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obium fredii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Rhizobium fredii Pectate Lyase 유전자의 Marker-Exchange 변이 (Marker-Exchange Mutagenesis of Pectate Lyase Gene in Rhizobium fredii)

  • 정민화;박용우;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2-227
    • /
    • 1991
  • Rhizobium fredii USDA193은 대두(Peking)의 근모 세포벽에 침투하여 근류를 형성한다. 본 실험에서는 전보 (1)에서 분리 보고한 R.fredii의 pectate lyase 유전자 clone(SY1)으로부터 $\Omega$변이를 시켰다. 이것을 R.fredii USDA193에 다시 marker-exchange시켜 얻은 변이주(R.fredii USDA193$\Omega$와 R.fredii USDA193omega1)의 pectate lyase 활성이 완전히 block되지 못하였다. R.fredii 내에서는 다른 종류의 pel 유전자가 존재하 것으로 생각되며 pelB 및 pelE의 Rhizobium mutants들은 근류형성 초기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전기영동법(電氣泳動法)에 의(依)한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 Rhizobium fredii와 Bradyrhizobium japonicum의 분류(分類) 및 동정(同定) (Identification of Rhizobium fredii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by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윤한대;조무제;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63-168
    • /
    • 1987
  • 전보에서 보고한 Bradyrhizobium japonicum 9 균주와 Rhizobium fredii 7 균주의 균체 중의 단백질 Pattern의 차이를 일차원 및 이차원 전기영동법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일차원 전기영동법 (SDS-PAGE)에 의해서는 두 group의 균체에서 모두 52개의 band가 관찰되었고 그 중 6개의 main band 로써 group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이차원 전기영동법(2D-PAGE)에 의한 두 group간에 단백질 구성은 Rhizobium fredii 에서는 단백질이 산성 쪽에, Bradyrhizobium japonicum 는 alkali성 쪽에 비교적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또한 두 group 간의 균체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한 결과 조선상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분리된 근류균을 확인하는데 전기영동법이 유용하였으며, 일차원 전기영동법은 많은 균주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이차원 전기영동법은 해상력 및 분리된 단백질 spot를 분석하는데 용이하였다.

  • PDF

콩에서 분리한 근류균의 생리, 생화학적 특성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Isolates of Rhizobia from Soybean)

  • 박기선;최재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1-357
    • /
    • 1996
  • 콩으로부터 분리한 140균주의 근류균은 25균주(17.9%)가 Rhizobium fredii로 115 균주(82.1%)가 Brady-rhizobium japonicum으로 동정되었다. R. fredii에 속하는 분리 균주의 생존 pH 범위는 4..5∼9.0이었고 B. japonicum의 생육 pH 범위는 5.5∼8.0로 비교적 좁게 나타났다. B. japonicum에 속하는 98균주 중에서는 53균주(54%)가 IAA를 생산하지 않는 GT I group으로, 45균주(46%)는 IAA를 생산하는 GT II group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으며,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 유무에 의해 10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 PDF

Rhizobium fredii USDA191의 체외다당류 합성관련 유전자(exo)의 클로닝 및 lacZ와의 융합 (Cloning and Transcriptional Fusion with lacZ of a Gene (exo) Required for Exo-polysaccharide Synthesis in Rhizobium fredii USDA191)

  • 정완석;고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6
    • /
    • 1993
  • Rhizobium fredii USDA191 은 대기 중의 질소를 환원하여 식물체의 생육에 필요한 질소원을 공급해주는 세균으로 다량의 체외 다당류를 합성한다. 전위요소 Tn5의 삽입에 의한 돌연변이 유도로 다당류결핍 변이주 R. fredii YKL293 가 분리되었으며 이 변이주로부터 Tn5 에 인접한 DNA 단편이 pUC19 에 클로닝되었고(plyk5293),이 DNA 단편을 탐침으로 하여 .lambda.NM1149 에 구성되 USDA191 genomic library 로부터 야생형체외다당류 합성관련 유전자(exo) 를 함유한 클론 .lambda. NM1149 22E 를 plaque 혼성화에 의하여 분리하였다. 클론 NM1149.22E 에 들어있는 exo 유전자를 pBR322 에 옮겨서 pJW33을 만들고, 재조합체 pJW33 을 Escherichia coli POII734 에 도입시켜 lacZ 구조유전자를 함유한 MudI 1734 가 exo 유전자의 프러모토와 융합되어 lacZ 구조유전자의 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재조합체 플라스미드 pUM21을 함유한 E. coli JM83 은 .betha.-galactosidase 를 합성하였으며, 야생형 tacZ 유전자를 갖고 있는 E. coli LE392 에 비해서 14-25배 정도 낮은 역가를 보였다.

  • PDF

E. coli에서 근류균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 및 생화학적 특성조사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MCase Gen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in Escherichia coli)

  • 윤호종;박용우;임선택;강규영;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1
    • /
    • 1995
  • From the plasmid pYA300 carring a CMCas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plasmid was subcloned into pBluescript II KS(+)/pBluescript II SK(+) vectors and designated pYA500 and pYA600, respectively. Escherchia coli cells transformed with pYA500 porduced the CMCase more than with pYA600. The orientation of the cloned fragment in pBluescript vector had the effect on gene expression in E. coli background. When the 1.7 kb CMCase gene fragment of R. fredii USDA193 was hybridized to EcoRI-digested total DNA from R. meliloti and R. fredii USDA 191 the unique bands hybridized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me genetic diversity exists in the EcoRI restriction enzyme site for CMCase gene in Rhizobium strains. The optimum pH of enzyme activity was 7 and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at was nearly 37$\circ$C. The cellulase-minus derivatives of pYA500 were constructed by Tn5 insertional mutation. Among 6000 transconjugants, two mutant plasmids (designated pYA500::Tn5a and pYA500::Tn5b) were detected from the cellulase- negative transconjugants. The product of CMCase gene was analyzed by one dimensional SDS- PAGE of the cell extracts. About 45 kDa protein was considered to be a product of CMCase gene.

  • PDF

대두(大豆) 근류균(根瘤菌)의 분리(分離) 및 특성(特性)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Rhizobia from Soybean Cultivated in Korea)

  • 윤한대;조무제;이계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53-162
    • /
    • 1987
  • 한국에서 시험재배 되고 있는 대두(Glycine max.) 101품종의 근류로 부터 근류균을 분리하여 AMA 고체배지 상에서의 생육속도 및 근류형성력에 따라 fast-growing soybean rhizobia 7 균주와 slow-growing soybean rhizobia 9균주를 선발하였다. 선정균의 질소고정력, 미생물학적 특징 및 생화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slow-growing soybean rhizobia 는 .Bradyrhizobium japonicum 과 일치하였으며, fast-growing soybean rhizobia는 Rhizobium fredii 와 유사하였다.

  • PDF

콩 근류균계간 경합과 숙주 친화성의 품종간 차이 (Competition and Host-strain Interaction of Soybean Rhizobium Strains on Two Soybean Cultivars)

  • 박의호;싱글톤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8-724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콩 재배품종과는 친화성이 없다고 알려진 R. fredii (fast-grower)와 기존의 근류균계인 B. japonicum 간의 상호작용 및 숙주친화성 등을 효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뿌리분할방법(split-root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근류균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실험이 수행되었다. Lee와 Peking 품종 및 R. fredii인 PRC205(P205) 균계와 B. japonicum인 USDA110(U110) 균계를 이용하였다. 뿌리분할장치의 양분된 뿌리에 독립적으로 접종하였으며 처리당 4반복씩 완전임의로 배치하였다. 균계간 경합을 보기 위하여 4조합의 근류균계들을 분할장치 양측에 동시 접종하였으며, 또한 균계간 상호작용을 보기 위하여 6조합의 균계를 반분된 뿌리의 양측에 1주일 간격으로 접종하였다. 접종후 3주만에 근류착생 정도와 생육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ee품종에서는 분할된 뿌리 양쪽에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작았던 반면 Pe-king 품종에서는 P205만 접종되었을 때 근류중이 가장 컸다. 2. 두 균계를 동시에 접종했을 때 Lee 품종에서는 UlIO에 대해 P205의 경합력이 거의 없었으나 Peking 품종에서는 오히려 P205의 경합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양 품종 모두 처리에 따른 뿌리의 생육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부 생육량에서는 Lee 품종의 경우 P205만 처리되었을 때 현저히 적었으며 Peking 품종은 P205 단독처리에 비해 U110 단독처리시 적었다. 4. P205를 1차 접종했을 때 Lee품종의 경우 2차 접종된 side의 근류수와 근류중을 현저히 감소시켰는데 다만 U110의 근류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Peking품종에서는 근류수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으나 근류중은 상당히 억제하였다. 5. U110을 1차 접종했을 경우에는 두 품종 공히 반대편 side의 근류착생을 심하게 저해하였다. 6. Lee 품종의 경우 1차 접종된 균계가 2차 접종된 side의 뿌리생육을 다소 억제하였으나 처리간 차이가 있었으며 근류착생이 불량했던 P205 처리구에서도 뿌리의 생육은 양호하였다. 반면에 Poking 품종에서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7. 지상부 생육은 Lee품종의 경우 U110 1차 접종구가, Peking 품종에서는 P205 1차 접종구에서 양호하였다.

  • PDF

우리나라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분포상태(分布狀態)와 생리(生理) 및 생태학적(生態學的) 특성(特性) -제(第)IV보(報)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질산환원(窒酸還元) 및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 특성(特性)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IV. Dissimilartory Nitrate Reduction and Protein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 류진창;서장선;이규영;이상규;조무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5-283
    • /
    • 1987
  • 전보(前報)에 이어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이 상이(相異)한 대두재배지(大豆栽培地)로 부터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을 분리(分離)하여 유리(遊離) 상태(狀態)에서 질소환원작용(窒素還元作用)과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pattern 상의 차이(差異)를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으로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착대두류균(土着大豆瘤菌)의 생육형(生育型) 및 이화적(異化的) 질산환원작용(窒酸還元作用)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4개군(個群)으로 구분(區分)되었다. 즉(卽) 총(總) 87개(個) 검정균주(檢定菌株)중 fast-grower는 38.7%, slow-grower는 61.3%로서 fast grower 보다 많았다. 2. 이들 각(各) 생육형간(生育型間)에는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非脫窒型)(질산호흡형(窒酸呼吸型))으로 구분(區分)되었으나, 질산환원효소결여형(窒酸還元酵素缺如型)은 나타나지 않았다. fast-grower와 slow-grower 간(間)에 탈질형(脫窒型)은 전자(前者) 31%, 후자(後者)에서 89%, 그리고 비탈질형(非脫窒型)은 전자(前者) 69%, 후자(後者)에서 11%로 나타났다. 3. 토착대두근류균(土着大豆根瘤菌)의 균체단백질(菌體蛋白質)의 특성(特性)은 1차원(次元) 및 2차원(次元) 전기영동상(電氣泳動像)에서 fast-grower와 slow-grower의 양생육형간(兩生育型間)에는 차이(差異)를 볼수 있었으나, 탈질형(脫窒型)과 비탈질형간(非脫窒型間)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한국에 분포되어 있는 토착대두 근류균의 질산 환원 특성 (Dissimilatory Nitrat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Soybean Rhizobia Distributed in Korea Soils)

  • 최영주;최용락;윤한대;유진창;이상규;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75-181
    • /
    • 1986
  • 연속적으로 대두를 재배한 토양과 신개간지 토양에서 재배한 대두 품종 단엽의 근류로부터 토착대두 근류근 87종을 분리하고 이들을 생장속도에 따라 Bradyrhizobium japonicum (slow-grower) 및 Rhizobium fredii (fast-grower)로 분류한 결과 전자가 55종, 후자가 32종이었다. 이두그룹의 대두 근류균을 질산염 환원특성에 따라 denitrifying fast-grower(F-1), nitrate respiring fast-grower(F-II), denitrifying slow-grower(S-I), 및 nitrate respiring slow-grower (S-II)로 세분 되었으며, 분리균주 총 87종중 S-I, S-II, F-I 및 F-II의 수는 각각 10, 22, 48 및 7종이었다. 이들 각 group 대두 근류균의 균체단백질의 전기영동 pattern상의의 차이를 1차 및 2차원 전기영동으로 분석한 결과 slow 및 fast-grower간에는 현저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동일 생장속도를 가진 것 중 denitrifer와 nitrate repirer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