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ting egg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1초

Vitamin $B_{12}$ 첨가가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의 내구란의 생산과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tamin $B_{12}$ Addition on the Hatching Rate and Production of Resting Eggs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 권오남;조수근;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0-163
    • /
    • 2001
  • 본 연구는 vitamin $B_{12}$의 첨가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유성생식율 및 내구란 생산을 조사하였다. Vitamin $B_{12}$의 첨가방법은 rotifer의 먹이생물인 농축 담수산 Chlorella에 첨가하여 공급하였고 실험용기는 250mL 삼각플라스크에서 실시하였다. Rotifer의 최고밀도는 vitamin $B_{12}$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낮게 나타났고 6ppm구에서 가장 낮은 138개체/mL를 보였다. 유성생식 율과 수정률은 vitamin $B_{12}$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 6ppm구에서 각각 $63.0\%$$89.6\%$로 조사되었다. mL당 내구란 생산은 1.5 ppm구에서 231개/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vitamin $B_{12}$의 첨가구와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Rotifer $10^6$개체당, Chlorella 건중량 (g) 당 내구란 생산량은 6ppm구에서 각각 11,259개, 121,252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Vitamin $B_{12}$의 첨가량에 따라 형성된 내구란의 부화율은 vitamin $B_{12}$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67.7\sim80.9\%$의 부화율을 보여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48.2\%$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의 내구란 생산과 내구란의 부화율에 vitamin $B_{12}$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온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의 성장과 내구란 생산 (Growth and Production of Resting Eggs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 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79-784
    • /
    • 1998
  • 수온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의 성장률과 내구란 생산을 조사하였다. 담수산 rotifer배양은 250ml flask에서 먹이로 농축 담수산 Chlorella를 공급하였다. Rotifer의 성장률은 수온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지만 최고밀도는 $20^{\circ}C$를 제외하고 수온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내구란 생산은 $26^{\circ}C$ 전후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총 내구란 생산과 rotifer $10^4$개체당 내구란 생산은 $20^{\circ}C$에서 각각 157개/ml와 810개/ml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담수산 rotifer, B. calyciflorus는 $30^{\circ}C$에서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대량배양에 아주 효과적이며, 수온 $26^{\circ}C$에서 내구란을 생산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에 관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 (Effects of Steroid Hormones for Sexual Reproduction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이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62-67
    • /
    • 2019
  • 본 연구는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을 유도하기 위해 효과적인 매개물질로 몇 가지 성 steroid hormone (serotonin, progesterone 및 ${\beta}$-estradiol)을 선정하여 농도별(Low, 30 mg/L 및 High, 300 mg/L)로 내구란 생산효과를 6일 동안 배양하면서 조사하였다. 배양 3일째 ${\beta}$-estradiol ($E_2$) 처리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성생식률이 20.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배양 6일째 내구란 생산수(106 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serotonin이 높게 나타났다. 더하여, 위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몇 가지 유성생식관련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NrbP, SRY, Cyclin 및 MrpmB 유전자가 처리한 모든 hormone에 대해 up-regulation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B. rotundiformis의 내구란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steroid hormone은 ${\beta}$-estradiol인 것으로 판단되며 유성생식 관련 유전자로 NrbP, SRY, MrpmrB 및 Cyclin을 제안할 수 있다. 차후 효과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한 $E_2$의 최적 처리농도규명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 염분 및 보관방법에 따른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내구란의 부화율 (Effect of Temperature, Salinity and Preservation Method on Hatching Rate of Rest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9-344
    • /
    • 1996
  •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내구란의 부화에 미치는 온도($24\~36^{\circ}C$)와 염분($5{\~}30$ ppt)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장 높은 내구란의 부화율은 $28^{\circ}C$, 15 ppt에서 $85.7{\%}$로 나타났다. 온도 $32^{\circ}C(42.6\~60.5\%)$$36^{\circ}C(52.0\~61.4\%)$에서는 염분과 수온에 따른 부화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화시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게 나타났다. $5^{\circ}C$ 암흑상태로 내구란을 보존할 경우 2일 동안 일시적으로 부화하였다. 그러나 $28^{\circ}C$ 내구란을 보존한 경우, 14일 동안 산발적으로 부화하였다. 또한 부화율은 $28^{\circ}C(58.1\%)$$5^{\circ}C(40.2\%)$ 보다 높게 나타났다. 내구란의 건조온도가 시간에 따른 부화율은 $30^{\circ}C$에서 1시간동안 건조한 내구란이 $46.4{\%}$로 가장 높은 부화율을 보였다.

  • PDF

해수산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유성생식유도에 관한 염분 및 기사용 배양수의 효과 (Effect of salinity and used medium on the induction of sexual reproduction in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 이균우;심소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92-697
    • /
    • 2016
  • 해수산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의 내구란 대량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유성생식자극요인을 구명하기 위해 염분자극과 기사용배양수의 효과를 9일 동안 조사하였다. 각 염분에 노출된 후 모든 실험구에서 배양 3일째부터 유성생식률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배양 4-5일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구란은 10‰, 15‰, 20‰, 25‰ 실험구에서 배양 4일째에 출현하였으며 특히 20, 25‰ 실험구는 배양 6일째 수정률이 각각 33.3%와 31.3%로 다른 실험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9일간 평균 유성생식률은 10‰와 20‰ 실험구에서 각각 25.3%와 20.2%로 높게 나타났다. 수정률은 25‰ 실험구에서 14.0%로 가장 높았다. 각 기사용배지농도에 노출된 후 모든 실험구의 유성생식률은 염분실험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내구란은 0%과 25% 기사용배지에 노출되었을 때 만 출현하였다. 평균수정률은 모든 실험구가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유성생식률은 25% 실험구가 22.3%로 대조구인 0%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B. rotundiformis의 내구란 대량생산을 위한 효과적인 유성생식유발요인으로 기배양수자극보다 염분자극이 더 효과적이며 최적 염분은 비교적 높은 유성생식률과 수정률을 유도한 20-25‰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차후 rotifer 내구란 대량생산을 위한 핵심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urvival Strategies of th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for Coexisting with the Copepod Apocyclops borneoensis in Laboratory Culture

  • Jung, Min-M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57-62
    • /
    • 2012
  • Int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a euryhalin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a cyclopoid copepod Apocyclops borneoensis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culture. In a mixed culture of B. rotundiformis and A. borneoensis, population growth of B. rotundiformis was suppressed from day 10, while growth in a monoculture population continuously increas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However, the population growth of A. borneoensis in the mixed culture did not markedly differ from that in a monoculture population. Suppression of B. rotundiformis growth coincided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s of both non-egg-bearing and egg-bearing females, and increasing resting egg formation. Growth of A. borneoensis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the rotifer. However, relative growth index of ovisac bearing females in the mixed culture was 1.62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monoculture. Presence of the copepod did not greatly reduce the food available to the rotifer population. The rotifer B. rotundiformis responded in a unique way, to stresses such as physical damage (filtering by A. borneoensis) with the production of many resting eggs to increase its chances of survival.

과분극 자극에 대한 mouse 미수정란의 세포막저항과 세포막전압의 변화 (Changes of membrane resistance and membrane potentials by hyperpolarizing current stimulation in mouse unfertilized eggs)

  • 홍성근;김익현;조영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40
    • /
    • 1991
  • For the observations of both the membrane properties and the excitability on the unfertilized eggs of female mice, changes of the membrane resistance and the membrane potential by hyerpolarizing current stimulation were recorded. As current-voltage relation was linear over the entire range (-180mV~+60mV), membrane resistance($R_m$) was calculated from the amplitude of electrotonic potential to a given stimulus current. Also the presence of anode-break excitation was confirm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linear relation between the membrane resistance and resting membrane potential, the expected input resistance was 61. 4M$\Omega$(resting membrane potential was $-18.9{\pm}8.7mV$, mean${\pm}$SD, n=30). 2. Transient depolarization with overshoot was generated just after hyperpolarizing current stimulus and showed the dependency of stimulus duration. 3. Transient depolarization lasted over 30ms, amplitude of these depolarization was increased by high $Ca^{{+}{+}}$(20mM) and inhibited by $Ca^{{+}{+}}$-antagonist, $Mn^{{+}{+}}$. 4.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unfertilized mouse egg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citable cell.

  • PDF

먹이종류에 따른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의 내구란 생산 및 부화율 (Production and Hatching Rate of Resting Egg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Pallas fed the Different Diets)

  • 박흠기;권오남;박기영;김광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5-229
    • /
    • 2000
  • 담수산 rotifer, B. calycinoms를 대상으로 5 종류의 먹이 (ESP, 담수산 농축 Chlonlla, 빵효모 단독구와 $ESP 70{\%}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 30{\%} 혼합구 및 빵효모 30{\%}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 70{\%}$ 혼합구)에 대한 내구란 생산과 먹이종류에 따라 생산된 내구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먹이 종류에 따른 내구란 생산은 $ESP 70{\%}$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 30{\%}$ 혼합구와 빵효모 30{\%}$와 담수산 농축 Chlorells 70{\%}$ 혼합구에서 각각 123.3 개/ml와 126.7 개/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단독구보다 혼합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먹이에 따른 내구란의 부화율은 $ESP 70{\%}$와 담수산 농축 Chlorella $30{\%}$ 혼합구에서 $71.9{\%}$로 가장 높았지만 빵효모 $30{\%}$와 담수산 농축 Chlonlla $70{\%}$ 혼합구 및 담수산 농축 Chlorella 단독구와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담수산 rotifer의 내구란 생산 및 부화율을 높이기 위한 먹이로 담수산 농축 Chlorella에 빵효모와 ESP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use 미수정란에서의 electrogenic Na pump 활동여부에 관한 연구 (Electrophysiological study on the presence of the electrogenic Na pump of the mouse unfertilized eggs)

  • 홍성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5-251
    • /
    • 1989
  • In order to manifest the presence of Na-K pump and its property on the unfertilized egg membranes of mouse, membrane potential was recorded under the physiological condition (at $37^{\circ}C$ and 4mM $Ca^{2+}$). After an induction of superovulation, the fresh eggs with zona pellucida were collected from mouse oviduct. Transient hyperpolarization as pump action was recorded after the switch into the high potassium perfusate (15mM $K^+$) from K-free perfusate, and the difference between membrane potential observed just before the perfusion of high potassium solution and the maximal membrane potenlial during the perfusion of high potassium solution was regard as pump activities. The results observed were as follows, 1. Resting mombrane potential was depolarized under the treatment of $10^{-5}M$ ouabain. 2. Pump activities of the unfertilized mouse eggs were $-3.38{\pm}0.61mV$ ($Mean{\pm}SD$, n=6), recorded as transient hyperpolarization due to the electrogenic property. 3. Pump activities were blocked by both treatment of $10^{-5}M$ ouabain and perfusion of Nafree solution, while increased by high $Na^+$ (300mM) perfusion ($-7.45{\pm}0.75mV$, n =2). 4. Hyperpolarization due to pump activity was not altered by $Mn^{2+}$. 5. Above results confirm the presence of ouabain-sensitive Na-K pump, which affected the membrane potential directly, on the unfertilized egg membranes of mouse.

  • PDF

월년잠종의 인공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rtificial Hatching of Hibernating Eggs, Bombyx mori L.)

  • 김윤식;손해용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0
    • /
    • 1976
  • 월년종의 냉장처리일수 및 인공부화에 따른 부화상태를 알고자 춘기채종 잠 103$\times$잠 104를 공시하여 1월하순에서 2월 중순에 걸친 시험에서 1월 하순경에 잠난은 휴면타파가 이루어 졌으나 5$^{\circ}C$ 냉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휴면이 완전 타파되어 최청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인공난화처리는 영기 비중 1.075 보다는 1.10이 변화에 좋은 영향을 미쳤으며 침지시간은 2분보다는 3분이 효과적이었다. 저온처리와 인공부화처리간에는 저온처리가 짧은 경우는 인공난화처리로서 부화에 효과적이나 반대로 긴 경우는 인공부화 양리량이 강할 수록 난 영산농도와 침지시간이 강할 수록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