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cycl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7초

간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 환자의 호흡신호분석 (Respiratory signal analysis of liver cancer patients with respiratory-gated radiation therapy)

  • 강동임;정상훈;김철종;박희철;최병기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0
    • /
    • 2015
  • 목 적 : 외부표지자 호흡움직임 측정 장치(RPM; Real-time Position Management, Varian Medical System, USA)를 이용한 간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 시 호흡신호와 방사선 조사 시간 및 실제 조사된 호흡위상을 분석하여 호흡움직임 측정 장치를 이용한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Novalis Tx.(Varian Medical System, USA)와 RPM을 이용하여 간암 호흡동조 방사선치료(Duty Cycle 20%, Gating window 40% ~ 60%)를 시행한 환자 총 16명의 치료 시 기록된 호흡움직임을 분석하였다. RPM에 기록된 외부표지자의 호흡움직임을 후행적 분석을 통해 호흡위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재구성된 호흡위상을 이용하여 기록된 Beam-on Time과 Duty Cycle에 대해 RPM을 사용한 호흡동조 방사선치료의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고, 호흡움직임의 재현성에 따른 Duty Cycle과 예측 정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16명의 치료계획 시와 실제 치료 시 호흡주기 차이는 평균 -0.03초(범위 -0.50초 ~ 0.09초)로 분석되었으며 두 호흡간의 통계적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p=0.472). 치료 시 평균 호흡주기는 4.02 sec (${\pm}0.71sec$), 치료 중 호흡주기 표준편차의 평균값은 7.43%(범위 2.57% ~ 19.20%)로 분석되었다. 실제 Duty Cycle은 평균 16.05%(범위 13.78% ~ 17.41%)로 나타났고 이 중 후행적 분석을 통해 평균 56.05%(범위 39.23% ~ 75.10%)가 계획된 호흡위상(40% ~ 60%)에서 조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호흡주기의 표준편차와 Duty Cycle과 계획된 호흡위상에서 조사된 비율의 상관관계는 각각 -0.156 (p=0.282)와 -0.385 (p=0.070)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실제 치료 중 기록된 외부표지자의 호흡움직임을 후행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중 호흡움직임의 재현성 및 Duty Cycle, 계획된 호흡동조창에서의 실제 치료 비율 등을 확인하였다. 4DCT를 이용한 치료계획과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호흡훈련 및 호흡신호 모니터링의 강화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호흡 주기와 자세에 따른 자율신경계의 변화 (Autonomic Nervous System Changes Associated with Respiratory Cycle and Posture)

  • 송성인;구봉오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23
    • /
    • 201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spiratory cycle and posture can modulate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Methods : Thirty-two healthy men and women, aged 20-30 year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conducted 2-second and 6-second respiratory cycle with the subjects in standing,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respectively. Their heart rate variability was measured in each position for both cycle lengths. Results : The low frequency/high frequency (LF/HF) ratio is derived from heart rate variability. In the 2-second respiratory cycles, the LF/HF ratios were highest in standing, sitting, and supine position in descending or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between standing and sitting positions (P<.0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between standing and supine position (P<.000). In the 6-second respiratory cycles, the LF/HF ratios were again highest in a standing, sitting, and supine position in descending order. However, posture was not found to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s case. Conclusion : Respiratory cycle and posture effectively modulate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Further studies of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se results should be conducted.

운동부하가 움직임-호흡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xercise Load on the Locomotor-Respiratory Coupling)

  • 남궁영;박은영;박호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56-62
    • /
    • 1998
  • The nature of entrainment between the locomotor and the respiratory rhythm was investigated while normal human subjects were walked or running on a treadm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cidence and type of coordination between the locomotor and the respiratory rhythm during running at different work loa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12 untrained volunteers exercising at 3 work loads (2 METs, 3 METs, 4 METs in randomized order). The gait cycle was measured by electromyography (EMG) signal of gastrocnemius firing and the respiratory cycle was measured by a thermometer. We found that the ratio between the locomotor and the respiratory rhythm existed and 2:1 ratio between the locomotor-respiratory coupling was dominant at 2 METs and 3 METs.

  • PDF

Knockdown of HMGN5 Expression by RNA Interference Induces Cell Cycle Arrest in Human Lung Cancer Cells

  • Chen, Peng;Wang, Xiu-Li;Ma, Zhong-Sen;Xu, Zhong;Jia, Bo;Ren, Jin;Hu, Yu-Xin;Zhang, Qing-Hua;Ma, Tian-Gang;Yan, Bing-Di;Yan, Qing-Zhu;Li, Yan-Lei;Li, Zhen;Yu, Jin-Yan;Gao, Rong;Fan, Na;Li, Bo;Yang, Jun-L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223-3228
    • /
    • 2012
  • HMGN5 is a typical member of the HMGN (high mobility group nucleosome-binding protein) family which may function as a nucleosomal binding and transcriptional activating protein. Overexpression of HMGN5 has been observed in several human tumors but its role in tumorigenesis has not been fully clarified. To investigate its significance for human lung cancer progression, we successfully constructed a shRNA expression lentiviral vector in which sense and antisense sequences targeting the human HMGN5 were linked with a 9-nucleotide loop. Inhibitory effects of siRNA on endogenous HMGN5 gene expression and protein synthesis were demonstrated via real-time RT-PCR and western blotting. We found HMGN5 silencing to significantly inhibit A549 and H1299 cell proliferation assessed by MTT, BrdU incorporation and colony formation assays. Furthermore,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that specific knockdown of HMGN5 slowed down the cell cycle at the G0/G1 phase and decreased the populations of A549 and H1299 cells at the S and G2/M phas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HMGN5 is directly involved in regulation cell proliferation in A549 and H1299 cells by influencing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cell cycle progression. Thus, our finding suggests that targeting HMGN5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human lung cancer treatment.

개인고유의 호흡주기를 적용한 휴대형 호흡 연습장치 개발 및 유용성 평가 (Development and usability evaluation of portable respiration training device which is applied to personal respiration cycle)

  • 박문규;이동한;조유라;황선붕;박승우;이동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33-83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RGRT)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인 호흡의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호흡연습장치(respiratory training system)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호흡연습장치는 개인고유의 호흡주기를 적용하여 환자에게 편안한 호흡유도를 제공한다. 충분한 연습시간을 부여하기 위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간편하게 연습 할 수 있도록 휴대형 기기에 모듈화 시켰으며, 이를 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호흡동조방사선치료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자 했다. 호흡연습장치를 사용했을 때 호흡의 규칙성, 안정성, 지속성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5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 하고자 한다. 개인이 자유롭게 호흡하는 '자유호흡(free breathing)' 개인고유 호흡주기를 적용하여 시청각 프로그램을 통해 호흡을 유도하는 '모니터호흡(guide breathing)' 호흡연습 후 시청각 프로그램 없이 호흡하는 '예측호흡(predict breathing)' 3가지 호흡법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호흡주기(period)와 호흡깊이(amplitude) 및 호흡패턴(Area)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휴대형 호흡연습장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Cell cycle-related kinase is a crucial regulator for ciliogenesis and Hedgehog signaling in embryonic mouse lung development

  • Lee, Hankyu;Ko, Hyuk Wan
    • BMB Reports
    • /
    • 제53권7호
    • /
    • pp.367-372
    • /
    • 2020
  • Cell cycle-related kinase (CCRK) has a conserved role in ciliogenesis, and Ccrk defects in mice lead to developmental defects, including exencephaly, preaxial polydactyly, skeletal abnormalities, retinal degeneration, and polycystic kidney. Here, we found that Ccrk is highly expressed in mouse trachea and bronchioles. Ccrk mutants exhibited pulmonary hypoplasia and abnormal branching morphogenesis in respiratory organ development. Furthermore, we demonstrated that Ccrk mutant lungs exhibit not only impaired branching morphogenesis but also a significant sacculation deficiency in alveoli associated with reduced epithelial progenitor cell proliferation. In pseudoglandular stages, Ccrk mutant lungs showed a downregulation of Hedgehog (Hh) signaling and defects in cilia morphology and frequency during progenitor-cell proliferation. Interestingly, we observed that activation of the Hh signaling pathway by small-molecule smoothened agonist (SAG) partially rescued bud morphology during branch bifurcation in explants from Ccrk mutant lungs. Therefore, CCRK properly regulates respiratory airway architecture in part through Hh-signal transduction and ciliogenesis.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 (Measurement of Respiratory Motion Signals for Respiratory Gating Radiation Therapy)

  • 정진범;정원균;김연래;이정우;서태석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
    • /
    • pp.59-63
    • /
    • 2005
  • 호흡 움직임은 종양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부정확한 방사선조사가 유도되도록 복부 및 흉부에서 움직임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치료시 이러한 움직임에 대한 정확한 계산은 정상조직에는 저 선량을 조사되도록 CTV의 마진을 줄일 수 있고 방사선치료에 발생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Intrafraction motion을 고려하는 기술로는 호흡 멈춤, 호흡동조, 4차원 또는 종양추적 기술이 있다. 호흡동조 방법은 환자의 호흡 신호가 호흡주기의 일정한 범위에 위치할 때 주기적으로 빔을 조사하고 그 범위를 벗어날 때는 빔을 조사하지 않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술은 내부장기 움직임과 상관관계가 있는 호흡 움직임 신호의 획득이 요구된다. 호흡동조 방사선치료를 위한 예비연구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수행하였다. 환자의 호흡 움직임 신호 측정을 위해서, 호흡측정시스템을 3 가지 센서, 4 채널 데이터 획득 시스템, 신호처리용 컴퓨터로 구성하였다. 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자들은 호흡측정시스템을 가지고 호흡주기 및 파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호흡주기는 시간의 함수에 따라 일반적으로 정확한 대칭 형태는 아니지만 주기적인 형태로 측정되었다. 호흡측정 시스템은 기대했던 만큼 환자의 호흡을 잘 추적하였으며 실험에 적용하기 위해 쉽게 컨트롤 할 수 있었다.

  • PDF

위상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과 진폭 기반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 영상에서의 위상차 평가 (Evaluation of difference in respiratory phase between amplitude- and phase-based four-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이소향;박수연;김종식;최병기;박희철;정상훈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3-78
    • /
    • 2015
  • 목 적 : 본 연구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 된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4DCT, 4-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재구성 하였을 때의 위상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02월부터 03월 까지 호흡동조 방사선 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 10명의 사차원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RPM respiratory gating (RPM 1.7.5, Varian, USA)장치를 이용하여 위상 기반 배열 방식의 호흡주기별 영상을 획득 하였으며, 획득된 호흡 주기별 영상은 치료계획시스템(Pinnacle 9.2, Philips, USA)을 이용하여 호흡주기별 복부의 움직임 값을 측정하였다. 최대 호기(50%)와 최대 흡기(0%)에서의 복부 움직임을 진폭으로 하여 10개 위상의 진폭 기반 호흡위상을 재구성하고, 이를 위상 기반 사차원영상촬영영상의 호흡 위상과 비교하였다. 결 과 : 위상 기반 및 진폭 기반 사차원단층촬영영상으로 재구성한 영상에서의 위상 차이는 최대 30% 호흡위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30% 호흡 위상에서 평균 0.13 cm (최대 0.24 cm)의 위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동일 측정 점 위치가 가지는 위상차는 30% 위상에서 평균 8.7%(최대 16.5%)의 위상차를 확인하였다. 전체 호흡 구간에서 평균 위치 차이는 0.4 cm, 평균 위상 차이는 13.0% 임을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는 위상 기반 방식으로 배열된 4DCT 영상을 진폭 기반 방식으로의 변환하였을 때 계산 값과 실측값을 분석한 결과 최대 16.5% 의 위상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PDF

Mammalian Mediator 19 Mediates H1299 Lung Adenocarcinoma Cell Clone Conformation, Growth, and Metastasis

  • Xu, Lu-Lu;Guo, Shu-Liang;Ma, Su-Ren;Luo, Yong-A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695-3700
    • /
    • 2012
  • Mammalian mediator (MED) is a multi-protein coactivator that has been identified by several research goups. The involvement of the MED complex subunit 19 (MED 19) in the metastasis of lung adenocarcinoma cell line (H1299), which expresses the MED 19 subunit, was here investigated. When MED 19 expression was decreased by RNA interference H1299 cells demonstrated reduced clone formation, arrest in the S phase of the cell cycle, and lowered metastatic capacity. Thus, MED 19 appears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biological behavior of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cells. These findings may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lung carcinoma treatments.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치료의 유용성 평가와 진폭모드를 이용한 환자적용 (Usefulness of Gated RapidArc Radiation Therapy Patient evaluation and applied with the Amplitude mode)

  • 김성기;임현실;김완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9-35
    • /
    • 2014
  • 목 적 : 본 연구는 이미 상용화가 시작된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Gated RapidArc) 이전의 자동화가 되지 않는 장비들에서 호흡 동조 방사선 치료(Gated radiation therapy)와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VMAT)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게 Gated RapidArc의 정확성을 분석하여 유용성을 평가하고, 진폭모드(Amplitude mode)를 이용하여 Gated RapidArc가 자동으로 되지 않는 장비에 환자를 적용하여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방사선량 분포의 분석은 물 등가물질 고체 팬톰과 GafChromic 필름(EBT2 QD+, USA)을 이용하였으며, Film QA (ver. 2.2, USA) 필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amma 인자(3%, 3 mm)를 분석하였다. 또한, 삼차원 선량 분포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Matrixx(IBA Dosimery, Germany) 선량 측정 장비와 Compass(IBA Dosimetry, Germany) 선량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고체 팬톰을 이용한 호흡 동조 주기 신호는 4D 팬톰(Dynamic Thorax Phantom, CIRS, USA)과 Varian RPM(Real-Time Position Monitor) 호흡 동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만들었으며, 자유호흡(free breathing)과 호흡정지(breath holding) 시에 따른 방사선량 분포를 각각에 대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2013년 2월부터 2013년 8월까지 간암환자 4명을 대상으로 4DCT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충분한 호흡주기 연습후에 환자의 호흡주기에 맞게 위상모드(Phase mode)를 이용하여 환자가 고글의 호흡주기 패턴을 눈으로 보고 정확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하면서 4DCT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Gated RapidArc 치료를 위하여 진폭모드(Amplitude mode)의 호흡주기를 만들어 3회 호흡을 시행한 후 40%~60%의 구간에서 5~6초 호흡을 참을 수 있도록 연습을 하고, 치료 시 40%~60%의 구간에서 환자가 숨을 참을 때 Beam On 버튼을 눌러주는 방식의 반자동으로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비 호흡 및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기법 간의 절대선량은 전산화 치료 계획을 이용한 계산값과 1% 이내의 차이를 보였으며, 치료 기법 간의 차이 또한 1%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Gamma 인자(3%, 3 mm)는 99% 이상의 일치함을 보였으며, 각 장기별 선량 차이는 대체로 95% 이상의 일치함을 보였다. 또한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를 위하여 만든 진폭모드(Amplitude mode)의 호흡주기와 실제 환자의 호흡주기가 잘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 론 : 비 호흡 동조와 호흡 동조 시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간의 절대 선량 및 방사선량의 분포가 매우 잘 일치함을 보였다. 이는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 기법을 이용하여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흉부나 복부의 종양 치료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실제 치료환자를 대상으로 고글을 통하여 진폭모드(Amplitude mode)의 호흡주기를 만들어 Gated RapidArc가 자동으로 되지 않는 장비에 치료를 적용한 결과, 5~6초정도 정지된 호흡에서 호흡 동조 체적 세기조절 회전 방사선 치료가 원활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