육방법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반응 (Rice Growth and Yield Response under Rice-Duck Farming System in Paddy Field)

  • 김희동;박중수;방관호;조영철;박경열;권규칠;노영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9-347
    • /
    • 1994
  • 생산비 절감과 잡초방제 가능성 및 경지이용도 향상을 위하여 1992∼1993년 동안 오리방사체계, 오리 1회 사육시 방사밀도별 질소시비량 구명, 오리 방사밀도에 따른 시비적량 등을 구명하고자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논 오리 방사는 중묘 기계이앙후 40일부터 가능하였으며 년간 적정 방사회수는 3회였다. 2. 벼 생육은 오리사육시 대조구에 비하여 출수기가 1∼3일 지연되었으며 시비량이 적을수록 주당수수와 영화수는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등숙비율은 대차 없었다. 3. 벼논에 오리를 10a당 100∼150마리씩 방사할 경우 년 1회 방사시는 질소시비량 11kg수준이, 년 3회 방사시는 질소시비량 8.8kg 수준이 쌀수량에 유리하였다. 4. 잡초방제가는 오리를 년 1회 10a당 100마리 사육시 87∼89%, 150마리 사육시 93∼9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5. 벼논 오리 년 3회 방사시 방사밀도별 오리생장량은 매회 100마리 사육시 2.82∼3.37kg보다 150마리 사육시 2.49∼2.99kg으로 다소 낮았으나 상품성에는 영향하지 않았다. 6. 벼논 오리 사육시 10a당 소득은 벼 단작 639천원에 비하여 오리 150마리를 년 3회 방사하고 질소를 8.8kg 시용할 경우 845천원으로 32%증가되었다.

  • PDF

Priming Effect of Rice Seeds on Seedling Establishment under Adverse Soil Conditions

  • Lee, Suk-Soon;Kim, Jae-Hyeun;Hong, Seung-Beam;Yun, Sang-Hee;Park, Eui-H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4-198
    • /
    • 1998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priming effects of rice seeds, Oryza sativa L. (cv. Ilpumbyeo) on. the seedling establishment and early emergence under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s. Seeds were primed by soaking in -0.6 MPa polyethylene glycol (PEG) solution at $25^{\circ}C$ for 4 days. The primed seeds were sown in soils with various soil moistures (60, 80, 100, 120, and 140% field capacity) at 17 and $25^{\circ}C$, respectively.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plumule height, and radicle length of primed seed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treated seeds at any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examined. The time from planting to 50% germination ($T_{50}$) of primed seeds was less than that of untreated seeds by 0.9~3.7 days. Germination rate, emergence rate, plumule height, and radicle length were highest at the soil moisture of 80% field capacity among the soil moistures. Priming effects of rice seeds on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were more prominent under the unfavorable soil moistures (60, 100, 120, and 140% field capacity) than those under the optimum soil moisture condition (80% field capacity). However, priming effects on seedling growth were greater at near optimum soil moisture compared with too lower or higher soil moistures.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iming of rice seeds may be a useful way for better seedling establishment under the adverse soil conditions.

  • PDF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작부유형별(作付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 (Effect of the Alternation of Lowland-Upland Field and the Cropping Pattern on Weed Population)

  • 유철현;양창휴;김종구;이경수;한성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8-304
    • /
    • 1995
  • 논밭 윤환재배시(輪換栽培時)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을 조사(調査)하여 합리적(合理的)인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코져 실험(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논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多年生) 잡초(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하여 윤환구(輪換區)에서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고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적었다. 월년생잡초(越年生雜草)의 발생량(發生量)은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 비해 대두(大豆)와 수도(水稻)의 윤환구(輪換區)에서 적었으며 특히 그 경향(傾向)은 뚝새풀 발생량(發生量)에서 뚜렷하였다. 또한 월년생(越年生) 잡초량(雜草量)은 논밭 윤환년수(輪換年數)가 l년<2년<3년의 순(順)으로 밭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다. 암거시설(暗渠施設)한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포장(圃場)에서의 월년생(越年生) 잡초(雜草) 건물중(乾物重)은 무암거시설포장(無暗渠施設圃場)에서 보다 높았으나 대두연작구(大豆連作區)에서는 그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이었다.

  • PDF

Development of a Crawler Type Vehicle to Travel in Water Paddy Rice Field for Water-Dropwort Harvest

  • Jun, Hyeon-Jong;Kang, Tae-Gyoung;Choi, Yong;Choi, Il-Su;Choi, Duck-Kyu;Lee, Choung-Ke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240-24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ubber-crawler type vehicle as a traveling device for harvesting water-dropwort cultivated in water contained paddy rice field in winter season. Methods: A commercial rubber-crawler type vehicle was used to investigate application of rubber crawler to the paddy rice field as preliminary test. As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test, a both prototype traveling device with rubber crawlers for a water-dropwort harvest was designed with inclination of $45^{\circ}$ at the front-end and rear-end of crawler under the basic water depth of 0.6 m in the paddy rice field. The device was fabricated and attached to the experimental harvesting test devices on the front of the prototype vehicle. The size of the prototype crawler vehicle with a harvesting part is $2,800{\times}1,460{\times}1,040 $ (mm) ($L{\times}W{\times}H$) with weight of 9.21 kN (maximum). Sizes of the crawler of prototype vehicle are ground contact length of 900 mm, width of 180 mm, height of 1,070 mm and distance between center to center of crawlers of 720 mm. The side-overturn angle of the prototype was $26.4^{\circ}$. Results: Driving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vehicle in water contained paddy field were good at both forward and reverse (backward) directions as weights were applied. The drawbar pull and the maximum sinking depth of the prototype vehicle were 3.5 kN and 0.13 m respectively at water depth of 0.5 m, when the weight and bearing capacity of the prototype rubber crawler in the paddy field were 8.51 kN and 26.3 $kN/m^2$, respectively. Conclusions: Results of the driving test performance of the prototype crawler in paddy rice field at the water depth of 0.5 m were satisfactory. The prototype had enough drawbar pull and driving ability in the deep water contained paddy field.

벼 물바구미의 방제를 위한 곤충 병원성 선충 및 공생박테리아의 야외포장시험

  • 박선호;박재성;조한규;남민희;박노봉;임상종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4-917
    • /
    • 2001
  • 곤충병원성 선충인 S. carpocapsae에 대한 벼 물바구미의 field와 바프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표준처리구의 경우 부처리군에 비해 71%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2배처리구의 경우 74.2%의 방제가를 보였다. 바트에 처리한 경우에도 표준처리구의 경우 79.3%의 방제가를 보였으며, 2배처리구에서는 84.5%의 방제가를 보였다. 또한 공생박테리아인 Xenorhabdus spp.에 대한 바트에서의 벼 물바구미에 대한 선충의 방제가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공생박테리아을 10mL 처리한 구에서는 33.3%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60mL의 공생박테리아를 처리한 구에서는 58.3%의 방제가를 보였다.

  • PDF

Influence of Pl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n Epiphytic and Endophytic Pink-Pigmented Facultative Methylotrophic Bacterial Populations Associated with Field-grown Rice Cultivars

  • Madhaiyan, Munusamy;Poonguzhali, Selvaraj;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645-1654
    • /
    • 2007
  • The total methylotrophic population associated with rice plants from different cultivars was enumerated at three different stages: vegetative, flowering, and harvesting. The bacterial population in the leaf, rhizosphere soil, endophytic in the stem and roots, and epiphytic in the florets and grains were determined from four rice cultivars, Il-mi, Nam-pyeoung, O-dae, and Dong-jin, sampled from three different field sites. The methylotrophic bacteria isolated on AMS media containing 0.5% methanol as the sole carbon source uniformly showed three distinct morphologies, which were recorded as separate groups and their distribution among the various samples was determined using the ecophysiological index. The growth stage at the time of sampli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methylotrophic population and their distribution than the field site or cultivar. A similar effect was also observed for the PPFMs, where their population in different plant parts increased from V10 to R4 and then decreased towards stage R9. A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of the PPFM population from different parts of rice showed clear variations among the cultivars, sampled sites, and growth stages, although the variations were more prominent among the growth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