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input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하구환경의 생태적 설계 (Ecological Design of Estuarine Environment)

  • 양홍모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7-181
    • /
    • 1995
  • An Ecocomplex is proposed for ecological design of the estuarine environment of Han River, which is designed upon an alternative mamagement concept of estuarine environment. The concept reveals interrelationships among estuary, delta region and urban inland with inputs/outputs and feedbacks among them. The Ecocomplex emphasizes an integ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with aquaculture, agriculture and recreation, and carries out ecological treatment, recycling, and harvest processes. A module of wastewater treatment pond system is employed in the Ecocomplex, which treats a flow of 3,786 ㎥/day and is composed of a four-facultative-pond series. Treatment ponds stabiliz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urban area, and concurrently produce algae for commercial or recreational fish farming. Effluent from treatment and fish ponds is reused for agricultural production. Through the waste-algae-fish-vegetable-recreation processes, wastewater from the urban settlement is recycled back to the urban ecosystem. This resource-conserving design approach can maintain a sustainable urban ecosystem, managing an estuarine environment more naturally, healthly, and economically.

  • PDF

인위적 기원 가돌리늄(gadolinium)의 해양 유입 연구 동향 및 향후 연구 방향 (Anthropogenic Gadolinium (Gd) Inputs into the Ocean: Review and Future Direction)

  • 김인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165-178
    • /
    • 2021
  • Gadolinium (Gd), one of a rare earth element (REE), has been widely used worldwide since the 1980s, as a resource material for contrast agents injected into examiner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est. The organic complexed form of Gd shows an extremely stable behavior in natural environment (water), so is known that the artificial Gd from medical uses is not removed from the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WTP) and eventually introduced into the ocean through the estuary. Since the 1990s, some previous studies have often been conducted on Gd anomalies in natural water and their effects an artificial origin from land or metropolitan areas, but little research has been potential impacts on the ocean water. In this paper, we review and introduce recent studies related to Gd anomaly in natural water and related marine effects, and also propose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Service Matters: Capital Misallocation and Sectoral Economic Growth

  • WOO JIN CHOI;WOO JIN ROH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5권1호
    • /
    • pp.1-32
    • /
    • 2023
  •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has been sluggish, and this situation is more pronounced in the service sector. We argue that capital misallocation, especially in the service sector, could contribute to this slowdown. Utilizing firm and sectoral level data, first we assess the rising dispersion of the marginal revenue product of capital (MRPK) driven by the service sector. This could represent a widening misallocation of capital. Furthermore, a panel regression shows that within-sector misallocations at the sectoral level a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lower growth rate of sectoral real value added. Again, this is mainly observed in the service sector, but not in the manufacturing sector. Misallocations of other resources, labor and the intermediate inputs do not stand out.

전력소비 최소화를 위한 새로운 펑션유닛의 자원 할당 알고리듬 (A New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of Functional Units to Minimize Power Dissipation)

  • 인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1-1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의 수가 많은 펑션유닛의 입력 데이터의 스위칭을 최소화하여 소비 전력을 줄인다. 따라서 회로전체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연산자가 소모하는 전력을 우선적으로 최소화하는 것은 전력 감소의 큰 효과를 가진다. 본 논문은 VLSI회로에서 전력소비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펑션유닛의 연산과정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최소화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펑션유닛에서 모든 연산은 전력소비 정보를 가진 전력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피연산자를 스케줄링한다. 전력 라이브러리는 펑션유닛의 모든 입력에 대해 각각의 컨트롤 스텝마다 입력 데이터의 정보를 갱신하고, 그 정보는 스케줄링 과정에서 사용되어진다. 따라서 모든 연산에서 최적화된 데이터를 펑션유닛의 입력으로 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상위 레벨 합성 과정에서 펑션유닛에 대한 최소의 전력소비를 위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최대 9.4%의 전력 감소효과가 있었다.

  • PDF

EMERGY 분석법에 의한 득량만의 환경용량 산정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Deukryang Bay by EMERGY Analysis)

  • 엄기혁;손지호;조은일;이석모;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29-636
    • /
    • 1996
  • 득량만의 양식업에 대한 EMERGY분석결과 연안해역에 대한 영속성 에너지원의 EMERGY 유입은 $54.60\times10^{18}sej/yr$, 비영속성 에너지원인 화석연료의 유입은 $1.50\times10^{18}sej/yr$ 그리고 재화와 용역에 의한 유입은 $13.55\times10^{18}sej/yr$이고,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이 전체 에너지원의 $78\%$를 차지하고 있어 환경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1차 산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Net EMERGY yield ratio는 4.63으로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음을 나타내고, EMERGY investment ratio는 0.28로 주 경제로부터 유입된 에너지의 약 3.6 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자연환경으로부터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4년 득량만의 환경용량은 영속성 에너지원에 근거하여 유입된 EMERGY량이 모두 현재의 EMERGY 생산비대로 생산이 된다면 득량만 전체에서는 어류; 1,140ton/yr, 갑각류; 110ton/yr, 패류; 1,553ton/yr, 해조류; 9,074ton/yr이며 1994년 생산량은 환경용량의 $80\%,\;92\%,\;80\%,\;84\%$를 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면적이 6,617ha(전체면적의 $17.67\%$)인 양식장만을 고려하여 유입된 EMERGY가 전부 패류의 생산에 이용된다면 패류양식장의 생산용량은 1,195ton/yr로 산출되었다.

  • PDF

토양수분 수지계산에 의한 옥수수 포장에서의 토양수분 이동 예측 (Predicting Water Movement in the Soil Profile of Corn Fields with a Computer-Based STELLA Program to Simulate Soil Water Balance)

  • 김원일;정구복;이종식;김진호;신중두;김건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2-229
    • /
    • 2005
  • 단순1차원 STELLA 모델이 토양수분 수지계산에 의해 일리노이 옥수수 포장의 질소용탈을 예측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옥수수포장이라는 한정된 생태계 안에서의 물의 연간 유입량과 유출량을 산정하는데 물의 유입에는 강우량과 유출에는 유거, 증발산 및 배수량이 계산되었다. 모델에는 일일강우량과 증산량 등 2개의 기상자료가 이용되었고, 토양의 다양한 전환상수들이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고려하여 일차식으로 계산되어 이용되었다. 모델의 결과는 토층에 따른 토양수분의 일일 변화량과 손실량이 산출된다. 모델에 의한 물 수지는 강우가 많았던 1993년은 늘어난 반면 강우가 적었던 1992년과 1994년에는 줄어들었다. 또한 유기물과 점토가 많은 토양에서 수분의 유출량이 적었다. 모델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은 표준편차를 고려한 측정치와 토양통에 따라 22-78%, 토층에 따라 30-70%의 일치를 보였고, 이러한 불일치는 토양수분과 질소화합물의 확산 등 수평적 이동, 다른 형태의 질소 손실, 뿌리의 분포, 영농 형태 및 토양의 여러 특성들이 고려되지 않은 1차원 모델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투입물거리함수(投入物巨利函數)를 이용한 한국(韓國) 무연탄(無煙炭)의 희소성지표(稀少性指標) 산정(算定) (Derivation of Scarcity Index for Korean Coal Using Input Distance Function)

  • 이명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3권1호
    • /
    • pp.33-47
    • /
    • 2004
  • 원(原)자원의 거래가격과 일치하는 무연탄에 대한 암묵가격은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의 가격통제로 인하여 희소성지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김동수 이명헌 (2002)은 비용함수의 추정이 수반되는 Halvorsen and Smith(1984)의 실증적 모형을 적용하여 무연탄의 연도별 암묵가격을 도출한 결과 1970~1996년 기간동안 평균 8.93%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이들 암묵가격이 희소성지표로서 신뢰성을 얻기 위해서는 투입 생산요소 특히 자본에 대한 정확한 가격산정이 먼저 전제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의 열악한 자료환경하에서 자본가격의 산출이 임기웅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면 이들 암묵가격으로 판단한 고갈속도는 실제 상황을 왜곡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출량과 요소 투입량에 대한 자료만으로 추정이 가능한 Shephard(1970)의 투입물거리함수를 활용하여 무연탄 암묵가격을 산출한 바, 동일기간을 대상으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2.89%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김동수 이명헌(2002)의 연구처럼 비용함수 추정방식으로 도출된 암묵가격에 의거하여 고갈속도를 판단할 경우 실제보다 약 3배 이상 빠르게 고갈되고 있는 것으로 잘못 인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기후변화 글로벌 경제모형의 구조 및 기술적 변화에 따른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Global Economic Models for Climate Change Policy: A Structural and Technological Analysis)

  • 홍종호;김창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419-45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정책 분석의 주요 연구 수단으로 사용되는 CGE 모형의 연산구조를 변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모형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연구 사례들을 중심으로 CGE 모형으로 대표되는 하향식 모형의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았고, 나아가 기준 모형인 EPPA 모형에 다른 모형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구조를 적용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분석 결과상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경제적 의미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장기에 있어서 상향식 및 복합모형의 저감 잠재량이 하향식보다 크게 나오는 일반적인 경향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IPCC 보고서 등의 잠정적인 결론과는 다른 내용으로서 보다 엄밀한 모형 구조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EPPA 모형을 대상으로 한 구조분석 결과 온실가스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에너지와 관련한 연산구조가 기준 배출량 및 저감률 계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에너지와 자본 간의 대체성 및 에너지 복합재 내부의 대체탄력성을 포함한다. 기술묶음 개념의 적용으로 사례연구 결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아밍턴재의 대체탄력성 변화는 총합에 있어서는 큰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술효율, 환경효율, 규모효율과 그 결정요인 분석 -한국농가의 소득계층을 중심으로- (Technical Efficiency, Scale Efficiency, Environmental Efficiency and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Factors)

  • 강상목;김태수;김태구;이동명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4권3호
    • /
    • pp.595-62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입물 효율함수를 이용하여 한국농가의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기술효율, 환경효율, 규모효율을 측정하고, Tobit 모형으로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모수적(nonparametric) 방법에 의존하여 재화의 가격이나 최적화 행동에 관한 가정없이 투입요소와 산출량에 의존하여 기술효율을 계측한다. 생산기술은 바람직한 재화와 바람직하지 못한 오염물의 결합생산을 모형화한다. 규모불변과 강처분 하에서 평균 기술효율 수준은 0.437 이었다. 기술비효율의 원인은 순수기술비효율이 47.7%, 규모비효율은 11.3%, 환경비효율 3.2%의 순이다. 규모체증 상태에서 생산농가는 전체농가의 70%를 점유하고 규모체감 상태에서 생산농기는 전체농가의 27%에 이른다. 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소득계층이 높을수록 중장기 부채가 높을수록 단위면적당 질소배출량이 높을수록 기술효율은 높았고, 경지면적당 농업경영비가 높을수록 기술효율은 저하되었다. 환경효율에서는 BOD 배출량, 단위면적당 기계도입, 자본의 생산성 유의적이고 음(-)으로 나타나, 청정기술이 아닌 단순한 기계화의 확대는 환경효율을 악화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한국 경제의 KLEM DB구축과 중첩 CES 생산함수 추정 (Constructing an Energy-extended KLEM DB and Estimating the Nested CES Production Functions for Korea)

  • 권오상;한미진;반경훈;윤지원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1호
    • /
    • pp.29-66
    • /
    • 2018
  • 본고는 에너지부문을 세분화 한 한국경제의 KELM DB를 구축하고, 다양한 중첩(nesting) 구조 하에서의 CES 생산함수를 추정하여 투입요소 간 대체탄력성을 구한다. KLEM DB는 투입요소가 자본, 노동, 에너지, 중간투입재로 구성되는 산업별 수량지수 및 가격지수로서, 이 중 에너지투입은 전력, 가스, 석유, 석탄으로 세분화하여 에너지 투입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구축된 KLEM DB를 바탕으로 CES 생산함수의 중첩구조별로 투입요소 간 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고, 대체탄력성 추정치를 사용하는 CGE 모형의 관례대로 중간투입재와 여타 투입요소 간의 Leontief 결합을 가정하는 경우와 이 가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두에 있어 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본고가 제시하는 탄력성 추정치는 산업별 생산기술 구조와 생산성 분석뿐 아니라 기후정책의 효과분석, 일반균형모형의 구축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