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ourcefulnes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Finding factors for resilience using a strength-based approach: Refugees and asylum seekers coping with life adversities

  • Yoon, Myeongsook;Fisseha, Israe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45-155
    • /
    • 2019
  • The strength or resilience of refugees is a less emphasized area as the discourse in refugee mental health study mainly weighs on pathologizing the effects of refugee experiences. Within the lenses of strength and resilience, this study explored how refugees and asylum seekers, who experienced violence and loss, coped with trauma and hardship in their newly established live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00 participants (55 asylum seekers and 45 refugees) through open-ended questions. We analyzed narratives for both content and form and provided evidence for factors that reflect coping strategies used by participants to overcome their life adversities. The findings gave rise to; (a) character traits like strong religiosity, personal determination, patience to forbear, hopefulness, and peaceful acceptance of current circumstance; (b) relationships, in the sense of meaningful strong bonds within family members and the instinctive personal resourcefulness to utilize support resources within and outside of their communities; (c) learned skills after migraing to korea; (d) knowledge sets in how to get by in korea; (e) personal talents, and (f) extra abilities that gave power to pass socio-economic difficultie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strength-based approach either in discussing resilience or intervention. Our approach will allow practitioners to acknowledge that refugees and asylum seekers potentially have a unique set of strengths and abilities that they rely on to overcome their immediate and future problems. It will also guide practitioners as they devise their intervention schemes.

가뭄재난 복원력 평가 인자의 지자체 별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reginal drought resilience evaluation factors)

  • 문기훈;온병헌;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3-293
    • /
    • 2022
  • 가뭄은 시간적 지속성이 타 재난에 비해 길고 공간적 피해의 범위와 편차가 크다는 점에서 지역적 특성과 가뭄대응역량에 맞는 적절한 대응과 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 있는 지역적 가뭄복원력평가 방법론을 기준으로, 가뭄복원력 평가 인자의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뭄복원력평가 인자는 4Rs (Robustness, Redundancy, Resourcefulness, Rapidity)을 기준으로 총 18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18개 지표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활용되는 세부자료는 정량자료 19개와 담당자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되는 정성자료 8개를 포함하여 총 28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자체의 복원력 평가 결과 기준, 등급별 1-2개 지자체를 민감도 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고, 19개 정량자료 각각의 비율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결과의 변동성을 정량화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19개 정량자료 중, 연관성 및 계층적 관계성이 존재하는 주요 자료 그룹을 구분하고, 대상 자료의 동시적, 연쇄적 변화에 따른 복원력 평가 결과의 영향도를 정성,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가뭄 복원력에 기여하는 인자의 변화에 따라 가뭄 복원력의 증감 정도가 지자체 별도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출된 민감도 분석 결과는 지자체의 현재 가뭄대응역량지표를 기준으로, 가뭄 복원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율적 대책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역혈류성 전외측대퇴섬피판을 이용한 무릎 잘린끝의 재건 (Reconstruction of Disarticulated Knee Stump by Using Distally Based Anterolateral Thigh Island Flap)

  • 김형진;변재경;범진식;김양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485-489
    • /
    • 2007
  • Purpose: The basic vascular anatomy and versatility of the anterolateral thigh flap was reported firstly by Song in 1984 and then by Zhang who introduced the reverse flow pattern of this flap. In this case, the authors reviewed various articles and their experiences with the distally based anterolateral thigh flap and applied it for coverage of bone-exposed wound occurred at the distal of the disarticulated knee stump. We consequently reported the reliability and resourcefulness of this flap in the difficult and limited situation. Methods: A 67-year-old-man who had suffered from arteriosclerotic obliterans inevitably underwent the disarticulation at knee joint due to clinical deterioration. He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soft tissue necrosis and bone exposure at the stump. We debrided the wound and conducted the distally based anterolateral thigh island flap by transecting proximal portion of descending branch of the lateral circumflex femoral artery and the $14{\times}10cm$ sized flap was transferred to cover the defect. The pedicle measured 14 cm in length with pivot point 7 cm above the patella. Result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mainly uneventful except early venous congestion for 4 days and subsequent partial skin loss. The wound was healed by secondary intension and no other sequelae had been observed during follow-up period of 12 months. Conclusion: Despite the presence of various reconstructive choices, the distally based anterolateral thigh island flap can be designed to repair soft tissue defects around the knee region, providing its reliable blood supply and long pedicle length, especially in the challenging cases.

기업의 지식경영활동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 회복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n Financial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nterprise-level Resilience)

  • 강연실;조부연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139-154
    • /
    • 2021
  • 기업 경영에 있어 환경적 위험이 증대되면서, 외부 충격 이후에 빠르게 일상 운영수준으로 복귀하는 능력인 회복역량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회복역량에 대한 개념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회복역량의 하위 구성개념을 강건성, 대체성, 자원동원성 및 신속성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지식경영활동을 제시하였다. 회복역량을 매개변인으로 고려하면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지식경영활동, 회복역량 및 성과로 이어지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기업 대상 설문을 설계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지식경영활동 외에 개별 기업의 회복역량을 높일 수 있는 독립변수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가 필요함과 성과에 대한 세분화된 검증이 필요함을 향후 연구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대구 게임산업의 경영위기와 회복력에 대한 분석 (Analysing Management Crises and Resilience of the Game Industry in Daegu)

  • 전지혜;이철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3-329
    • /
    • 2021
  • 본 연구는 대구 게임산업을 대상으로 그 기업들의 자체 평가에 기초하여 경영위기 특성과 회복력 수준 그리고 그 대안을 분석하였다. 1990년대 말 자생적으로 태동한 대구 게임산업은 정부와 지원기관의 지원 하에 2000년대 후반까지 급격히 성장하였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모바일게임 시장의 포화상태 및 국내외 치열한 경쟁 상황에 대응하지 못한 기업이 속출하면서 침체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에 대해 일부 게임업체들은 제품 차별성 추구와 새로운 판로 개척을 위한 도전적 전략을 취함으로써 위기 상황을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계기로 만든 반면, 위기 대응에 소극적이었던 기업들은 경영위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또한 회복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구 게임업체들은 충격에 즉각적으로 대응(신속성)하고 타격받은 부분을 대체(대체성)하는 수준은 낮지만 내부적으로 충분한 자원을 동원(자원동원성)할 수 있는 수준은 높았다. 하지만 대구 게임산업이 과거에 비해 더욱 복잡한 다중 공간적 스케일의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회복력은 개별기업 차원의 노력을 넘어서 게임산업 생태계 측면에서 약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을 통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신앙, 부르심, 노인사역에 관한 제언 (A Qualitative Study on the Faith and Life of a Christian Senior with a Doctoral Degree: Suggestions for Faith, Calling, and Senior Ministry)

  • 유은희;김성원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2권
    • /
    • pp.117-146
    • /
    • 2022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 학문으로 부르심과 사명을 포함하는 삶의 경험, 그리고 그들의 지혜와 경험에 근거하여 제안하는 교회의 시니어 사역을 이해하고자 함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목적을 위해 65세 이상이며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전임 혹은 비전임으로 교수직을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기독교 신앙과 교회의 시니어 사역에 관한 경험을 잘 말해줄 수 있는 7명의 연구참여자를 면담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성숙한 신앙은 말과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하나님 경외의 모습과 죽음 이후의 영생을 소망하는 믿음이었다. 그들은 학문으로의 부르심과 기회를 은혜와 책임으로 받아들였고 은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역을 하고 있으며 평생 몸에 밴습관과 영원한 목표인 텔로스가 있었다. 노인을 위한 사역에 관하여 노인을 지혜와 삶이라는 자원을 가진 자로 인식하는 것과 상시로 긴박하게 진행되는 시니어 사역을 제안하였다. 후자와 관련하여 영혼을 깨우는 사역, 주중에도 지속되는 사역, 비대면·온라인 사역의 활성화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및 제언 : 영원한 목표와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일을 함으로 오는 충족감, 경건과 도덕성과 지성적 측면에서 정체되지 않고 달려갈 길을 온전히 마치려는 열정으로 채워진 삶이 연구참여자를 넘어선 모든 노인의 삶의 성격이 될 수 있도록 은퇴 이후 삶의 준비와 이를 위한 교회의 교육적 사역은 은퇴 이전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