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l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 시 레진계열의 근관실러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에 따른 미세누출 (MICROLEAKAGE OF RESILON BY METHACRYLATE-BASED SEALER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

  • 함선영;김진우;신혜진;조경모;박세희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8년도 Spring Scientific Meeting(the 129th) of Korean Academy if Conservative Dentistry
    • /
    • pp.204-2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methacrylate-based root canal sealer와 자기-접착 레진시멘트의 사용에 따른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70개 단근치를 ProFile NiTi rotary instrument와 GG drill을 이용해 근관성형 하였다. 치근을 4개의 실험군 (n = 15)과 2개의 대조군 (n = 5)으로 분류하여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1군: GP + AH-26, 2군: Resilon + RealSeal primer&sealant, 3군: Resilon + Rely-X Unicem, 4군: Resilon + Biscem> 7일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 후 수직절단하여 치근첨부터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1 군에서 가장 적은 미세누출값이 측정되었고, 2, 3, 4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는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sealer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 시 레진계열의 근관실러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에 따른 미세누출 (MICROLEAKAGE OF RESILON BY METHACRYLATE-BASED SEALER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

  • 함선영;김진우;신혜진;조경모;박세희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3호
    • /
    • pp.204-21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methacrylate-based root canal sealer와 자가-접착 레진시멘트의 사용에 따른 치근단 미세누출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70개 단근치를 ProFile NiTi rotary instrument와 GG drill을 이용해 근관성형 하였다. 치근을 4개의 실험군 (n = 15)과 2개의 대조군 (n = 5)으로 분류하여 측방가압법으로 충전하였다. <1군: GP + AH-26, 2군: Resilon + RealSeal primer&sealant, 3군: Resilon + Rely-X Unicem, 4군: Resilon + Biscem > 7일간 1% 메틸렌블루 용액에 침적 후 수직절단하여 치근첨부터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였다. 1군에서 가장 적은 미세누출값이 측정되었고, 2, 3, 4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자가-접착 레진시멘트는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시 sealer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Gutta-percha 또는 Resilon을 사용한 근관충전이 상아세관 내의 Enterococcus faecalis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NAL FILLING WITH GUTTA-PERCHA OR RESILON ON ENTEROCOCCUS FAECALIS IN BOVINE DENTINAL TUBULES)

  • 지상욱;김의성;정일영;유윤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85-392
    • /
    • 2005
  • 목적은 근관충전이 상아세관 내에 남아있는 세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가터퍼차와 resilon의 밀폐 능력을 상아 세관 내에 남아있는 세균의 생존 여부를 통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발치된 우전치로 치아시편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제 1군은 음성대조군, 제 2군은 양성대조군, 제 3군은 ZOE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가터퍼차, 제 4군은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가터퍼차 제 5군은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resilon으로 근관 충전하였다. 각 시편은 1, 2, 3주 및 4주간 보관한 뒤 round bur로 근관 내를 삭제하여 얻은 상아질을 배양하고 혼탁도를 측정하였다. 1. Nail varnish로 상아세관을 완전히 밀폐한 경우, 상아세관 내의 E. faecalis의 수는 가터퍼차 및 resilon으로 근관 충전 한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p < 0.05) .2. 레진 계통의 근관전색제와 resilon으로 근관충전 한 군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아세관 내의 E. faecalis의 수가 유의차 있게 감소하였다 (p < 0.05) 3. 가터퍼차와 resilon으로 근관충전한 군 사이에 상아세관 내에 남아있는 E. faecalis의 생존 정도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근관 세척법이 Resilon/Epiphany sealer와 Gutta-percha/AH 26 sealer의 근관 상아질과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RIGATION METHODS ON THE ADHESION OF RESILON/EPIPHANY SEALER AND GUTTA-PERCHA/AH 26 SEALER TO INTRACANAL DENTIN)

  • 김서경;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98-10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근관 세척법이 두 가지 근관 충전재 (Gutta-percha/AH 26 sealer, Resilon/Epiphany sealer)의 근관 상아질과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총 30개의 발거된 상악 전치를 각각 5개씩 6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근관 성형을 하고 마지막 세척을 다음과 같이 시행한 후 G1, G2, G3 군은 Gutta-percha/AH 26 sealer로, R1, R2, R3 군은 Resilon/Epiphany sealer로 근관 충전하였다. G1, R1군 : 5.25% NaOCl 세척 G2, R2군 : 5.25% NaOCl 세척 후 sterile saline세척 G3, R3군 : 5.25% NaOCl 세척 후 17% EDTA, sterile saline 순으로 세척 각 군의 충전된 치아를 아크릴 레진에 매몰하고 약 1 mm두께로 절단한 후 만능 물성 시험기상에서 push-out bond strength를 측정하였고 실험 후 파절 양상을 Image-analyzing microscope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utta-percha/AH 26 sealer 충전군에서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보다 push-out bond strength가 높게 나타났다 (p < 0.05). 2.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 중 17% EDTA, sterile saline순으로 세척시 5.25% NaOCl 세척에 비해 push-out bond strength가 높게 나타났다 (p < 0.05). 3. 파절 양상을 분석시 모든 군은 접착성과 혼합성 파절 양상을 나타내었고, G1, G2, R1 군은 응집성 파절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Resilon/Epiphany sealer 충전군은 Gutta-percha/AH 26 sealer 충전군에 비해 응집성과 혼합성 파절 양상이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접착제의 접착변수가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근단밀폐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tal-etch, wet-bonding, and light-curing of adhesive on the apical seal of a resin-based root canal filling system)

  • 류원일;손원준;백승호;이인한;조병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385-396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치근벽의 전처리 개념과 접착제의 중합방법이 레진계 근관충전제의 치근단 밀폐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가지 다른 접착변수를 조합하여 충전한 Resilon-RealSeal 시스템의 근단미세누출을 색소침투법을 이용하여 통상의 가타퍼쳐 충전과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자가부식형 RealSeal primer와 이중중합형 RealSeal sealer를 이용하여 Resilon 충전한 SEDC군, 산부식없이 Scotchbond Multi-Purpose primer를 적용한 후 접착제는 광중합하고 Resilon을 충전한 NELC군, 및 Scotchbond Multi-Purpose의 접착강화제와 접착제를 total etch/wet bonding과 광중합의 술식을 정확하게 지켜서 Resilon을 충전한 TELC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GPCS)에서는 통상의 AH26 plus sealer를 사용하여 가타퍼쳐를 충전 하였다. 결과: 치아장축방향의 색소침투는 TELC군에서 GPCS군과 SEDC군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횡단면의 미세누출 점수도 TELC군이 근첨으로부터 2 - 5 mm의 범위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Kruskal-Wallis test, p < 0.05). 결론: 레진계 근관충전제를 사용 시에는, 자가부식형 전처리제와 이중중합형 sealer보다는, total etch/wet bonding 개념과 적절한 광중합을 도모하는 전처리제 및 접착제의 사용이 치근단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므로 추천된다.

열연화주입형 gutta percha와 resilon의 유변학적 특성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rmoplasticized injectable gutta percha and resilon)

  • 장주혜;백승호;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377-384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열연화주입형 gutta percha와 resilon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탄성 변화를 관찰하고 조작성을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Obtura-II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 종류의 gutta percha와 resilon을 $140^{\circ}C$$200^{\circ}C$로 가열한 후 사출 온도를 측정하였다. 점도계를 이용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재료들의 점탄성 특성(전단탄성계수, G'; 전단점성계수, G"; 손실 탄젠트, tan${\delta}$; 복소점도, ${\eta}^*$)을 관찰하였다. 점도계와 차동주사열측정기(DSC)로 재료들의 상전이 온도를 측정하였고 가압법으로 $60^{\circ}C$$40^{\circ}C$에서 재료들의 점조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세 종의 gutta perchas는 온도에 따라 서로 다른 점탄성 특성을 나타냈다. $40-50^{\circ}C$에서 연화된 재료의 고체화 상변이가 일어났고, 점도계와 DSC로 측정된 상변이 시작 온도는 유사하였다. 상변이 시작 온도와 가압 시 점조도는 재료들마다 차이를 보였다(p < 0.05). Resilon은 gutta percha와 비슷한 유변학적 특성을 보였다. 결론: 열연화된 근관충전재는 냉각과정 동안 유변학적 특성의 변화를 나타냈고 재료들마다 서로 다른 점탄성 특성은 근관 내주입 시와 충전 시 서로 다른 조작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Resilon을 이용한 근관충전 시 수종의 치면처리제에 따른 미세누출 평가 (MICROLEAKAGE OF RESILON: EFFECTS OF SEVERAL SELF-ETCHING PRIMER)

  • 오종현;박세희;신혜진;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3권2호
    • /
    • pp.133-140
    • /
    • 2008
  • 이 실험의 목적은 Resilon으로 근관충전된 치아에서 자가산부식전처리제에 따른 치근단 미세누출을 평가하고자 함이다. 70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고 .04 Taper ProFile을 사용하여 ISO #40까지 근관성형 하였다. 치아는 근관충전 재료와 자가산부식 전처리제에 따라서 15개씩 4개의 실험군과 5개씩 2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 치아는 치아 장축에 평행하게 잘라내어 염색액의 최대 침투 길이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One-way ANOVA test로 분석하였으며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실험결과 자가산부식전처리제를 사용한 2, 3, 4군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1군과 4군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 < 0.05), 1군에서 가장 적은 치근단 미세누출을 나타냈다. 이 실험 결과에 따르면 Resilon으로 근관충전을 한 치아는 gutta percha와 $AH26^{(R)}$으로 근관충전한 치아와 비교했을 때 더 좋은 치근단 밀폐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Resilon을 사용하여 근관충전을 한 경우에 자가산부식 전처리제의 차이에 따른 치근단 밀폐효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었다.

수 종의 근관충전재의 열팽창 특성 측정 : Gutta-percha와 Resilon (Measurement of thermal expansion characteristic of root canal filling materials : Gutta-percha and Resilon)

  • 전경아;이인복;배광식;이우철;백승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44-351
    • /
    • 2006
  • 근관충전재로 사용되는 gutta-percha의 대체재로서 Resilon이라는 bioactive glass와 약간의 방사선 불투과성 성분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고분자가 최근 소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열연화 주입식 gutta-percha와 Resilon의 열팽창 특성을 측정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실험재료 중 gutta-percha 군으로는 Obtura, Diadent 그리고 Metadent사의 gutta-percha를, Resilon으로 Pentron사의 Epiphany를 사용하였다. 열가압주입기인 Obtura II에 4가지 재료를 넣고 설정온도를 $100^{\circ}C$, $150^{\circ}C$, $180^{\circ}C$ 그리고 $200^{\circ}C$로 바꾸어 가며 각 온도에 대해서, heat-ing chamber 입구에서의 온도와 23 게이지와 20 게이지의 needle에서 사출되는 재료의 온도를 디지털 ther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열팽창을 측정하기 위해 세라믹으로 내경 3 mm, 외경 10 mm. 길이 27 mm의 원통형 주형을 제작하였고, 주형 안에 각 재료를 채워 넣은 후 양끝을 세라믹 공이 (plunger)로 막았다. 이 시편을 dilatometer에 넣고 가열하여 $25^{\circ}C$에서 $75^{\circ}C$까지의 범위에서 열팽창 곡선을 얻었다. 온도에 따른 시편의 길이 변화로부터 각 재료의 열팽창 계수와 전체부피에 대한 팽창량을 계산하였다. 모든 재료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45^{\circ}C$ 이하에서는 재료의 부피변화가 거의 없었고, $45^{\circ}C$에서 $55^{\circ}C$ 구간에서 급격히 팽창하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완만한 부피의 증가를 보였다. $35^{\circ}C$에서 $55^{\circ}C$ 사이에서의 부피의 변화는 재료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 > 0.05). $35^{\circ}C$에서 $75^{\circ}C$사이의 부피의 변화는 Obtura 사 gutta-percha가 Metadent사와 Diadent사의 gutta-percha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Epiphany는 gutta-percha 군들과 비슷한 열팽창을 보였다 (p > 0.05).

레진 계통의 근관 충전재의 제거 용이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retrievability using a new soft resin based root canal filling material)

  • 신수정;이윤;박정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4호
    • /
    • pp.323-329
    • /
    • 2006
  • 본 실험의 목적은 새로운 레진계통의 근관 충전재로 개발된 Resilon (Epiphany, 미국 Pentron사)의 재 치료 시 제거의 용이성을 평가하는 것 이었다. 27개의 발거된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치관부를 삭제하여 치근의 길이가 12 mm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Crown-down 방법에 따라 ProFile system을 이용하여 3%의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과 17% EDTA 용액으로 세척하면서 ISO 크기 35번, 0.04 taper ProFile이 근관장에 도달할 때까지 근관 형성을 시행하였다. 제 1군 (n = 12)은 가타퍼챠와 AH26 플러스 실러를 사용하여 열가소성 가압 충전법으로 충전 하였으며, 제 2군 (n = 15)은 같은 방법으로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Resilon으로 충전하였다. 충전 후 표본은 밀폐를 하여 습도 100%, 섭씨 37도가 유지되는 곳에 일주일간 보관하였다. 재 치료를 위하여 Gates Glidden bur와 ProFile system을 이용하여 근관 충전 물질을 제거 하였으며 이전 근관 형성 보다 한 단계 더 큰 크기의 ProFile이 근관장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기록 하였다. 최종 세척은 3% NaOCl, 17% EDTA 그리고 증류수가 사용되었다. 그 후 치아는 수직 절단하여 주사전자 현미경하에 근관의 전반적인 청결도 및 충전 물질의 잔존 정도를 치근단, 중간, 치관부로 나누어서 75배 확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근관 충전 물질을 제거하는 데에 걸린 시간은 분 단위로 기록되어서 실험군 간의 차이는 Student-t 검정을 사용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오차범위 0.05 미만).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은 두 명의 관찰자가 5단계로 평가하였으며 Chi-square 검정을 통해서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오차범위 0.05 미만). 충전 후 충전재의 제거에 걸린 시간은 제 1군이 $3.25\;{\pm}\;0.32$분, 제 2 군이 $3.05\;{\pm}\;0.34$분으로 두 실험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근관 충전재의 제거 후 근관 벽의 청결도는 두 실험 군 모두에서 치관부 1/3이 중간이나 치근단 1/3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새로운 근관 충전 재료인 Resilon이 기존의 가타퍼챠와 실러를 사용한 충전과 비슷한 정도의 제거 용이성 및 근관 벽의 청결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Push-out bond strength of a self-adhesive resin cement used as endodontic sealer

  • Gurgel-Filho, Eduardo Diogo;Lima, Felipe Coelho;Saboia, Vicente De Paula Aragao;Coutinho-Filho, Tauby De Souza;Neves, Aline De Almeida;da Silva, Emmanuel Joao Nogueira Leal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4호
    • /
    • pp.282-287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ond strength of RelyX Unicem (3M) to root canal dentin when used as an endodontic sealer. Materials and Methods: Samples of 24 single-rooted teeth were prepared with Gates Glidden drills and K3 files. After that, the roo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experimental groups (n = 8) according to the filling material, (1) AH Plus (Dentsply De Trey GmbH)/Gutta-Percha cone; (2) Epiphany SE (Pentron)/Resilon cone; (3) RelyX Unicem/Gutta-Percha cone. All roots were filled using a single cone technique associated to vertical condensation. After the filling procedures, each tooth was prepared for a push-out bond strenght test by cutting 1 mm-thick root slices. Loading was performed o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speed of 0.5 mm/mi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test for multiple comparisons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Results: Epiphany SE/Resilon showed significantly lower push-out bond strength than both AH Plus/Gutta-Percha and RelyX Unicem/Gutta-Percha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 between AH Plus/Gutta-Percha and RelyX Unicem/Gutta-Percha (p > 0.05). Conclusions: Under the present in vitro conditions, bond strength to root dentin promoted by RelyX Unicem was similar to AH Plus. Epiphany SE/Resilon resulted in lower bond strength values when compared to both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