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iratory Pattern Chang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9초

호흡조절에 따른 위전도와 심박변이도 변화 연구 (The Study on the Change of EGG and HRV through Respiratory Control)

  • 하성룡;박영배;양동훈;박영재;김민용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7-166
    • /
    • 2007
  • Background: The change in the respiratory pattern has an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which in turn has an influence on the EGG to measure a gastric activity. However, the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EGG parameters by respiratory control an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RV and EGG through respiratory control has not been perform yet. Objective: It is to perform a series of experiments to find out how the EGG parameters are influenced by the controlled respiration and what correlation there may exist between the EGG and HRV to measure the change i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fter controlled respiration. Methods: 1st Experiment: During a 15minutes' voluntary respiration, HRV was measured, and it was measured again during another 15 minutes' controlled respiration. 2nd Experiment: After an eight hours' fast, EGG was measured for a period of 30 minutes, and then after another 15 minutes' voluntary respiration, a test-meal was offered for 10 minutes and again EGG was measured. The next day, after an 8 hour's fast, EGG was measured for 30 minutes, and after a 15 minutes' controlled respiration and offered with a test-meal for 10 minutes and then EGG was measured again for 30 minutes. Results: 1. It was observed in all the channels that the power ratio increased more after controlled respiration than after voluntary respiration. No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could be observed. 2. Through controlled respiration, the HF of HRV and the power ratio of EGG Channel 4 was negatively correlated, while the LF/HF of HRV and the power ratio of EGG channel 1 & 4 was positive correlated. Such correlations as mentioned above, however, could not be observed in HRV & EGG through voluntary respiration. Conclusions: 1. It was concluded that the increase in the power of gastric contractile after controlled respiration is bigger than the increase in the power of gastric contractile after voluntary respiration. 2. It was concluded that the gastric contractile power and sympathetic activity through controlled respi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hile the gastric contractile power and parasympathetic activity through controlled respi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 PDF

영상 정합 및 통계학적 패턴 분류를 이용한 호흡률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Respiratory Rate Using Image Alignment and Statistical Pattern Classification)

  • 문수진;이의철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63-70
    • /
    • 2018
  • 영상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생명 유지를 위한 호흡 신호 측정기술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 기술은 사람의 몸에서 방출하는 열을 측정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호흡 신호를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간으로 사람의 흉부 움직임을 분석하여 호흡률을 측정하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하지만, 적외선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 처리를 하는 것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인해 호흡 기관의 탐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호흡률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들이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 기관의 영역 탐색을 강화하기 위해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였다. 그리고 두 영상을 기반으로 얼굴 인식, 영상 정합 등의 과정을 통해 호흡 기관 영역의 특징을 추출한다. 추출한 특징 값을 통계학적 분류 방법 중 하나인 k-최근접 이웃 분류기를 통해 호흡 신호의 패턴을 분류한다. 분류한 패턴의 특성에 따라 호흡률을 계산하며, 측정한 호흡률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호흡률과 비교 과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호흡률 측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mpact of the Respiratory Motion and Longitudinal Profile on Helical Tomotherapy

  • Park, So Hyun;Choi, Jinhyun;Kim, JinSung;Ahn, Sohyun;Kim, Min Joo;Lee, Ho;Choi, Seo Hee;Park, Kwangwoo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18
  • The $TomoTherapy^{(R)}$ beam-delivery method creates helical beam-junctioning patterns in the dose distribution within the target. In addition, the dose discrepancy results in the particular region where the resonance by pattern of dose delivery occurs ow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and shape of internal organs with a patient's respiration during long treatment tim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dose pattern of the longitudinal profile with the change in respiration. The superior-inferior motion signal of the programmable respiratory motion phantom was obtained using AbChes as a four-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4DCT) original moving signal. We delineated virtual targets in the phantom and planned to deliver the prescription dose of 300 cGy using field widths of 1.0 cm, 2.5 cm, and 5.0 cm. An original moving signal was fitted to reflecting the beam delivery time of the $TomoTherapy^{(R)}$. The EBT3 film was inserted into the phantom movement cassette, and static, without the movement and with the original movement, was measured with signal changes of 2.0 s, 4.0 s, and 5.0 s periods, and 2.0 mm and 4.0 mm amplitudes. It was found that a dose fluctuation within ${\pm}4.0%$ occurred in all longitudinal profiles. Compared with the original movement, the region of the gamma index above 1 partially appeared within the target and the border of the target when the period and amplitude were changed. Gamma passing rates were 95.00% or more. However, cases for a 5.0 s period and 4.0 mm amplitude at a field width of 2.5 cm and for 2.0 s and 5.0 s periods at a field width of 5.0 cm have gamma passing rates of 92.73%, 90.31%, 90.31%, and 93.60%. $TomoTherapy^{(R)}$ shows a small difference in d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period and amplitude of respiration. Therefore, to treat a variable respiratory motion region, a margin reflecting the degree of change of respiration signal is required.

방사선 치료 환자의 자세 및 Device에 따른 RPM 신호 분석을 통한 호흡 안정성의 통계적 고찰 (Statistical Study on Respiratory Stability Through RPM Signal Analysis according to Patient Position Under Radiation Therapy and Device)

  • 박명환;서정민;최병기;신은혁;송기원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3-90
    • /
    • 2011
  • 목 적: 일정한 호흡주기의 유지가 필요한 방사선치료에서 치료 자세와 device의 사용에 따른 호흡주기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경향과 device의 유용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피험자 11명을 대상으로 바로 누운 자세와 엎드린 자세에서 각 20분씩 호흡주기를 유지한 호흡신호를 획득 및 분석하였다. 엎드린 자세에서 호흡주기의 유지가 양호하지 못한 7명에게 belly board를 사용한 후 호흡신호를 획득하여 device의 사용전후의 호흡변화와 안정성을 분석하였다(통계 분석에는 PASW 18.0을 이용). 결 과: 피험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자세에 따른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은 바로 누운 자세 54.5%, 엎드린 자세 36.4%로 나타났다. Belly board를 사용한 7명 중 4명은 호흡주기유지 안정성이 유의하게 양호한 변화를 보였으며, 허리치수에 따라 바로 누운 자세에서 처음 10분간의 호흡주기유지에는 유의한 차이(P=0.022, Fisher's Exact Test)를 보였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호흡의 안정성은 7명(63%)이 엎드린 자세보다 바로 누운 자세에서 보다 안정적이었다. 결 론: 흉부 및 복부 심지어 골반의 방사선치료에서도 호흡에 의한 환자의 움직임은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와 같이 호흡신호의 통계적 분석과 이의 적용을 통해 호흡유지에 최적의 자세, belly board와 같은 device 사용여부를 결정하면 호흡주기의 유지 및 호흡의 안정도 유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호흡패턴에 따른 성인의 심박수 동태 해석 (The Serial Change Analysis of Heart Rate According to Expiration-to-inspiration Time Ratio in Adults)

  • 박영배;한경숙;남동현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5-120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xpiration-to-inspiration time ratio (E/I-ratio) on heart rate, which represents cardiac autonomic function, and cold-heat in the healthy people. Methods : 49 healthy young volunteers(male : female = 32 : 17) were recrui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for yin-yang pattern identification and then we measured the chest plethysmogram for respiration signal and the electrocardiogram for NN intervals during different E/I-ratio from 1 to 2. We compared heart rate variability including RMS-SD, VLF, LF and HF, and the trend-cycle factors decomposed from NN interval data by time series analysis among the respective E/I-ratio. We also confirmed the difference on the trend-cycle factors according to the score of the questionnaire for cold and heat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 There were differences on the trend-cycle factors from NN interval data,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the respective E/I-ratio. We also found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rend-cycle factors and the heat pattern identification scores.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cardiac autonomic function can be modulated by the E/I-ratio and the modulation will be slower and more tendencious than respiratory sinus arrhythmia.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를 중심으로 2017-2019년 소아청소년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의 역학 및 특성: 경기 북서부지역 단일기관의 후향적 연구 (Epidemiology and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Respiratory Virus Infection From 2017 to 2019 Focusing on Human Coronavirus: A Retrospective Study of a Single Center in Northwestern Gyeonggi-do)

  • 박형석;조경원;정유진;김종민;송준혁;김광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0권2호
    • /
    • pp.62-72
    • /
    • 2023
  • 목적: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발생 이후 인간 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한 호흡기 바이러스의 패턴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COVID-19 발생 이전 경기도 명지병원에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감염의 패턴을 보고하였다.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명지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고찰하였다. 결과: 총 3,557명 중에서 중복감염 포함하여 3,686건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고 평균 양성률은 78.6%이었으며 여름에 비해 겨울에 PCR 양성률이 높았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메타뉴모바이러스, 보카바이러스는 4-6월에 주로 검출되고, 인간엔테로바이러스는 7-9월에,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겨울철에 주로 검출되었다. 진단별로 인두편도염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가 가장 많았고 폐렴에서는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인간 코로나 바이러스는 겨울철에 주로 검출되었으며, 크루프 환자 중에서 3번째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이전에 보고되었던 소아청소년의 호흡기 바이러스 역학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또한 COVID-19 발생 이후 호흡기 바이러스 패턴 비교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COVID-19 발생 이전 호흡기 바이러스 역학정보를 보고하는 바이다.

폐암의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 (4-Dimensional dose evaluation using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in 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for lung cancer)

  • 엄기천;유순미;윤인하;백금문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30권1_2호
    • /
    • pp.83-95
    • /
    • 2018
  • 목 적 : 폐암의 호흡동조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ed Radiotherapy, RGRT)계획수립 후 표적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정상장기의 경우에는 움직임과 용적변화가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량평가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형방사선치료(Adaptive Radiotherapy, ART)에서 많이 사용되는 변형영상정합(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IR)을 이용하여 호흡동조방사선치료 시 특정 위상에서의 정상장기의 움직임을 반영한 4차원-선량평가를 진행하였으며, 3차원 선량평가와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또한, 폐암의 치료계획평가 시 환자 호흡에 따른 정상장기의 움직임과 용적변화에 대한 분석 및 고려가 필요한 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호흡동조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Eclipse(Ver 13.6 Varian, USA)로 최고 위상 CT영상에 그려진 구조물을 모든 위상영상에 Propagation($Eclipse^{TM}$)이나 Segmentation Wizard($Eclipse^{TM}$)의 메뉴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 Center-to-Center 방식으로 구조물의 움직임 및 용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4차원 선량평가를 위해 VELOCITY 프로그램(VELOCITY Ver 4.0, Varian, USA)을 이용하여 각 위상의 영상과 선량분포를 최고 위상 CT영상에 변형하였으며, 선량을 합산하여 정상장기의 4차원 선량평가를 실시하고, 3차원 선량평가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또한, 4차원 선량분포의 검증을 위해 $QUASAR^{TM}$ Phantom(Modus Medical Devices)과 $GAFCHROMIC^{TM}$ EBT3 Film(Ashland, USA)을 사용하여 4차원 감마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들숨과 날숨 구간의 움직임은 우측 폐가 축 방향 $0.989{\pm}0.34cm$로 가장 컸으며, 척수가 측 방향 -0.001 cm로 가장 작았다. 30~70 % 구간의 움직임은 식도가 축 방향 $0.52{\pm}0.21cm$로 가장 컸으며, 척수가 전후방향 $0.013{\pm}0.01cm$로 가장 작았다. 용적은 우측 폐가 33.5 %로 가장 큰 변화율을 보였다. 3차원 선량평가와 4차원 선량평가에서의 PTV 선량균질지수(Conformity Index, CI) 값과 처방선량지수(Homogeneity Index, HI) 값의 차이는 각각 최대 0.076, 0.021, 최소 0.011, 0.0으로 평가되었다. 정상장기의 경우 4차원 선량평가에서 0.0045~2.76 % 차이를 보였다. 모든 환자의 4차원 감마통과율은 평균 $98.1{\pm}0.42%$로 확인되었고, 모두 기준 95 %를 통과하였다. 결 론 : 모든 환자의 PTV 선량균질지수 값은 4차원 선량평가 시 더 유의한 값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처방 선량지수는 두 선량평가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호흡에 의한 움직임이 고려된 4차원 선량분포에서 PTV 경계부분이 채워져 3차원 선량분포에서보다 선량이 더욱 균질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장기의 4차원 선량평가에서 0.004~2.76 % 차이가 있었으며, 척수를 제외한 모든 정상장기에서 두 평가방법의 차이유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상장기의 3차원 선량평가 시 과소평가가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호흡에 의한 정상장기의 선량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변형영상정합을 이용한 4차원 선량평가는 환자의 호흡에 의한 정상장기의 움직임과 용적 변화를 반영하는 조금 더 현실적인 선량평가방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PDF

예측 불가능한 호흡 변화에 따른 사이버나이프 종양 추적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 분석 (An accuracy analysis of Cyberknife tumor tracking radiotherapy according to unpredictable change of respiration)

  • 서정민;이창열;허현도;김완선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66
    • /
    • 2015
  • 목 적 : 사이버나이프 종양 추적 시스템(Cyber-knife tumor tracking system)은 환자 외부에 부착한 LED marker에서 얻어진 실시간 호흡 주기 신호와 호흡에 따라 움직이는 종양의 위치와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종양의 위치를 미리 예측하고 종양의 움직임을 치료기와 동기화 (Synchronize) 시켜 실시간으로 종양을 추적하며 치료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나이프 종양 추적 방사선 치료 중 기침이나 수면 등으로 인해 예측 불가능한 갑작스러운 호흡 형태 변화에 따른 종양 추적 방사선 치료 시스템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연구에 사용된 호흡 Log 파일은 본원에서 호흡 동조 방사선치료(Respiratory gating radiotherapy)나 사이버나이프 호흡 추적 방사선수술(Cyber-knife tracking radiosurgery)을 받았던 환자의 호흡 Log 파일을 바탕으로, 정현곡선 형태(Sinusoidal pattern)와 갑작스런 변화 형태(Sudden change pattern)의 Log 파일을 이용하여 측정이 가능하도록 재구성하였다. 재구성 된 호흡 Log 파일을 사이버나이프 동적 흉부 팬텀에 입력하여 호흡에 따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도록 기존 동적 흉부 팬텀의 구동장치를 추가 제작하였고, 호흡의 형태를 팬텀에 적용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팬텀 내부 표적(Ball cube target)의 움직임은 호흡의 크기에 따라 상하(Superior-Inferior)방향으로 5 mm, 10 mm, 20 mm 3가지 크기의 변위로 구동하게 하였다. 팬텀 내부 표적에 EBT3 필름 2장을 교차 삽입하여 표적 움직임의 변화에 따라 사이버나이프 제조사에서 제공된 End-to-End(E2E) test를 호흡의 형태에 따라 각각 5회씩 실시하고 측정하였다. 종양 추적 시스템의 정확도는 삽입된 필름을 분석하여 표적 오차(Targeting error)로 나타내었고, 추가로 E2E test가 진행되는 동안 상관관계 오차(Correlation error)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표적 오차는 정현곡선 호흡 형태일 경우 표적 움직임의 크기가 5 mm, 10 mm, 20 mm 에 따라 각각 평균 $1.14{\pm}0.13mm$, $1.05{\pm}0.20mm$, $2.37{\pm}0.17mm$이고, 갑작스런 호흡 변화 형태일 경우 각각 평균 $1.87{\pm}0.19mm$, $2.15{\pm}0.21mm$, $2.44{\pm}0.26mm$으로 분석되었다. 표적 추적에 있어 변위 벡터의 길이로 정의할 수 있는 상관관계 오차는 정현곡선 호흡 형태일 경우 표적 움직임의 크기가 5 mm, 10 mm, 20 mm 에 따라 각각 평균 $0.84{\pm}0.01mm$, $0.70{\pm}0.13mm$, $1.63{\pm}0.10mm$이고, 갑작스런 호흡 변화 형태일 경우 각각 평균 $0.97{\pm}0.06mm$, $1.44{\pm}0.11mm$, $1.98{\pm}0.10mm$으로 분석되었다. 두 호흡 형태에서 모두 상관관계 오차 값이 클수록 표적 오차 값이 크게 나타났다. 정현곡선 호흡 형태의 표적 움직임 크기가 20 mm 이상일 경우, 두 오차 값 모두 사이버나이프 제조사의 권고치인 1.5 mm 이상으로 측정되었다. 결 론 : 표적 움직임의 크기가 클수록 표적 오차 값과 상관관계 오차 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정현곡선 호흡 형태보다 갑작스런 호흡 변화 형태에서 오차 값이 크게 나타났다. 호흡의 형태가 규칙적인 정현 곡선 형태더라도 표적의 움직임이 클수록 종양 추적 시스템의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이버나이프 종양 추적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치료 시행 시 환자의 기침 등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예측 불가능한 호흡 변화가 있는 경우 치료를 멈추고 내부 표적 확인 과정을 재실시 하여야 하며 호흡 형태를 재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치료 중 환자가 본인의 호흡 형태를 관찰 할 수 있는 고글 모니터 등을 착용하여 규칙적인 호흡 형태를 유도하는 것이 치료의 정확도는 향상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 (The Change of Peripheral Eosinophil Count after Bronchial Provocation with Inhaled Histamine in Bronchial Asthmatics)

  • 김치홍;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5호
    • /
    • pp.386-391
    • /
    • 1992
  • 연구배경 : 최근 알레르겐 흡입을 이용한 기관지유발 검사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이는 기도 조직내로의 호산구 유입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히스타민나 에타콜린 흡입과 같은 비특이적 자극에 의한 기관지유발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불충분하다. 이에 대해 저자들은 예비적으로 몇몇 천식 환자들을 대상으로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기도수축이 일어날때까지 말초혈액 호산구수를 단계적으로 측정해본 결과, 호산구수가 점차로 증가하는 환자군과 반대로 감소하는 환자군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저자들의 이러한 예비연구 결과를 재검토하고, 히스타민 기관지유발 검사중에 나타난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가 검사후에는 어떤 경과를 밟게 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16명의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히스타민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함과 동시에, 검사전 및 검사후 노력성 1초 호기량($FEV_1$)이 기저치의 20% 이상 감소할때까지는 5분간격으로, 그다음에는 1시간, 2시간, 4시간, 8시간 및 48시간후에 각각 말초혈액 호산구수홀 측정하여 그 변화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중의 말초혈액 호산구수 변화를 기준으로 관찰하였을때, 11명(group I)은 기도수축 직전에 기저치보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나머지 5명(group II)은 기도수축 직전에 기저치보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2) Group I에 속한 환자들은 모두 기도수축 후에도 계속 호산구수가 기저치보다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3) Group II에 속한 환자들은 대부분 기도수축 후에도 계속 호산구수가 기저치보다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4) Group I과 group II간의 말초혈액 호산구수 기저치, $FEV_1$ 기저치, 히스타민 유발농도 및 혈청 IgE 양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히스타민 기관지유발검사후 나타나는 말초혈액 호산구수의 변화는 알레르겐 기관지유발검사시와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며, 환자에 따라 계속 증가 혹은 감소되는 나름대로의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조기 천식반응에도 호산구가 어느정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한국인의 사망구조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hanges of Korean Mortality Pattern, 1930~1980)

  • 유임숙;김초강;공세권
    • 한국인구학
    • /
    • 제9권2호
    • /
    • pp.79-92
    • /
    • 1986
  • Death is one of the population movement phenomena used as an important health index in most society. Especially it is regarded as group phenomenon in a specific group rather than individual one and considered important in public health field because the level and cause of death is related to health of public. The auther examined the changes of the Korean mortality pattern to evaluate the status of the Korean public health by studying mortality indicator using the population census and other materials from 1930 to 19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rude death rate was reduced to one third in 1980 compared to that in 1930, but the crude birth rate was constant from 1930 to 1960 causing the increase of population. So the population pattern is changing from the classic pyramic shape to bell shape and the dependency ratio was reduced from 78 in 1930 to 61 in 1980. Second, the infant mortality rate decrease rapidly. In 1980 it was one seventh of that in 1930 which was proved by the change of the age-specific death rate curve from U to J shape. Third, the male mortality reduction after the age of forty was much less than that of female, which explained the specific death pattern of high mortality in Korean middle and oldaged males. Fourth, the main cause of death was changed from infectious, parasitic, respiratory and digestive system disease to circulatory of tumorous disease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Korean health problem is now changing from the infant infection to geriatric chronic regressive disease. That naturally the direction of health service should be turned from the infant stage maternal and child health to the health problems of old peop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