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ctonia solani (R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각종 작물에서 분리한 R. solani 균주들의 RAPD를 이용한 종내 그룹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및 AGs 신속 간이동정 (Analyses of Genetic Relationships of Rhizoctonia solani Isolates from Various Crop Species and Rapid Identification of Anastomosis Groups with RAPD Method)

  • 이윤수;최혜선;김경수;우수진;강원희;김명조;심재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73-379
    • /
    • 1998
  • Rhizoctonia solani의 종내 그룹의 분류에는 균사융합군과 배양형태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미 20종 이상의 R. solani가 생태학적, 형태학적, 효소학적, hyphal anastomosis 등에 의해 이미 구분되어졌다. Anastomosis group은 R. solani를 분리하는데 유용하지만 R. solani의 생물학적과 병리학적 연구를 위한 유전적 특성과 동정의 직접적인 방법이 요구되어진다. RAPD는 특별한 DNA 절편을 증폭하고 이를 genetic mapping, identification of isolates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genetic variation 조사에도 사용될 수 있다.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크게 5 group으로 나뉘어졌고, 5개의 group은 AG group의 subgroup과 동일하게 나뉘어졌다. AG group에 구분되지 않은 species들도 RAPD결과 AG tester들과 grouping 되어졌다. RS-1은 AG-5 group에 속하며, RS-4, RS-14, RS-17, RS-16은 AG-2-2(III B)에 속하였다. RS-13은 AG-4에 속하였으며, RS-8과 RS-10은 AG-1(I B)에, RS-7과 RS-21은 AG-2-2(IV)에 속하였다. RS-19는 AG-1-1(I C)에 속하고, RS-3, RS-5, RS-18, RS-6, RS-15는 AG-1에 속하였다. RAPD 결과 AG group의 subgroup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고, 이에 AG group 되어 있지 않은 species의 AG grouping이 이루어졌다. 또한 subgroup 간의 유전적 차이를 확인 할 수 있는 marker를 개발하거나 subgroup의 특별한 primer를 제작하는 SCAs기법을 이용하여 식물체 병반 또는 토양에서 분리된 R. solani를 간이 동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duction of Defense Response Against Rhizoctonia solani in Cucumber Plants by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GS1

  • Seo, Dong-Jun;Nguyen, Dang-Minh-Chanh;Song, Yong-Su;Jung, Woo-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3호
    • /
    • pp.407-415
    • /
    • 2012
  • An endophytic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GS1, was isolated from bracken (Pteridium aquilinum) and found to have maximal production of chitinase (4.3 units/ml) at 5 days after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ility of B. thuringiensis GS1 to induce resistance to Rhizoctonia solani KACC 40111 (RS) in cucumber plants. Chitinase activity was greatest in RS-treated plants at 4 days. ${\beta}$-1,3-Glucanase activity was highest in GS1-treated plants at 5 days. Guaiacol peroxidase (GPOD) activity increased continuously in all treated plants for 5 days. Ascorbate peroxidase (APX) activity in RS-treated plants was increased 1.5-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4 days.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in RS-treated plants was increased 1.5-fold compared with the control at 3 days. At 5 days after treatment, activity staining revealed three bands with chitinase activity (Ch1, Ch2, and Ch3) on SDS-PAGE of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GS1+RS, whereas only one band was observed for RS-treated plants (Ch2). One GPOD isozyme (Gp1) was also observed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RS and GS1+RS at 4 days. One APX band (Ap2) was present on the native-PAGE gel of the control, and GS1- and GS1+RS-treated plants at 1 day. PPO bands (Po1 and Po2) from RS- and GS1+RS-treated plants were stronger than in the control and GS1-treated plants upon native-PAGE at 5 day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duction of PR proteins and defense-related enzymes by B. thuringiensis GS1 might have suppressed the damping-off caused by R. solani KACC 40111 in cucumber plants.

상이한 정렬에 따른 N-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 분자장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es on the Fungicidal Activities of N-phenylthionocarbamate Derivatives based on Different Alignment Approaches)

  • 성낙도;성민규;유재원;장석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7-164
    • /
    • 2006
  • 새로운 N-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N-phenyl-치환기(X) 변화에 따른 벼잎집무늬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및 고추역병균(Phytophthora capsici)에 대한 살균활성과의 3D-QSARs 관계를 상이한 정렬에 따른 비교 분자장 분석(CoMFA)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field fit 정렬 조건에서 유도된 CoMFA 모델들이 atom based fit 정렬 조건의 모델보다 양호하였다. 따라서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CoMFA 모델들은 field fit 정렬과 CoMFA장들의 조합 조건에서 유도된 CoMFA 모델(RS: RF2 및 PC: PF2)들이었다. 두 CoMFA 모델들은 통계적으로 높은 예측성($r^2_{cv.}$=RS: 0.557 및 PC: 0.676)과 상관성($r^2_{ncv.}$=RS: 0.954 및 PC:0.968)을 보였다. 그리고 두 균주에 사이의 선택적인 살균활성은 기질분자의 정전기장에 의존적이었으며 CoMFA 등고도는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이 기질분자의 치환기(X) 변화로 개전 될 수 있을 것임을 나타내었다.

Methanesulfonamide와 phenylhyazone 유도체의 살균활성에 대한 parameter focusing (Parameter focusing on the fungicidal activity of methanesulfonamide and phenylhydrazone derivatives)

  • 성낙도;김선영;최중권;옥환석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6-89
    • /
    • 1999
  • 일련의 methanesulfonamide(Ia-Ig)와 phenylhydrazone(IIa-IIh) 유도체를 합성하고 식물성 병원균인 잿빛 곰팡이병균(BC: Botrytis cinerea), 고추 역병균(PC: Phytophthora capsici) 및 문고병균(RS: Rhizoctonia solani)에 대한 살균활성을 한천 희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살균활성은 (I)보다 (II)가 다소 큰 영향을 미쳤으며 (I)과 (II) 모두 PC=BC>RS의 순서로 살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다루어진 화합물 중에서 3-chlorophenyl 치환체, IIg가 PC균에 대하여 가장 강한 활성 ($pI_{50}=3.96$)을 보였다. 또한, parameter focusing을 통하여 검토된 살균활성에 미치는 요인들로는 Ovality, 극성 및 logP상수 등이었다.

  • PDF

벼잎집무늬마름병균 및 고추역병균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분석 (Comparative Molecular Similar Indice Analysis on Fungicidal Activity of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Derivatives against Rice Sheath Blight and Phytophthora Blight)

  • 성민규;유재원;장석찬;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3호
    • /
    • pp.187-191
    • /
    • 2007
  • 벼잎집무늬마름병균(RS: Rhizoctonia solani) 및 고추역병균 (PC: Phytophtora capsici)에 대한 N-phenyl-O-phenylthionocarbamate 유도체 중, N-phenyl 치환체(X)들의 살균활성에 관한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모델을 유도하고 기질분자와 ${\beta}-tubulin$ 사이의 수소결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CoMSIA 모델들의 기여도로부터 두 균주에 대한 살균활성은 공통적으로 수소결합 받게장이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두 균주 사이의 살균활성에 있어서 선택성은 N-phenyl 고리상 para- 및 meta-치환기로서, RS에서는 수소결합 주게가 아닌 작용기를 그리고 PC에서는 수소결합 받게가 아닌 작용기들의 역할에 기인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RS에서는 meta-위치에 입체적으로 작고 음하전을 선호하는 치환기(X)가 그리고 PC에서는 para-위치에 수소결합 받게가 도입된다면 두 균주에 대한 살균 활성이 증가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