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hizina undulat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Sodium Chloride (NaCl) on the Mycelial Growth and Ascospore Germination of Rhizina undulata, the Root Rot Fungus of Coniferous Trees

  • Lee, Sun Keun;Lee, Dong Hyeon;Lee, Kyoung-Tae;Park, Yong Bae;Seo, Sang-Tae;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312-316
    • /
    • 2015
  • Rhizina undulata, the causal agent of Rhizina root rot, is a soil-borne fungus occurring on coniferous trees. The destruction of coastal forests caused by R. undulata infection has been mainly associated with bonfires at camping sites. However, Rhizina root rot was observed in the western coastal forests without fire. It was hypothesized that Rhizina root rot in this area might be closely related to the soil salinity, which can facilitate the growth and survival of R. undulata. So, the variation in sodium chloride (NaCl) resistance among isolates of Rhizina undulata was compared using liquid media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Cl ranging from 0 mM to 300 mM. Our results showed that, albeit of no growth at a higher concentration of NaCl (300 mM), most of R. undulata isolates were capable of germinating and grew at up to 100 mM, indicating that NaCl resistance varies among R. undulata isolates. It was further found that isolates from coastal areas seemed to be more tolerant to NaCl than those further away the coast. We demonstrated that R. undulata could be possible to survive in coastal areas, but was lower NaCl tolerance than other fungi.

Detection of Rhizina undulata in Soil by Nested-PCR Using rDNA ITS-specific Primer

  • Lee, Sun Keun;Lee, Jong Kyu;Lee, Seung Kyu;Kim, Kyung Hee;Lee, Sang Y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5호
    • /
    • pp.585-590
    • /
    • 2007
  • Rhizina undulata is the fungus, which causes Rhizina root rot on coniferous trees. Nested-PCR using ITS-specific primer was applied to detect R. undulata from the soils of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l) forests infested with the disease in Seocheon,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different sites, both dead trees and fruit bodies of R. undulata were present, dead trees only present, fruit bodies only present, and both were absent. Nested-PCR products specific to R. undulata ITS-region were amplified. Positive reactions were found in some samples from the sites, where dead trees and fruit bodies of R. undulata were absent as well as where both of those were present. R. undulata was mainly detected in the soil samples from the depth of 5~20 cm under the soil surfac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sted-PCR could be used to diagnose the presence or potential infestation of R. undulata in the soils of pine forests.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病)에 관(關)한 연구(硏究) : Rhizina undulata의 생리적(生理的) 특성(特性) 및 병원성(病原性) (Studies on Rhizina Root Rot Disease of Pinus densiflora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of Rhizina undulata)

  • 이상용;김완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322-329
    • /
    • 1990
  • 리지나뿌리썩음병(病)에 의한 소나무림(林)의 군상고사(群狀枯死) 현상(現象)이 강릉지방(江陵地方)에서 발견되었는데 흑갈색(黑褐色)의 부후반점(腐朽斑點), 방사상(放射狀) 부후(腐朽)흔적 및 모래덩이 형성등(等)이 이병목(罹病木)의 뿌리에서 관찰되었다. 년간(年間) 피해(被害) 확산거리(擴散距離)는 약(約)6m였으며, 포착목(捕捉木)에 의하여 이병목(罹病木) 토양중(土壤中) 병원균(病原菌)이 검출(檢出)되었다. Rhizina undulata의 자양포자(子襄胞子)는 $37^{\circ}C$ 24시간(時間) 또는 $40^{\circ}C$ 17시간(時間) 열처리(處理)에 의하여 발아(發芽)되었으며, PDA배지(培地)에서 균사(菌絲)의 생장이 양호하였고, 최적생장온도(最適生長溫度)는 $25-30^{\circ}C$ 배지(培地)의 최적(最適)pH는 5.6-6.3이었다. 試驗管내(試驗管內)에서의 접종실험결과(接種實驗結果), 침엽수가 활엽수보다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 PDF

Rhizina undulata rDNA ITS 영역의 PCR 검정 및 염기배열 분석 (PCR Detection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rDNA ITS Regions of Rhizina undulata)

  • 이선근;이종규;김경희;이승규;이상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25-431
    • /
    • 2007
  • Rhizina undulata의 PCR 검정 및 유전적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rDNA ITS 영역의 염기배열 해석 및 PCR 방법에 의한 토양으로부터 R. undulata의 진단법을 개발하였다. 18S rDNA 부분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공시한 4종의 균주 모두 1,375 nt의 크기로 동일하였으며, 염기배열도 100% 일치하였다. 한편, rDNA ITS 영역의 염기배열은 585 nt이었고, PDK-1, PTT-1 및 PDJ-9 균주는 염기배열이 100% 동일하였으나, PDS-5균주에서는 두 곳에서 염기의 치환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염기배열을 분석하여 제작한 R. undulata rDNA ITS 영역 특이적 primer를 이용한 PCR 검정 결과, R. undulata 균주들에서만 약 525 bp 크기의 ITS 영역 특이적인 증폭산물이 검출되었다. PCR 방법에 의하여 검출할 수 있는 토양 중의 R. undulata 최소 균사량의 한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순수 배양한 R. undulata 균사현탁액을 순차 희석하여 100g의 사양토에 혼합한 다음, 농도별로 균사 혼합한 각각의 토양 시료로부터 추출한 total DNA의 PCR 증폭산물을 분석한 결과, PCR 방법에 의하여 100g의 토양 중에 1 ng의 R. undulata 균사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까지 검출이 가능하였다.

리지나뿌리썩음병균 분리주들의 배양 특성 및 RAPD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 분석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Genetic Diversity of Rhizina undulata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 이상용;이선근;이종규;김경희;이승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4호
    • /
    • pp.388-392
    • /
    • 2006
  • 국내에 분포하는 리지나뿌리썩음병균(Rhizina undulata)의 생리적 특성 및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기 위하여, 소나무(Pinus densiflora) 및 곰솔(P. thunbergii) 림으로부터 분리한 13종의 리지나뿌리썩음병균 분리주를 공시하여 각 분리주들의 배양 특성 및 RAPD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P. densiflora 및 P. thunbergii로부터 제조한 수용성 추출물 첨가배지에서의 각 분리주들의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분리주들의 기주와 분리주들의 기주로 부터 추출한 수용성 추출물 배지에서의 균사생장량 간에는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12종의 random primer를 사용하여 R. undulata 분리주들의 genomic DNA의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에 의한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 분리주들의 RAPD profile은 모두 동일하였다. 그러나, 국내 분리주들의 RAPD profile과 일본 분리주와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즉, RAPD profile의 phylogenetic tree 분석 결과, 국내 분리주들과 일본분리주와는 88%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서해안 곰솔림에서의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 및 확산 유형 (Occurrence of Rhizina Root Rot in a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 Located at the Western Coastal Area in Korea and Its Spreading Patterns)

  • 이승규;김경희;김연태;박주용;이상현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208-212
    • /
    • 2005
  • 2002년 6월에 서해안의 태안군 남면 달산3리에 위치한 약 20ha의 곰솔림내 27개소에서 각 개소당 평균 10나무씩 무리를 지어 합계 294그루가 고사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2002년 6월부터 2004년 8월까지 4개 고정조사구에서 죽거나 죽어가고 있는 나무의 상태와 피해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파상땅해파리버섯의 위치를 조사한 결과, 1) 피해목이 최초 고사목 발생장소로부터 불규칙 동심원을 이루면서 확산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2) 파상땅해파리버섯이 죽은 나무의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3) 나무를 고사시킬 수 있는 해충이나 병원체가 발견되지 않아이 지역에서의 나무집단고사는 리지나뿌리썩음병원균(Rhizina undulate)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해지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결과, 피해지 토양의 pH는 $4.6\~5.79$이었으며, 토양양료수준도 대단히 낮은 상태이었다. 태안 피해지에서는 리지나뿌리썩음병 발생의 중요한 유인인자로 알려져 있는 모닥불 등 '불'을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병해 발생과 관련된 다양한 환경적 유인에 대한 정밀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