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tirement Attitud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3초

노후준비 인식과 행동에 대한 노후 생활설계 상담의 효과 (The Efficacy of Retirement Planning Counsel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Awareness and Behavior)

  • 성혜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71-187
    • /
    • 2013
  • Individuals are increasingly required to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counseling for retirement planning on awareness and behavior related to retirement preparation. The data came from 3,561 adults who received counseling from National Pension Service.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for retirement preparation after receiving counseling services ; (2) young age, type of counseling (comprehensive diagnostic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counseling method (face-to-face) had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 and (3) expertise and adequacy of counseling, as well as the attitude of counselors, had an influence on changes in awareness and behavior.

  • PDF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경제적 은퇴준비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20·30대 소비자 대상으로 (A Study on Behavioral Intention for Financial Retirement Preparation to Apply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cusing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 장몽교;이승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5호
    • /
    • pp.53-68
    • /
    • 2016
  •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means making financial plans by predicting expected incomes and expenditures needed for maintaining success in later life. Because this preparation needs long-term planning, preparing as early as possible is recommended. This study, therefore, uses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examining the intention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By using financial education and its understanding as additional variables, this study also intends to examine the ultimate effects on the intent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First, the level of consumer financial education is lower than the average. The level of understanding finance is lower than the average, and particularly, the level of understanding retirement related finance is much lower. Second, the more the attitude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positiv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ubjective norm or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the level of the intention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tends to be more higher. Therefore, relevant efforts to encourage this preparation are needed. Third, the level of the intention of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is higher than the average, whereas financial education has no effects on the intention. This means that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financial education, its current implementation has many problem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can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retirement planning programs. In addition, in terms of the policy, given that this study targets relatively you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it can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making policies for their future retirements.

20, 30대 임금근로자의 은퇴재무설계에 관한 연구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mong Paid Workers Aged 20s and 30s)

  • 차경욱;박미연;김연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9-16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expectations and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financial planning for retirement among paid workers aged 20s and 30s. It compared paid workers' socio-economic, and retirement-related characteristics between those who had retirement planning and those who did not, and identified factors important to retirement planning decision.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paid workers in age 20s and 30s (n=227), and were analyzed by t-tests, chi-square tests, an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id workers' expected retirement age was 56, and their ideal age for retirement was about 60. More than 85% of workers agreed that the retirement planning should begin before age 40, but just 51 % of the workers had retirement planning. Second, the workers aged 30s, married, and those who had higher incomes and home ownership were more likely to prepare financially for their retirement. Third, as their expected retirement age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decision to retirement planning increased. Those who expected that the economic status of retirees' living would be same as their current 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have retirement planning.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retiremen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ision to have retirement planning.

중년기 직업종사자의 은퇴 후를 대비한 재정적 준비: 공적 연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Middle-Aged Jobholders' Financial Planning for After-Retirement Period : Focused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Members of Participated Public Planned Pension Types)

  • 김인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7-87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aged jobholders anticipate their living after retirement, how they plan their post-retirement financial welfare and what attitude they have towards old age. The data came from 290 middle-aged male and female people in Incheon, Suwon and Cheongju city and were analyzed to find the differences among public planned pension type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System (NPS),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Corporation (GEPC), and the Korea Teachers Pension (KTP).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income level after retirement in GEPC members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in KTP members. Second, the expected living period after retirement is the main criteria used when determining the amount of money needed for old age. Third, KTP members were of the most inferior at financial planning and practice, especially self-reflection of their expending behavior, thrift and saving practice for old age.

  • PDF

한국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and Mediation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by Social Paritication Attitude of Public Officials in Korean Baby Boom Generation)

  • 정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93-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준비 상태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의 사회참여 태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참여 태도는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 태도는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참여 태도와 성공적 노후간의 관계에서 노후준비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소비자의 은퇴설계실행능력과 영향요인 (Capability of Retirement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

  • 김정현;박주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7-1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on CRPI (capability of retirement planning and implementing) and to identify the critical point of financial factors to increase CRPI. 908 Korean individuals' data were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and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Analysis. As a result, CRPI was influenced by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nning, gender, income, and propensity to save. Some mid-group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PI compared to the lower-group. Men were more capable at CRPI than women in terms of sense of independence and getting a consulting service. Most consumers appear to have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ir retirement fund. People who have income over 3,000,000 won have dramatically greater CRPI than people who have income under 3,000,000 won. And people who have saving ratio over 23% have significantly greater CRPI than people who have propensity to save under 23%. The monthly income 3,000,000 won and propensity to save 23% were considered as critical points related to CRPI.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 이계상;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24-734
    • /
    • 2016
  •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인구·경제·조직 측면에서 공기업 임금피크 근로자 분석 (A Study on Public Enterprise Workers with Wage Peak System -Population, Economic and Organizational Aspects-)

  • 윤재희;이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74-186
    • /
    • 2019
  • 본 연구는 고령인력 증가가 다른 영역보다 빨리 진행되며, 인적자원관리가 쉽지 않은 공기업 임금피크 근로자의 인구 경제 조직적 특성과 임금피크제 및 퇴직 간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임금피크제 실시 공기업 19개사에 종사하는 임금피크 근로자 211명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구 경제적 특성에 있어서, 교육수준, 가계총수입, 퇴직 후 생활비, 퇴직대비저축과 투자금액은 임금피크만족도, 임금피크수용도, 퇴직준비와 퇴직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특성에서는 직급과 직군, 근무기간과 정년퇴직잔여기간, 퇴직준비프로그램 참여 그리고 임금피크 적용 여부에 따라 각각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사회를 위한 실효성 있는 임금피크제 시행을 위해서는 복지지원, 교육훈련, 전직지원과 같은 고령친화인사제도의 직군, 직급, 경제수준 및 교육수준 별 시행의 필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의 영향요인 비교: 계획된 행동이론을 통한 검증 (The Mediation Effects of Post-retirement Preparation on Active Ageing and Productive Aging: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한태영;신교수;이주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2호
    • /
    • pp.137-16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91)에 입각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을 고찰하는 것으로, 노년기 행동에 대한 참여 과정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기화 요소로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감을 연구하였으며, 이 세 요소가 노후준비라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노후준비의 세부요소가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50~69세의 중고령 근로자 192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주로 태도와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통해서 활동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규범과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매개로 생산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 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정서적 및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중년층의 재무교육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education and retirement attitudes of middle-ag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 강신기;조성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17-132
    • /
    • 2013
  • 본 연구는 앞으로 은퇴생활을 시작하게 될 중년층의 재무교육 여부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경제적, 신체적, 정서 사회적)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변수들 간의 차이점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년층 3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t-test, 일원 분산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내용은 퇴직을 앞둔 중년층의 휴식으로서의 전환이 경제적 노후준비와 신체적 노후준비,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의 상관관계와 새로운 시작, 일의 계속, 강요된 분열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첫째, 연령이 높을수록, 기혼, 소득과 직업경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년층의 재무교육이 영역별 노후준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냄으로써 사전 퇴직교육과 은퇴준비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퇴직태도는 신체적 노후준비 인식에 영향을 미쳐 자아존중과 가정의 안정 및 경제적인 면과 건강상태, 여가활동 등의 영향요인이 있음이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