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hizome weight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2초

삼백초 근경의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과 Lignans 함량 변화 (Qualities and Lignans Content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Rhizome by Storage Methods)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윤태;김홍식;정승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9-284
    • /
    • 2006
  • 저장방법에 따른 삼백초 생근경의 품질과 유효성분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모율과 부패율 및 맹아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거나 많았다. 감모정도와 맹아수는 저온저장에서 가장 적었으며, 부패율은 창고 내 흙 충진 저장에서 낮았다. 삼백초 근경의 chromatogram상 각 성분의 머무름시간(RT)은 $18{\sim}36$분대로 saucernetin>sauchinone>manassantin A>saucerneol D>manassantin B의 순으로 나타났다. Lignans의 함량은 저장방법 모두 저장 후 30일에 비해 120일에 낮았으나, 저장방법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manassantin B>manassantin A>saucernetin>sauchinone>saucerneol 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남부도서지역에서 차광처리가 울금(Curcuma aromatica Salisbury)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e-metho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rcuma aromatica Salisbury in Southern Islands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제10차 국제학술회의 및 추계정기 학술발표회
    • /
    • pp.50-56
    • /
    • 2003
  • 우리나라 남부도서지역인 진도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재배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 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는 941~993g로 비대가 잘 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 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으로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남부도서지역에서 차광처리가 울금 (Curcuma aromatica Salisbury)의 주요 형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ade-metho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urcuma aromatica Salisbury in Southern Islands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7-211
    • /
    • 2003
  • 우리나라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 지방에서 울금 다수확의 기 초 자료를 얻고자 차광 재배를 실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도 지역에서 울금을 4월 20일 정식할 경우 4주 지난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3­88%이었다. 초장은 129cm­147cm이였고, 차광의 정도가 높을수록 초장이 커지는 경향이었다. 엽장은 47.5cm­49.4cm로 차광 30­60%에서 약간 양호하였다. 또한 엽폭은 16.9­17.9cm로 차광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울금의 1주 근경중은 941­993g으로 비대가 잘되었고, 10a당 3,980­4,200kg을 생산 할 수 있었으며, 15%와 30%차광이 수량이 약간 증수되었으나 45%이상의 차광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으로 차광의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울금을 재배할 경우 15%차광에서 생육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고, 근경 수량이 약간 증수되나 경제성을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조시간이 금잔디(Zoysia matrella)의 생장 및 물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otoperiod on the Growth and Matter Production in Zoysia matrella)

  • 도봉현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3-88
    • /
    • 198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growth Status under various photoperiod using Zoysia matrella. The experimental plots were split into such groups as control (full sunlight) 3hour, 6hour and 9hour photoperiod by three replication of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Chlorophyll content was analyized by mackine method and total soluble sugar by anthrone method.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as as fol1 lows ; l. Dry weight was high in the control and 9hour plots. Its decrease remarkably occured in the short day plots 2. Leaf growth woes remarkaly decreased by short day condition. Six hour was considered as critical duration for leaf growth. 3. The growth of rhizome in the 9hour and control plots was good. New development of rhizome in the' short day plots was very slow compare to the control plot. 4. Chlorophyll content was high at l8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decreased. Its content in the short day plots severely decreased. 5. The content of soluble sugar in the control was low at early growth stage and high at late growth stage.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 exposure time to sunlight, the higher the ratio of sugar content.

  • PDF

피복재료(被覆材料)가 백출(白朮)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김수용;권오흔;류태석;오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16-224
    • /
    • 2000
  • 본 시험은 최근 중국에서 도입되어 경북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백출재배에서 토양 피복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 시의 지온은 전 재배기간에 걸쳐 무피복에 비하여 흑색과 투명P.E피복구에서 각각 $1.0^{\circ}C,\;1.6^{\circ}C$ 정도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투명P.E피복구에서 $5.5^{\circ}C$ 정도 높았다. 2. 피복재료별 지상부의 생육은 무피복이나 볏짚피복구에 비하여 투명P.E와 흑색P.E피복구에서 경수와 경직경이 증가하였으며 중량도 컸다. 화수도 무피복과 볏짚피복구, 투명P.E피복구, 흑색P.E피복구순으로 많았다. 3. 지하부의 생육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 구가 높은 경향이고 건근경 수량은 흑색P.E 피복구가 다른 시험구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잡초발생은 투명P.E 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많았고 볏짚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에서 크게 억제 되었다. 4. 역병 발병율은 투명P.E과 흑색P.E피복구에서 감소하였으나 근경의 정유함량은 차이가없었다. 5. 지상부 및 지하부 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수량인 근경중은 지상부의 중량이 가장 크게 관여하고 지상부 형질 중에서는 경수와 경직경 등의 줄기 형질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 투여가 실험동물의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milax china L. Rhizome Extract on Heavy Metal Contents in Rats)

  • 강혜숙;유한춘;최유리;김후경;조선미;윤병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3-238
    • /
    • 2011
  • 한방에서 토복령으로 알려진 청미래 덩굴 뿌리(Smilax china L. rhizome) 추출물 투여가 체내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4주령 SD rat을 대상으로 중금속을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중금속(Pb, Cd, As, Hg) 투여한 대조군 및 청미래 덩굴 뿌리 추출물(SCE)을 체중 kg당 13 mg(SC1)과 26 mg(SC2)씩 투여한 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하였다. 체중 증가나 표적 장기의 무게는 실험군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에서의 중금속 축적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SCE 투여군에서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SC2군에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간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SCE 투여군에서 Cd을 제외하고 3주 후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의 경우 SC2군에서 Pb와 Cd의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털에서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SC2군에서 Pb의 함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체내의 중금속 축적 장기인 간과 신장 그리고 혈액 및 털에서 Pb와 Cd, As, Hg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SCE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삽주의 정식전 $GA_3$ 처리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Before Planting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박정민;강진호;이희경;김만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9-326
    • /
    • 2000
  • 삽주의 근경은 한방에서 중요한 생약재인 백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백출수급은 자연산 채취 또는 수입품에 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시급히 재배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시험은 삽주재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정식전 $GA_3$를 농도와 침지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삽주의 생장, 형태 및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A_3$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줄기수, 잠아수, 생체중을 증가시켰다. 2. $GA_3$ 처리시 50 ppm에서는 줄기수, 100 ppm에서는 잠아수 및 근경생체중, 250 ppm에서는 지상부 생체중이 가장 많았다. 3. $GA_3$ 처리기간에 따라서는 1일 처리시에는 엽수, 뿌리수, 초장, 지상부와 뿌리의 생체중이, 2일 처리시에는 줄기수, 잠아수, 근경생체중이 가장 높았다. 4. $GA_3$ 처리에 따른 단위면적당 수량은 100 ppm으로 1일 처리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통보리사초(Carer kobomugi Ohwi)의 생육 특성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 Ohwi)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1호
    • /
    • pp.49-55
    • /
    • 2004
  • 해안사구 식물인 통보리사초에 대해 생육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해안 사구에서 2001년 4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통보리사초의 지상부와 지하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안사구에서 통보리사초는 갯그령 다음으로 만조선에 가까이 출현하는 식물종이었으며 밀도는 퇴적이 일어나는 지역에서 150개체/㎡으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개화율은 모래 퇴적지역에서 70%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안정지역에서는 10% 이내이었다. 따라서 통보리사초는 모래의 퇴적지역에 적응력이 탁월한 식물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상부는 대단히 불규칙한 분포를 하였다. 모래의 퇴적지역과 안정지역에서 토양의 깊이별 지하경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자에서는 깊이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후자에서는 대부분 20 ㎝ 이내에 위치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지하경은 퇴적지역에서는 수직방향으로, 안정지역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생장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새로운 지하경을 발생시킬 수 있는 지하경 의 능력은 지표면으로부터 150 ㎝ 이하 혹은 5년 전의 것이었다. 새로 발생하는 지하경의 수와 평균길이는 전년도의 지상부 크기와 관계가 깊었다. 즉,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 미만에서는 1개, 2.0∼2.5 g에서는 2개, 3 g 이상에서는 5개의 지하경을 각각 생산하였다. 한편,지하경의 길이는 10∼100 ㎝ 범위에 있었으며 전년도 지상부의 건중량이 0.5 g미만일 경우는 13.0 ㎝ 이었지만 3 g 이상의 경우 평균 57.6 ㎝로 약 4.4배에 달하였다.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형태적 특성에 의한 분류와 형질간 상관 (Classification b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29
    • /
    • 2005
  • 경남지역의 자생 둥굴레속 47개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집종의 생장 몇 형태 관련 형질, 잎마름병 감염정도, 이들 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산둥굴레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짧았다. 한편 줄기의 생장형태는 직립형을 포함한 3개군으로, 줄기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하였다. 2. 염의 형태로는 타원형을 포함한 5개군으로, 엽병은 존재 유무로부터 2개군으로, 엽병의 색깔은 녹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에 특이하게 피침 형태로 엽연이 자색인 1개종이 수집되었다. 3. 꽃은 화형이 항아리형, 통형, 조롱박형의 3개군으로, 화색은 흰색을 포함한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특별하게 조롱박형인 1개 수집종은 연녹색을 띄고 있었다. 화사는 실린더형과 편평형으로, 화경의 색깔은 자색을 포함한 4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포의 존재 유무와 형태에 따라 4개군으로 분류하였다. 4. 과실은 둥근형 등 3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백과중은 둥굴레에서 가장 무거웠던 반면, 용둥굴레에서 가장 가벼웠다. 5. 둥굴레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아주 강한 것은 2종, 이병율이 7% 이하인 것은 7개종으로 조사되어서 근경수량을 증대할 수 있는 저항성 유전자원이 자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제형질의 상관관계에서 근경수량과 관련된 근경중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엽폭, 지하경 직경과 정의상관을 보였으나 근경수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잎마름병 이병율은 초장, 경직경, 엽수, 엽장, 백립중, 근경중, 지하경 직경과 부의상관을 보였다.

무안 회산지(回山池) 백련꽃의 근경생장과 개화특성 (Rhizome Growth and Flowering of White Lotus (Nelumbo nucifera) at Muan Hoesan-Lake)

  • 임명희;박용서;허원녕;박윤점;허북구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22
    • /
    • 2009
  • 무안 회산지 백련꽃의 재배와 개화 조절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2008년 4월 20일과 5월 4일에 각각 비대근경과 종자를 용기에 식재하여 비가림 재배 관리한 후 동년 9월 4일에 근경생장 유형과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근경이 분지된 것은 실생의 경우 10%, 비대근경은 15%였다. 주근경의 마디 수는 개화된 것은 14개 이상이었으며, 개화가 되지 않은 것은 11마디 이하였다. 실생 번식한 것은 모두 개화되지 않았으며, 비대근경을 식재한 것은 80%가 개화되었다. 첫 번째 꽃은 7월 말과 8월 초에 피었으며, 4.0~4.4개의 꽃이 피었다. 첫 번째 꽃대는 주근경이 분지되지 않은 것의 경우 8.8번째 마디에서, 주근경이 분지된 것은 8.0번째 마디에서 출현되었다. 화경이 지상부에 출현된 후 개화까지는 16일이 소요되었다. 백색의 꽃은 높이 15.3 cm, 폭 28.2 cm 크기로 수명은 3.3일이었으며, 생체중은 29.2 g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안 백련꽃의 개화를 시키기 위해서는 근경의 비대가 시작되기 이전에 주 근경의 마디를 8마디 이상 생장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