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urce Block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protease enzyme supplementation in weanling pigs' diet with different crude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 Olivier, Munezero;In Ho, Ki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4권5호
    • /
    • pp.854-86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CP) diets supplemented with dietary proteas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of the weanling pigs. In a 5-week study, 100 crossbr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of weaner pigs that have an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 7.17±1.06 kg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with 5 replications and 5 pigs (3 gilts and 2 castrated male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Phase 1: CON: basal diets (20.60% CP); low protein (LP): CON - 0.30% CP; PLP1: (CON - 0.30% CP) + 0.05% protease; PLP2: (CON - 0.50% CP) + 0.05% protease. Phase 2: CON: basal diets (18.88% CP); LP: CON - 0.30% CP; PLP1: (CON - 0.30% CP) + 0.05% protease; PLP2: (CON - 0.50% CP) + 0.05% protease. The addition of protease to low CP die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eed conversion ratio (FCR) (p = 0.039), BW (p = 0.046), average daily gain (ADG) (p = 0.049),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tended to increase (p = 0.053) in the young pigs during phase 1. However, FCR tended to increase throughout the experiment but did not change during phase 2, whereas BW, ADG, and ADFI stayed unchanged throughout phase 2 and overa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y matter, nitrogen (N), and gross energy of nutrient digestibility in all phases and overall in weaned pigs with low CP when protease was fed. In contrast, adding protease to the low CP diets increased the tendency of N digestibility (p = 0.059) during phase 1. It is concluded that dietary protease supplementation tended to increase N retention during the first phase of the weaning period, hence increasing piglet performance.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of Weaned Pigs

  • Seo, J.;Kim, W.;Kim, J.;Kim, J.K.;Kim, S.C.;Jang, Y.;Jang, K.;Kim, K.;Kim, B.;Park, S.;Park, I.;Kim, M.K.;Seo, K.S.;Kim, H.B.;Kim, I.H.;Seo, S.;Song,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7호
    • /
    • pp.987-992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lm kernel expeller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of weaned pigs. A total of 88 weaned pigs ($6.94{\pm}0.76kg$ body weight [BW]; 28 d 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2 dietary treatments (4 pigs/pen; 11 replicates/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sex as a block). The dietary treatments were a typical nursery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CON) and CON added with 20% of palm kernel expellers (PKE). Pigs were fed for 6 wk using a 3-phase feeding program with declining diet complexity and with phases of 1, 2, and 3 wk, respectively. Blood was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2 pigs in each pen before weaning and on d 7 after weaning. Pigs were fed respective dietary treatments containing 0.2% chromic oxide from d 29 to 35 after weaning.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2 pigs in each pen daily for the last 3 days after the 4-d adjustment period. Measurements were growth performances,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energy, white and red blood cell counts, packed cell volume, and incidence of diarrhea. The PKE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ADG) (246 vs 215 g/d; p = 0.06)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470 vs 343 g/d; p<0.05) and decreased gain-to-feed ratio (G:F) (0.522 vs 0.628 g/g; p<0.05) during phase 2 compared with CON, but did not affect growth performance during phase 1 and 3. During overall experimental period, PKE increased ADG (383 vs 362 g/d; p = 0.05) and ADFI (549 vs 496 g/d; p<0.05) compared with CON, but did not affect G:F.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o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energy between CON and PKE. The PKE reduced frequency of diarrhea (15% vs 25%; p = 0.08) for the first 2 wk after weaning compared with CON. Similarly, PKE decreased white blood cells (8.19 vs $9.56{\times}10^3/{\mu}L$; p = 0.07), red blood cells (2.92 vs $3.25{\times}10^6/{\mu}L$; p = 0.09), and packed cell volume (11.1% vs 12.6%; p = 0.06) on d 7 after weaning compared with CON. In conclusion, addition of 20% palm kernel expellers to nursery diet based on corn and soybean meal had no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s of weaned pigs.

비육돈 사료내 Bacillus subtilis의 첨가가 성장, 면역세포 변화, 분내 암모니아태질소 함량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on Growth Performance, Immunological Cells Change, Fecal NH3-N Concentration and Carcas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조진호;진영걸;민병준;김해진;손경승;권오석;김진동;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37-946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Bacillus subtilis의 첨가에 의한 비육돈에 있어 성장능력, 면역세포 변화,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3원 교잡종(Landrace$\time$Yorkshire$\time$Duroc) 비육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89.5$\pm$ 0.11kg 이었고 42일간 실시하였다. 처리는 대조구, 대조구 사료에 Bacillus subtilis를 0.1% (BS0.1)과 0.2%(BS0.2) 첨가구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0-3주 동안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효율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험 4-6주 동안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섭취량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전 시험기간 동안 일당 증체량은 BS0.1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사료효율에서는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BS0.1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BS0.2 처리구가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otal protein, albumin, WBC 및 lymphocyte의 증가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혈구 수의 증가량은 전 처리구에서 BS0.2 처리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도살 후 육의 pH, 육즙손실, 근내지방도 및 경도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육색에서는 BS0.2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육색에서는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bacillus subtilis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였고 BS0.2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처리구별 A등급 출현율은BS0.2(60%), BS0.1(55%)와 CON(20%) 순으로 나타났으며 A 및 B 등급의 출현율은 BS0.1 (100%), BS0.2(100%), CON(7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bacillus subtilis의 첨가는 영양소 소화율의 향상, 적혈구 수의 증가, 육색 및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Copper-Sulfate와 Copper-Soy Proteinate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장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pper-Sulfate and Copper-Soy Proteinate on the Performance and Small Intestinal Microflora in Laying Hens)

  • 김찬호;강환구;방한태;김지혁;황보종;최희철;백인기;문홍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41-247
    • /
    • 2014
  • 본 실험은 Cu-sulfate와 Cu-soy proteinate(Cu-SP)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소장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35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1,0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5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Cu-Sulfate 50(Cu-sulfate로 Cu 50 ppm), Cu-sulfate 100(Cu-sulfate로 Cu 100 ppm), Cu-SP 50(Cu-soy proteinate로 Cu 50 ppm), Cu-SP 100(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총 5처리였다. 일계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은 구리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사료 섭취량은 처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요구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구리 첨가구들이 낮은 경향(P=0.08)을 보여 주었으며, 연파란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난각 강도는 구리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였다. 간 내 Cu 함량은 Cu-sulfate 100과 Cu-SP 100 첨가구가 대조구와 Cu-sulfate 50과 Cu-SP 50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1)으로 높았으며, Cl. perfringens는 구리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1)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인 Lactobacillus는 Cu-sulfate, Cu-SP 50 pp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Cu-sulfate, Cu-SP 100 ppm 첨가구와 비교하여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Cu-sulfate와 Cu-SP는 산란계 산란율 개선에 있어서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Copper Soy Proteinate(Cu-SP)와 Herbal Mixture(HBM)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pper Soy Proteinate (Cu-SP) and Herbal Mixture (HBM)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김찬호;강환구;방한태;김지혁;황보 종;최희철;백인기;문홍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3-329
    • /
    • 2014
  • 본 실험은 Cu-soy proteinate(Cu-SP)와 Herb-Mix(HBM)을 단독 또는 혼합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60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8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4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 당 5반복, 반복당 4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5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일조+조명=16 hr)를 실시하였다. 처리구들은 대조구, Cu-SP(Cu-so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 HBM(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15% 첨가구, Cu-SP+HBM(Cu-spy proteinate로 Cu 100 ppm 첨가구+HBM 0.15%) 첨가구는 총 4 처리구였다. 5주간의 사양 실험 결과, 일계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은 Cu-SP구와 HBM의 단독 급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사료 섭취량, 사료 요구율, 난중, 연파란율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 강도는 Cu-SP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난각 두께, 난각색, 난황색, Haugh unit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eukocyte 수치 중 백혈구 수치는 Cu-SP+HBM구가 HBM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스트레스 지수는 Cu-SP구가 대조구와 HBM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IgG 함량은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P<0.05) 유의적으로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Cu-SP와 HBM의 단독 또는 혼합급여는 둘 다 생산성을 증가시키며, 면역성상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ARMv8 환경에서 NIST LWC SPARKLE 효율적 구현 (Efficient Implementation of NIST LWC SPARKLE on 64-Bit ARMv8)

  • 신한범;김규상;이명훈;김인성;김선엽;권동근;김성겸;서석충;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3호
    • /
    • pp.401-41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NIST LWC 최종후보 중 하나인 SPARKLE을 64-비트 ARMv8 프로세서 상에서 최적화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두 가지로서 ARM A64 명령어를 이용한 구현과 NEON ASIMD 명령어를 이용한 구현이다. A64 기반 제안구현은 ARMv8 상에서 가용한 레지스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레지스터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최적화한다. 최적화된 A64 기반 제안구현을 활용할 경우 Raspberry Pi 4B에서 C언어 참조구현보다 1.69~1.81배 빠른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로, ASIMD 기반 제안구현은 하나의 벡터명령어를 통해 3개 이상의 ARX-box를 병렬적으로 수행하도록 데이터를 병렬적으로 구성하여 최적화한다. 최적화된 ASIMD 기반 제안구현은 A64 기반 제안구현보다 일반적인 속도는 떨어지지만, SPARKLE256에서 SPARKLE512로 블록 크기가 증가할 때 A64 기반 제안구현에서는 속도가 2.1배 느려지는 것에 비해 ASIMD 기반제안구현에서는1.2배밖에 느려지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SPARKLE보다 더 큰 블록 크기를 갖는 SPARKLE 변형 블록 암호 또는 순열 설계 시 ASIMD 기반 제안구현이 더 효율적이므로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 가능하다.

하둡 프레임워크 기반 분산시스템 내의 작은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의 설계 (The Design of Method for Efficient Processing of Small Files in the Distributed System based on Hadoop Framework)

  • 김승현;김영근;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15-1122
    • /
    • 2015
  • 하둡 프레임워크는 매우 큰 크기의 파일을 처리하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반면 작은 크기의 파일을 처리할 경우, 분산 시스템의 자원 낭비와 분석 성능 저하가 발생하며 이는 작은 파일의 개수가 많을수록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 문제는 파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발생하므로, 연관성 있는 작은 파일들의 병합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작은 파일 병합 방법들은 부차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병합 방법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 작은 파일들의 효율적 처리를 위한 병합 방법을 설계하였다.

Resource allocation in downlink SWIPT-based cooperative NOMA systems

  • Wang, Longqi;Xu, D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1호
    • /
    • pp.20-39
    • /
    • 2020
  • This paper considers a downlink multi-carrier cooperative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transmission, where no direct link exists between the far user and the base station (B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m only relies on the assist of the near user. Firstly, the BS sends a superimposed signal of the far and the near user to the near user, and then the near user adopts simultaneous wireless information and power transfer (SWIPT) to split the received superimposed signal into two portions for energy harvesting and information decoding respectively. Afterwards, the near user forwards the signal of the far user by utilizing the harvested energy. A minimum data is required to ensure the quality of service (QoS) of the far user. We jointly optimize power allocation, subcarrier allocation, time allocation, the power allocation (PA) coefficient and the power splitting (PS) ratio to maximize the number of data bits received at the near user under the energy causality constraint, the minimum data constraint and the transmission power constraint. The block-coordinate descent method and the Lagrange duality method are used to obtain a suboptimal solution of this optimization problem. In the final simulation result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NOMA scheme is confirmed compared with the benchmark NOMA schemes and the orthogonal multiple access (OMA) scheme.

MAP 기반 터보코드의 FPGA 설계 (FPGA Design of Turbo Code based on MAP)

  • 서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3C호
    • /
    • pp.306-31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높은 에러정정 효율을 보이는 터보코드 알고리즘을 FPGA H/W(hardware) 자원 내에 효율적으로 구현하였다. 본 논문은 구속장의 크기가 3, 1/3 인코더, 2048 사이즈의 랜덤 인터리버에 기반한 터보코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제안된 H/W는 델타를 이용하여 알파와 베타를 연산하는 MAP 블록과 각 값들을 저장하는 버퍼 및 람다의 계산을 위한 곱셈기와 람다를 저장하는 버퍼로 구성된다. 제안된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구조는 C++ 언어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VHDL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구현한 후 FPGA에 적용하여 무선통신 환경에서 성능에 대한 유효성을 보였다. 구현된 H/W는 VERTEX4 XC4VFX12-12-SF363의 FPGA를 타겟으로 하였고 최대 131.533MHz (7.603ns)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었다.

그린건축을 위한 열교차단 특허기술의 조사 및 분석 연구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atents for the Thermal Bridge Breaker in Green Buildings)

  • 김영호;김형준;이희영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35-43
    • /
    • 2013
  • The green building is one of biggest factors to go the goal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friendly energy technology, recycling of resour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duction technology. The purpose of these green buildings realized by the energy-saving technology such as the thermal bridge breaker(or thermal bridge block). Thermal bridges are localized elements that penetrate insulated portions of building envelope that results in heat lo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technical interactions for patents of a thermal bridge breaker(TTB) used in green building practices, and be subject to investigation to TTB in the leading countries, that is, United State, Europe Union, Japan, and Korea. As a result, there are four TTB categories(roof, wall-slab connection, opening, footing) in house or building. The TTB categories is remarkable technology that is apparatus in slab-wall joints and sealing element of opening frame in wa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