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검색결과 981건 처리시간 0.034초

MRI로 진단된 척추질환의 임상적 소견 (A Study on Clinical Findings about Vertebral Disease Diagnosed with MRI)

  • 김함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3호
    • /
    • pp.157-165
    • /
    • 2006
  • 자기공명영상에 의해 진단된 척추질환에 대하여 성별 및 나이별 발생빈도, 발생부위 등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B대학병원에서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척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하여 척추질환 유소견자로 진단된 총 1,29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조사대상자에 대한 일반적 특성은 총 1,291명 중 남자가 53.5%, 여자 46.5%이었다. 2. 척추질환의 부위별 발생빈도는 요추 65.6%, 경추 27.3%, 흉추 7.0% 순으로 나타났다. 3. 척추질환의 빈도가 높은 상위 10개 질환은 다음과 같다. 1) posterior bulging disc 65.8%. 2) narrowing of neural foramen 23.8% 3)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22.4% 4) spinal stenosis 16.7% 5) osteochondrosis 6.4% 6) compression fracture 6.4% 7) facet joint arthropathy 6.2% 8) spondylolisthesis 6.0% 9) spinal cord tumor 3.5% 10) inter body fusion 2.6%

  • PDF

파랑 및 흐름중 모형 가두리 시설의 운동 특성 (Dynamic Motions of Model Fish Cage Systems under the Conditions of Waves and Current)

  • 김태호;김재오;류청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0
    • /
    • 2001
  • 규칙파, 불규칙파 및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프레임에 우리형 그물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는 가두리 시설의 운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사각형 및 원형 구조의 가두리 시설을 대상으로 예인 수조에서 수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규칙파중 운동 특성은 선형 포텐셜 이론에 의한 수치 해석의 그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규칙파중 모형 가두리 시설의 상하 및 종 동요는 전후 동요와는 달리 그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므로 이 시설물의운동 특성중 가장 중요한 상하 동요를 해석하는 경우에는 그물을 제외하고 프레임만을 고려해도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불규칙파중 및 파랑과 흐름이 공존하는 상태에서 모형 가두리 시설의 운동 특성은 입사파 주기의 2배 되는 고주파수에서 시설물의 고유 주기 등에 의해 동적 운동의 peak frequency가 나타남으로써 비선형 즉, 2nd order harmonic 성분이 존재하였다 3) 파동 및 흐름장에서 동요 특성이 정사각형에 비해 비교적 작게 나타난 원형이 파도, 조류 등 환경 조건이 거친 해역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Feasibility study of the beating cancellation during the satellite vibration test

  • Bettacchioli, Alain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5권2호
    • /
    • pp.225-237
    • /
    • 2018
  • The difficulties of satellite vibration testing are due to the commonly expressed qualification requirements being incompatible with the limited performance of the entire controlled system (satellite + interface + shaker + controller). Two features cause the problem: firstly, the main satellite modes (i.e., the first structural mode and the high and low tank modes) are very weakly damped; secondly, the controller is just too basic to achieve the expected performance in such cases.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issues results in oscillations around the notching levels and high amplitude beating immediately after the mode. The beating overshoots are a major risk source because they can result in the test being aborted if the qualification upper limit is exceeded. Although the abort is, in itself, a safety measure protecting the tested satellite, it increases the risk of structural fatigue, firstly because the abort threshold has been already reached, and secondly, because the test must restart at the same close-resonance frequency and remain there until the qualification level is reached and the sweep frequency can continue. The beat minimum relates only to small successive frequency ranges in which the qualification level is not reached. Although they are less problematic because they do not cause an inadvertent test shutdown, such situations inevitably result in waiver requests from the client. A controlled-system analysis indicates an operating principle that cannot provide sufficient stability: the drive calculation (which controls the process) simply multiplies the frequency reference (usually called cola) and a function of the following setpoint, the ratio between the amplitude already reached and the previous setpoint, and the compression factor. This function value changes at each cola interval, but it never takes into account the sensor signal phase. Because of these limitations, we firstly examin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empirically determine, using a series of tests with a very simple dummy, a controller setting process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sults. As the attempt failed, we have performed simulations seeking an optimum adjustment by finding the Least Mean Squ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and response signal. The simulation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during the notch beat and a small reduction in the beat amplitude. However, the small improvement in this process was not useful because it highlighted the need to change the reference at each cola interval, sometimes with instructions almost twice the qualification level. Another uncertainty regarding the consequences of such an approach involves 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the estimated model (used in the simulation) and the actual system. As limitations in the current controller were identified in different approaches, we considered the feasibility of a new controller that takes into account an estimated single-input multi-output (SIMO) model. Its parameters were estimated from a very low-level throughput. Against this backdrop, we analyzed the feasibility of an LQG control in cancelling beating, and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elevance of such an approach.

말뚝-지반-구조물의 동섬 상호작용 연구 (A Study on Dynamic Pile-Soil-Structure Interactions)

  • 이인모;이관호;김용진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7권1호
    • /
    • pp.41-52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말뚝 기초로 지지된 상부 구조물의 동적 해석을 하였다. 구조물 해석에는 반무한체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 방법의 입력자료가 되는 임퍼 던스 함수를 구하는 방법과 각 방법으로 구한 상부구조물의 거동을 상호 비교해 보았다. 먼저 단말뚝에 대한 임피던스 함수를 Equivalent Cantilever 방법, Novak이 제안한 방법, Gazetas가 제안한 방법, Kuhlemeyer가 제안한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군 효과는 Novak에 의 해 제안된 방법, 군 효과 비(Group Efficiency Ratio, GER), Poulos가 제안한 정적영향계수를 이용한 방법, Kaynia 8E Kausel이 제안한 동적영향계수를 이용한 방법 등을 이용하였으며, 구조물의 상부 변위, 저 면에서의 전단력과 휨모우먼트에 대한 상호 비교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각 방법으로 구한 강성과 감쇠 값은 그 차이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으며, Novak이 제안한 방법이 가장 작고, Kuhlemeyer가 제안한 방법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각 방법에 의한 군효과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강성효과는 비교적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감쇠의 경우 군효과의 차이가 큼을 알 수 있었다. 2.말뚝의 설치로 인해 상부변위는 200A이상 감소하였으며,반면에 말뚝 설치로 인한 강성 증가 효과로 인해 저면에서의 전단력과 휭모우먼트는 크게는 2배 이상 커짐을 알 수 있으며, 공명 현상을 일으키는 frequency가 약 2배 이상 증가함을 알 수 있다. 3. 말뚝 시스템의 강성과 감쇠의 산정시 주파수 종속값과 독립간을 사용한 차이로 인한 상부변 위,저 면에서의 전단력,횝모우먼트의 변화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지진가속도가 커짐에 따라 말뚝의 설치에 의한 상부변위 감소 효과가 더욱 커짐을 알 수 있다.

  • PDF

임플랜트 안정성을 위한 자기공명막대의 소독방법에 따른 수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martpeg^{TM}'s$ lifetime according to sterilization for implant stability)

  • 원호연;조인호;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2-52
    • /
    • 2008
  • 임플랜트가 개발된 이후 임플랜트 안정성을 아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연구되어 왔고 여러 측정 장치들이 고안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공명주파수분석법(Resonance Frequency Analysis)을 이용한 방법이 요즘 각광을 받고 있다. 가장 최근에 공명주파수분석법을 이용한 측정 장치의 하나인 $Osstell^{TM}$ 보다 간편한 $Osstell^{TM}$ mentor의 출시로 임상적으로 더 편하게 임플랜트의 안정성을 측정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Osstell^{TM}$ mentor 의 자기공명막대인 $Smartpeg^{TM}$을 사용할 때 임상에서 측정 가능한 측정횟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소독 후에도 측정값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하였다. 실험 목적은 5가지로 나누어 알아보고자 하였다: 1. 자기공명막대의 반복측정의 영향: 자기 공명막대와 $Osstell^{TM}$ mentor를 고정시키고 반복적인 측정을 하여 몇 회까지 측정값이 안정한가? 2. 자기공명막대의 탈부착 반복의 영향: 자기공명막대를 탁부착을 반복하면서 몇회까지 측정값이 안정한가? 3. 자기공명막대의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 진료실내의 소독방법 후에도 자기 공명막대 측정값이 안정한가? 4. 자기 공명막대의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 소독 후의 영향: 고압증기 멸균법 10회 반복적인 소독 후에도 측정값이 안정한가? 5. 자기 공명막대의 자성소실온도 확인: 자기공명막대의 자성을 잃는 온도는 몇 도인가? 실험방법은 각 실험별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준비하고 각각의 구별을 위해 컬러펜으로 표식을 했으며 실험전 측정값을 재고, 실험후 측정값을 재어 비교하였다. 자기공명막대 반복측정의 영향을 알아본 실험은 최초의 측정값과 변화가 있는 횟수를 알아보려 했으며 측정값에 변화가 없을 경우 400회까지 측정하여, 1-100회, 101-200회, 201-300회, 301-400회 4군으로 나누어 유의수준을 살펴보았다. 자기공명막대 탈부착 반복의 영향을 알아본 실험은 자기 공명막대 8개를 각각 400회씩 탈부착하여 측정값의 변화를 1-100회, 101-200회, 201-300회, 301-400회 4군으로 나누어 군간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막대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한 실험은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소독 전 측정값과 소독 후 측정값을 비교확인하였다. 자기 공명막대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 소독 후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8개의 자기공명막대를 10회 반복 소독하면서 소독 전 측정값을 0군, 1-10회까지 소독 후를 10군으로 나누어 군간 유의수준을 확인하였다. 자기공명막대 자성 소실 온도 확인실험은 8개의 자기 공명막대를 $138^{\circ}C$/10분, $150^{\circ}C$/5분, $150^{\circ}C$/10분으로 나누어 자기공명막대가 자성을 잃는 온도가 몇 도인지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1. 자기공명막대 반복측정의 영향 실험에서는 각 군간 유의성이 없었다(p>0.05). 2. 자기공명막대 탈부착측정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각 군간 유의 확률이 0.123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3. 자기공명막대 소독방법에 따른 영향에 대한 실험은 소독 전 측정값과 소독 후 측정값의 유의성이 없었다(p>0.05). 4. 자기공명막대 반복되는 고압증기멸균소독 후의 영향에 대한 실험은 각 군간 유의성이 없었다.(p>0.05). 5. 자기공명막대 자성 소실온도확인 실험은 $138^{\circ}C$/10분에서는 소독 전, 후간 측정값에 유의성이 없었고(p>0.05), $150^{\circ}C$/5분에서는 2개가 측정 불가였으며, $150^{\circ}C$/10분에서는 8개 모두 ISQ값을 측정할 수가 없었다. 결론으로 말하면, 자기 공명막대가 나사산이 손상되지 않고 자성을 잃지 않으면 측정값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자기공명막대를 $150^{\circ}C$/10분에서 진공건열멸균 소독 후에 자성을 잃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로 추론해 보건데, 진료실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보이는 고압증기멸균 소독이 $132^{\circ}C$/15분 이므로 진료실내의 소독방법들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몇 번 사용할 수 있는지의 문제는 400번 측정 시 수치에 변화가 없으므로 측정되지 않을 때까지 사용해도 무방하리라 사료된다.

ORIGINAL ARTICLE - 임플란트 종류 및 식립부위에 따른 안정성에 대한 RFA 분석 (ORIGINAL ARTICLE - Analysis of RFA related to stabilities by types and areas of dental implants)

  • 이희용;박민주;조현재;유기준;하정은;백대일;배광학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호
    • /
    • pp.31-37
    • /
    • 2012
  • Objective : This research compared stabilities between two types of dental implant ($SLA^{TM}$, Institut Straumann AG, Waldenburg, Switzerland and $SSII^{TM}$, Osstem co, Busan, Korea) using Osstell Mentor (Integration Diagnostics AB, Goteborg, Sweden) considering surgery methods, surgery area, diameter of implant, systemic disease, and smoking for obtaining prognosis information when installing fixture of dental implant. Materials & Methods : 206 implants of 131 patients taken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were determined as a final sample. Dental implants were installed as protocol of supplier by a excellent dentist who had 10 years experience about dental implants. Before connecting abutments (3 months after installation of fixture), RFA were measured twice for buccal and lingual direction to obtain average value. Results : Dental implants at mandib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abilities significantly than at maxilla (p<0.001). Diameter 4.8 implants had also higher stabilities than diameter 4.1 in case of $SLA^{TM}$ implants (p<0.001). $SLA^{TM}$ implants showed more excellent stabilities than $SSII^{TM}$ implants, especially at posterior area of mandible (p=0.045) and premolar area of maxilla (p=0.032). Conclusions : This research revealed higher stabilities of $SLA^{TM}$ implants than $SSII^{TM}$ implant, especially at posterior area of mandible (p=0.045) and premolar area of maxilla (p=0.032).

표면 전류 분포를 이용한 T자형 UWB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 해석 (Analysis of a T-Shaped UWB Printed Monopole Antenna Using Surface Currents)

  • 이동현;박위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883-89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T자형의 방사체를 가지는 초광대역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를 제안하고, 방사체와 그라운드 표면에 흐르는 전류 분포를 분석하였다. 측정된 임피던스 대역폭은 VSWR 2 미만 기준으로 3.1${\~}$11 GHz이고, 이는 UWB 대역을 만족한다. 제안된 안테나의 주파수에 따른 표면 전류 분포를 분석하여 제안된 안테나는 두개의 90도 굽은 비대칭적인 다이폴이 대칭으로 놓여 있는 안테나로 동작함을 설명하였다. 이 안테나의 표면 전류 분포가 방사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이 다이폴의 경우와 유사하며, 그라운드 평면의 길이와 너비는 다이폴의 굵기와 길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해석이 다른 일반적인 평면형 모노폴 안테나에도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끝으로 그라운드 평면의 모서리를 테이퍼링을 하여 공진 주파수를 낮추는 예과 방사체에 역 U자 슬랏을 추가하여 특정 대역을 저지하는 예를 제시하고 이를 표면 전류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성견에서 사다리꼴형 디자인과 미세나사선을 가진 단폭경임플란트의 골유착 평가: 예비연구 (Evaluation of narrow-diameter implant with trapezoid-shape design and microthreads in beagle dogs: A pilot study)

  • 장윤영;윤정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7호
    • /
    • pp.529-540
    • /
    • 2016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of narrow-diameter implant with trapezoid-shape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ronal microthreads on trapezoid-shape narrow-diameter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narrow-diameter impl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bsence or presence of coronal microthreads: trapezoid-shape narrow diameter implant (TN group) and trapezoid-shape narrow-diameter implant with microthreads (TNM group). They were installed alternately in bilateral mandible in three dogs. After 8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emoval torque test, and hist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Statistically higher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s were observed in TNM group than in TN group at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However, significant ISQ values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groups at 8 week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SQ values at 8 weeks, compared to the time of implant instal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moval torque test. Bone-implant contact ratio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otal and coronal par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trapezoid-shape design on narrow-diameter implant showed successful ossointegration, and the microthreads on coronal part did not result in significant bone-implant contact and biomechanical stability at 8 weeks.

  • PDF

양극산화 처리한 임플랜트의 표면 특성 및 골유착 안정성에 관한 연구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IMPLANT TREATED WITH ANODIZING OXIDATION)

  • 김원상;조인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49-560
    • /
    • 2006
  • Purpose : This experiment examined the effects of anodization on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 fixtures. Material & methods : The implant fixtures were anodized at three different voltage levels, producing three different levels of oxidation on the surface of the fixure. Implant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oxidation. Group 1 consist of the control group of machined surface implants, Group 2 implants were treated by anodizing to 100 voltage, Group 3 implants were treated by anodizing oxidation to 200 voltage Group 4 implants were treated by anodizing oxidation to 350 voltage. Surface morphology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the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using NanoScan $E-1000^{\circledR}$. Implantation of the fixtures were performed using New Zealand white rabbits. $Periotest^{\circledR}$ value(PTV) resonance frequency analysis(RFA), and removal torque were measured in 0, 2, 4, 8, 12 weeks after implanta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Values for the measured surface roughness indicat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a, Rq, and Rt values among group 1, 2, 3, and 4 at the top portion of the thread,(p<0.05) while values at the base of the thread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values. 2.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firming voltage, and surface roughness and irregularities were observ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3.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est groups regarding $Periotest^{\circledR}$ values. 4. Analysis of the data produced by RFA,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roup 1 and group 4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p<0.05) Conclusions : In conclus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found among test groups up to a certain level of forming voltage threshold, beyond this firming voltage threshol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as the surface area of the oxide layer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surface porosity, resulting in enhanced bone response and osseointegration.

경계요소법을 이용한 한국인 머리관련 전달함수의 특성 해석 (Boundary Element Analysis for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in the Case of Korean Adults)

  • 이두호;안태수;기동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8호
    • /
    • pp.1035-1044
    • /
    • 2010
  • 머리관련 전달함수는 음원으로부터 이도의 입구까지 소리의 전달함수로 인간이 소리의 위치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함수이다. HRTF 는 개인간의 편차가 크게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평균두형에 관해서 HRTF 를 해석하는 경계요소해석 모델을 개발하고 해석 결과와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서 모델을 검증하였다. 또한 특정 성인에 대하여 CT 촬영을 통하여 두형, 귓바퀴 및 이도의 형상을 획득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도 내의 음향응답을 전 가청주파수에서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 경계요소 해석을 수행하고 한국인 HRTF 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