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Collaboration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7초

주요 사례 분석을 통한 한·중·일 공동어업관리 방향 (Korea-China-Japan Joint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through Case Study)

  • 이광남;서병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53-73
    • /
    • 2007
  • There exists historically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eries of the three countries of Northeast Asia in terms of the same fishing ground and similar resources. This means that if one of the countries fail to manage their fisheries properly, it will harm the others. Especially, if the EEZ straddling and Trans-Boundary Fish Stocks aren't managed by the cooperation of the three countries, the exhaustion of resources will be more likely to be accelerated. Considering the aspects mentioned, this paper refers to the necessity of fisheries cooper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Next, it analyzed the joint control cases of Norway/Russia Management of Shared Fish Stocks in the Barents Sea, Management of South Tasman Rise in Orange roughy, Agreement on Fisheries between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Kingdom of Norwa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ollack resources in the central Bering Sea, and drew a conclusion for ourselves. Last of all, it suggests a step-by-step strategy of promoting joint control between three countries, and the plan of the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organization of joint fisheries control. About the joint control, "The Joint Statement of promoting collaboration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has been announced at ASEAN in October 7th, 2003 and the summit talk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joint statement, the three countries came to an agreement which says, "Cooperation in Fishery Resource Conservation : The three countries will cooperate, bilaterally or trilaterally, to promote the sustainable use and conservation of fishery resource through the effective fishery management". Not only the consistent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is necessary, but also continuous exchange and related study on a Non-governmental level is also needed for the viable outcome in the near future. When deducting the result for the joint fisheries control, this writer hop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시장공사적협동책략화소비자태도(时装公司的协同策略和消费者态度) (Collaboration Strategies of Fashion Companies and Customer Attitudes)

  • Chun, Eun-Ha;Niehm, Linda S.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14
    • /
    • 2010
  • 协同策略需要信息共享和其他各种对公司和股东都有利益的形式. 本文强调了在时装产业中运用到的特别形式的协同. 并且测试了对时装公司最成功的策略和消费者所感知到的协同的好处. 在本研究中, 我们定义了作为协作方的时装公司和品牌以及他们的合作方或股东. 我们定义协同为发生在至少两个公司, 品牌或个体之间, 在平等的基础上利用他们各自的竞争优势从而获得更大利益的合作关系. 协同策略需要信息共享和其他各种对公司和股东都有利益的形式. 本文强调了在时装产业中运用到的特别形式的协同. 通过合作, 时装公司一直都追求有形的差异例如设计和技术, 以及无形的差异例如对消费者情感和生理的好处. 结果就是, 时装产业中的合作已变成一个重要的创造价值的概念. 本文是一个定性研究, 使用案例研究和深度访谈来测试消费者对时装产业中协作的态度. 从1998年到2008年12月, 在韩国和国际市场中共有173个协同案例. 我们通过文件数据收集案例. 这些文件数据包括网站和产业数据和顶级门户搜索网站. 例如Rankey.com, Naver, Daum, 和Nate. 以及时装信息代表网站Samsungdesignnet 和Firstviewkorea. 我们搜集从2008年11月到2009年2月为止的个案. 个案用来分析有一个或多个合作方的时装产品生产(不包括纺织产品), 零售时装产品或设计服务. 其他在先前研究中的协同案例来自于新闻稿件, 期刊, 互联网门户网站和时装信息网站. 我们共选择了173个案例来进行分析. 清楚的显示了时装公司和股东的协作执行和策略所带来的产出和利益. 结果显示对所有参与协作的合作方(企业和顾客)来说, 最大的好处是通过共享资源降低了成本和风险. 例如设计能力, 形象, 成本, 技术和目标. 并且创造了协同作用. 考虑到协同产出的种类, 产品/设计是最重要的(55%), 紧跟其后的是推广促销(21%), 价格(20%)和地点(4%). 这个结果说明协同对给予产品和设计生命力有重要的作用. 尤其是在追求创造和新颖的时装产业里. 为了使协同可以成功, 本研究中深度访谈的结果确认了时装公司应该对为什么要进行这个协作有清晰的目标. 在设定目标之后, 时装公司应该选择符合产品形象和目标市场的合作方. 使得合作的产品有一定的概念和差异因素. 同时时装公司还要关注提升品牌知名度. 通过对消费者的深度访谈, 相互的利益可以分类为6个因素: 追求个人风格、追求品牌、追求稀有性、追求时尚、追求经济效率和社会性. 在访谈中顾客同时也强调了形象, 声誉和品牌信任. 然而, 在子范畴中, 本研究中的专家和顾客在成功因素认知方面有不同的结果. 因此, 从不同纬度研究目标客户和目标市场从而为成功的协作发展合适的策略.

Client Collaboration for Power and Interference Reduction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 Nam, Hyungju;Jung, Minchae;Hwang, Kyuho;Choi, Sooyong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1권2호
    • /
    • pp.117-124
    • /
    • 2012
  • A client collaboration (CC) system is proposed for a user relay system. The proposed scheme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transmit power and leakage interference. In the proposed CC system, edge users transmit signals to the masters considered as user relays. The masters relay the signals of the edge users to the base station using the resource blocks (RBs) that are assigned to the edge users. The leakage interference and power consumption were analyzed in the CC system. In addition, an optimal master location problem was formulated based on the signal-to-leakage-plus-noise ratio (SLNR). Because the optimal master location problem is quite complex, a sub-optimal master location problem was proposed and a closed-form sub-optimal master location was obtained. The edge users generate smaller leakage interference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proposed CC system compared to the system without the CC.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edge users generate smaller leakage interference and power consumption in the proposed CC system compared to the system without the CC, and the average throughput increases.

  • PDF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탐색 (Network Analysis to Describe Service Link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 장숙랑;조성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1
    • /
    • 2012
  • Objectives: The nurse visiting health service named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CVHCP) requires the service innovations incorporating community support into a local service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mmunity network in CVHCP and inform improvement in this network. Methods: We us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in one CVHCP at H city. Network links were genera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by the 14 community resource centers who quantified their links to all other 25 agents on the list. Links were analyzed by a dichotomous scale for any experience of collaboration and a scored scale of 0 to 3 for level of collaboration using UCINET v6. Results: A list of 14 agents was generated, and local network was dominated by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a local welfare center named Unlimited Care Center(UCC). According to centrality score, UCC was the most prominent agent, and Public Health Center was the most influential agent, being a link in the pathway flow between other agents for 9.5% of contribution. CVHCP scored lower rank of prominent with 30.8% of other agents reported referring to it. Conclusions: Social network analysis provides a useful network description for informing and evaluation service network improvement in maximizing its service for the CVHCP.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 허혜정;이주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9-8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분산된 협업 환경을 통합하는 콘텐츠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확장 가능한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자원, 로컬 및 원격 콘텐츠 공유, 다중 사용자 상호작용 및 접근제어 특성들을 통합하여 결합된 하나의 모델을 제공한다. 다중 사용자의 상호 작용은 모든 사용자가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그로 인해 오버랩이 발생할 수 있다. 그 오버랩을 관리하기 위해 접근 제어를 모델에 적용했으나 작업 흐름의 방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사항을 중점으로 모델을 평가하기 위해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용자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콘텐츠 공유 모델은 상호작용과 그 흐름을 방해 하지 않아 작업에 집중할 수 있는 분산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협업 IT화 사업에 있어 협력업체 ERP 활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삼성전자 사례 (Determinants of ERP Usage in Suppliers of a Collaborative Informatization Project : A Samsung Electronics Case)

  • 박광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81
    • /
    • 2007
  • Government-driven informatization support projects for small and medium companies turn into collaborative information technology alliances between mother companies and their suppliers. These collaboration efforts are driven by a mother company that can influence and support its suppliers. A mother company establishes a proprietary evaluation system for suppliers' informatization level and enforces the suppliers to use their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s above a certain level. This paper presents a Samsung Electronics case to find determinant factors for ERP system usage level. This case study aims at providing long-term strategies for the collaboration project and helping the suppliers effectively pursue their informatization projects. Furthermore, the case study will reveal issues and tasks for the mother companies to accomplish sustainable success for their suppliers' informatization.

Foster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 Heitkemper, Margaret M.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4권1호
    • /
    • pp.35-40
    • /
    • 2007
  • Today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clinical research.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Nursing (UW-SON) Center for Women's Health and Gender Research (CWHGR) facilitated and sustained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CWHGR funded by National Institutes of Nursing Research has been an important resource for the UW-SON since its inception in 1989. The CWHGR encourages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ve research by providing small grant funds, mentoring faculty and pre- and postdoctoral fellows, providing consultation to researchers in other disciplines, and creating a model of biobehavioral and sociocultural research collaboration that facilitat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 brief overview of the UW-SON CWHGR is provided as well as identification of barriers to interdisciplinary research.

  • PDF

시각예술자원 통합검색 유형 분석 및 적용 방향성 정립: 국립현대미술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ingle Search Strategy for the Visual Arts Resources and Its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백지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1-131
    • /
    • 2013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시각예술자원을 소장 기관이나 관리 주체에 관계없이 통합적으로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합검색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그 실현을 위한 기반 논의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시각예술자원 관리 기관의 자원 관리 및 검색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국외의 관련 사례 분석을 통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 검색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국내 시각예술자원의 통합검색의 적용을 위해 필요한 환경적 측면과 메타데이터와 시스템적인 측면의 기반조성 및 적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가치 연구의 동향 분석 및 가치창출에 대한 자원 및 역량기반 연구체계 구축 (Analysis on value research trend and building the resource and competence based research framework for value creation)

  • 박창현;이희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923-1931
    • /
    • 2014
  • 시장에서 공급자와 고객의 가치창출은 학계와 산업계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 현상에 대한 체계화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저널 및 국내 저널을 포함한 기존의 문헌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및 귀납적 추리를 바탕으로 가치연구의 발전 동향을 시기별, 주제별로 정리하였고 공급자와 고객의 가치창출 현상의 연구를 위한 자원 및 역량 기반 연구체계를 구축하였다. 가치 연구의 연구동향에 대해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2004년 이전에는 크게 제품 및 서비스의 가치에 대한 연구와 고객과의 관계가치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었고 2004년 이후 각각은 서비스 지배적 논리 및 관계의 효용, 네트워크 및 공급자 체인상의 관계로 발전하였다. 자원과 역량 기반 관점에서 기존의 문헌들을 연구한 결과 4가지의 자원(재무적 자원, 지식 자원, 효율성 자원, 지적 재산 자원)과 4가지의 역량(관계 역량, 협력 역량, 혁신 역량, 관리 역량)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체계를 수립하였다.

스마트워크 후 조직 문화 변화 연구: 서비스 대기업 'H사' 사례 (Exploring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fter Firm-Wide Institutionalization of Smart Work: Case of a Service Company 'H')

  • 장민제;남은우;이정우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1호
    • /
    • pp.85-103
    • /
    • 2021
  • 최근 코로나 19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로 비즈니스 업무환경이 스마트워크로 급격하게 변하고 있다. 스마트워크는 기본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스마트워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문제가 중요할 뿐만 아니라, 스마트워크 도입이 미치는 조직문화에의 영향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레저 서비스 대기업인 H사에서 경영상 강조하고 있는 조직 문화의 일곱 가지 차원 -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공정한 인사관리, 합리적 의사결정, 조직 활력, 신뢰 협력, 리더십 - 에 있어서 스마트워크 전후로 어떤 변화가 있는지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조직 활력, 신뢰 협력의 네 가지 차원에서는 직원들의 평가가 통계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공정한 인사관리, 합리적 의사결정, 리더십의 측면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초기 단기적 현상일수도 있어 앞으로의 변화도 관찰할 필요가 있지만, 기업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유연한 업무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는데 있어서 직원들로 하여금 전략적 혁신성, 조직 유연성, 조직 활력, 신뢰 협력과 같이 경영상 중요한 조직 문화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대응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조직 활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조직구성원간 신뢰 소통과 협력은 감소하는 것은 굉장히 부정적 변화로서 적극적 관리가 필요하다. 이어진 인터뷰에서는 스마트워크 도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리더십의 역할이 중요하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에 따라 경영진 리더십의 역할이 더욱 강조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