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pesticide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38초

지하수, 키토산 및 목초액의 엽면살포에 의한 알타리무 체내의 잔류 Procymidone 제거효과 (Effects of Foliar Treatment of Underground Water, Chitosan Solution, and Wood Vinegar Solution on Residual Procymidone Removal in Altari Radish)

  • 정순재;조미용;석운영;오주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1-134
    • /
    • 2011
  • 공시 농약인 "스미렉스 수화제"를 알타리무에 살포한 다음 2시간 후에 각각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을 골고루 엽면살포하였다. 그리고 공시재료 살포 2시간 경과 후, 1일 경과 후, 7일 경과 후 및 15일 경과 후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여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 잔류농약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의 검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농약만 살포한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 처리구에서 잔류농약인 procymidone의 검출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에서는 평균치 보다 낮게 나타났다. 2. 알타리무 체내의 procymidone의 분해율을 측정한 결과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 및 목초액 1,000배액 처리구에서 잔류농약인 procymidone의 분해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공시 엽면처리 재료간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대체적으로 키토산 500배액 처리구에서 분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경과에 따른 평균 분해율은 공시재료를 엽면살포하고 7일이 경과한 후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하수, 키토산 500배액 및 목초액 1,000배액을 엽면살포한 후 매일 달관조사를 하여 생육장해 및 비해조사를 한 결과 본 시험 농도에서는 비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ulticlas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helmintic and Antiprotozoal Drugs in Livestock Products by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Hyunjin Park;Eunjung Kim;Tae Ho Lee;Sihyun Park;Jang-Duck Choi;Guiim M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914-937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ulti-residue quantitative method for the analysis of anthelmintic and antiprotozoal drugs in various livestock products (beef, pork, and chicken) using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Each compound performed validation at three different levels i.e., 0.5, 1, and 2× the maximum residue limit according to the CODEX guidelines (CAC/GL 71-2009). This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modified quick, easy, cheap, effective, rugged, and safe procedure. The matrix-matched calibrations gave correlation coefficients >0.98, and the obtained recoveries were in the range of 60.2%-119.9%,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 ≤32.0%. Furthermore,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limits of the method were in the ranges of 0.03-3.2 and 0.1-9.7 ㎍/kg, respectively. Moreover, a survey of residual anthelmintic and antiprotozoal drugs was also carried out in 30 samples of beef, pork, and chicken collected in Korea. Toltrazuril sulfone was detected in all three samples. Thu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developed method is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anthelmintic and antiprotozoal drug contents in livestock products.

사과과수원의 노린재류에 대한 농약의 생물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ctivity of Pesticides Against Hemipteran Pests on Apple Orchard)

  • 이선영;윤창만;도윤수;이동혁;이중섭;최경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4-271
    • /
    • 2015
  • 노린재류는 전작물과 과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준다. 특히 사과원에서는 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의 피해가 심하다. 사과과실을 선호하는 2종 노린재류(썩덩나무노린재와 갈색날개노린재)에 대하여 적용약제로 등록된 7종(dinotefuran WP, etofenprox WP, chlorpyrifos WP, cabaryl WP, chlothianidin SC, flonicamid WG, and bifenthrin WG)으로 접촉독성과 잔효활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접촉독성 실험에서 디노테퓨란은 갈색날개노린재 수컷에 처리후 48시간에서 96.7%, 썩덩나무노린재 수컷에 처리후 48시간에서 74.5%의 유의성 있는 접촉독성을 보였지만 다른 약제들은 효과가 낮았다. 이들 노린재류에 대한 접촉독성은 암컷보다 수컷에서 더 높았다. 실내조건에서 플로니카미드를 제외한 모든 약제들은 갈색날개노린재 암수모두에 잔효활성의 효과가 있었고, 반면에 클로로피리포스와 비펜트린이 썩덩나무노린재 암수에 대해서 잔효효과가 높았다. 야외에서 비펜트린은 처리후 5일차까지 갈색날개노린재에 대해 높은 잔효효과를 보였고, 썩덩나무노린재에 대해서는 다소 떨어지는 잔효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클로피리포스는 실내 잔효활성 실험에서 높은 잔효효과를 보였으나 야외에서는 두종 노린재에 대하여 낮은 잔효효과를 보였다.

인삼 중 종자분의 처리 tolclofos-methyl의 잔류 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tolclofos-methyl treated by seed dressing in ginseng)

  • 노현호;이재윤;박소현;이광헌;박효경;오재호;임무혁;권찬혁;이중근;우희동;권기성;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7-221
    • /
    • 2012
  • 인삼 중 tolclofos-methyl의 잔류특성과 인삼 중 tolclofos-methyl이 높은 검출율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인삼 종자에 tolclofos-methyl을 분의처리하고 파종한 후 1년간 재배한 묘삼을 본포에 정식하였으며, 3년근까지 매년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1과 0.003 mg/kg이었다. 회수율은 정량 한계, 정량한계의 10배 및 최대잔류량 수준으로 처리하여 시험한 결과 77.37-100.16%범위이었다. 묘삼 중 tolclofos-methyl의 잔류량은 7.58-8.05 mg/kg이었으며, 2년근의 잔류량은 6.46-6.79 mg/kg, 3년근의 경우 4.18-4.35 mg/kg이었다. 잔류분석 결과 인삼 중 tolclofos-methyl의 잔류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종자분의처리한 시험농약이 묘삼에 흡수 이행한 후 본포에 정식하면서 연차적인 인삼의 비대성장과 농약의 분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광산화(Photooxidation)에 의한 고체 상 표면 잔류농약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ual Pesticide Removals on the Surface of Solid Phase Using Photooxidation Process)

  • 이태진;안수정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2호
    • /
    • pp.87-92
    • /
    • 2001
  • 발암성 물질 내지는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인식되고 있는 농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잔류농약제거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산화수소가 첨가된 광산화공정을 이용한 고체상의 표면에 잔류하는 농약의 분해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카바메이트계인 베노밀과 유기염소계인 클로로타로닐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파장은 350nm에서, 과산화수소의 공급은 20%에서 최적처리효율을 나타냈으며 과산화수소 또는 UV 조사를 단독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그 제거효과는 미미하였으나 UV와 과산화수소를 병행하여 처리하였을 때 처리효율은 가속화되었다. 최적조건에서 20분간 반응하였을 때 고체상 표면에 잔류하는 베노밀은 약 $2{\mu}g/cm^2$이 제거되었으며, 클로로타로닐은 약$1.88{\mu}g/cm^2$이 제거되었다.

  • PDF

국내시판 살충제에 대한 미국선녀벌레의 감수성 (Susceptibility commerciall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안기수;이관석;이경희;송명규;임상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34
    • /
    • 2011
  •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31종 살충제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성충에 대해 직접 분무 처리한 결과, 100%의 살충 효과를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 1종(methomyl), 합성피레스로이드계 4종(${\alpha}$-cypemethrin, deltamethrin, fenpropathrin, ${\gamma}$-cyhalo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dinotefuran, imidacloprid, thiamethoxan), 그리고 기타 약제 1종(endosulfan) 등 총 16종이었다. 분무처리에서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기주식물을 침지 처리하고 성충을 접종한 결과,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과 endosulfan 등 6종이였다. 잔효성 시험에서 유기인계인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의 살충률 나타내었고, 약제처리 3일 후에 90% 이상의 약제는 fenitro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이었다.

GC/ECD와 NPD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주요 원료 중 다성분 잔류농약 분석 (Analysis of Multiple Pesticide Residues in Raw Materials Used in Dietary Supplements by GC/ECD and NPD)

  • 박선영;오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63-871
    • /
    • 2004
  • 본 연구는 건강식품섭취 후 부작용 발생 현황과 건강기능식품 주원료 및 생산 및 출하액, 국내 생산 및 수입을 바탕으로 원료를 선정하고 공전시험법(2002)에 의하여 GC-ECD와 GC-NPD로 분석 가능한 농약(36종)에 대하여 분석한 후 GC-MS로 확인하여 분석하였다. 16종 139품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19품목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국내산 원료와 수입 원료의 검출 현황은, 국내산 원료의 경우 61품목 중 12품목이 검출되었고, 수입 원료의 경우 78품목 중 7품목이 검출되었다. 국내산 원료인 인삼의 경우 13품목 중 3품목이 검출되었고, 운지버섯은 4품목 중 2품목, 구기자는 4품목 중 3품목, 오미자는 5품목 중 2품목, 천궁 4품목 중 2품목이 검출되었다. 수입 원료의 경우 인삼은 8품목 중 3품목이 검출되었으며, 홍삼은 4품목 중 1품목, 운지버섯 6품목 중 1품목, 쑥은 5품목 중 1품목, 천궁 5품목 중 1품목이 검출 되었다. 농약별 분포현황을 보면 총 16종 139품목에 대하여 불검출은 120건이었으며, chlorpyrifos는 13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정된 시료를 분석한 것이나, 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는 원료의 잔류농약 존재확인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시장이 성장세를 이루고 있는 추세에 건강기능식품 섭취 후 부작용이 발생하였다는 원료에 대한 위해분석을 하는데 있어서의 기초 자료와 국내에서 기준 규격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식품 원료에 대한 기준 규격의 검토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유통중인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Monitoring of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 남혜선;최용훈;윤상현;홍혜미;박용춘;이진하;강윤숙;이종옥;안영순;홍영표;김희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7-324
    • /
    • 2006
  • 본 연구는 경인지역과 전라도지역의 5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중 잔류농약 부적합이력이 높은 농산물 15종, 총 355개 시료를 대상으로 GC(GC-MS)와 LC(LC-MS/MS)를 사용하여 254종의 잔류농약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355개 시료 중 70개 시료(19.7%)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15개 시료(4.2%)는 국내 잔류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본 연구 대상 농산물에서 azoxystrobin을 포함한 30종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azoxystrobin, procymidine, endosulfan은 검출빈도가 높게 나타났고(각각 14, 13, 13회) chlorpyrifos와 indoxacarb를 포함한 11종의 잔류농약은 국내 잔류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다. 그러나 285품목(80.3%)에서는 잔류농약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고, 잔류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55개(15.5%)에서는 국내 잔류농약 허용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어 조사대상 총 355개의 시료 중 340개의 시료(95.8%)는 상대적으로 안전하였다.

유기염소제농약의 작물에의 흡수잔류에 관한 연구 (Residu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ils and absorption in crops)

  • 노창배
    • 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8
    • /
    • 1974
  • In order to study the residual amounts of absorbed organochlorine pasticides in vegetables, heptachlor and endrin were sprayed 2,4 and 6kg per 10a., respectively, before sowing the seeds in the station. The experiemental stud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absorption in lettuce nad garland chrysanthemum. The absorption of each pesticide into lettuce and garland chrysanthemum, and residual pesticides in soil by timne have been analyzed by the gas chromtographic method, and the ratio of residual pesticides in vegetablesand soil were estimated.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 and endrin in lettuce nad garland chrysanthemum at the market in Seoul area hvae also analyzed and found extremely low level of pesticides in comparison with the level in above experimental vegetables as well as same vegetables in Japan.

  • PDF

연중 시중유통 배추에서의 160가지 농약의 잔류실태 모니터링 (Monitoring of 160 Kinds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Baechu (Chinese) Cabbage Throughout the Year)

  • 박소연;정지강;강정미;김소희;양지영;강순아;전혜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70-975
    • /
    • 2009
  • 연중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배추에서의 잔류농약에 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동시 다성분 분석이 가능한 160가지의 농약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중 배추 중 농약의 잔류량을 관찰한 결과 12개월 중 8개월은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고, 잔류 농약이 검출된 시기는 7월과 8월, 10월과 11월이었다. 월동배추를 제외한 계절에는 배추의 품질이 나빠, 농약 사용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자연히 농약이 잔류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각 농약의 잔류량은 7월, 10월, 11월에는 Bifenthrin 0.01, Chlorfenapyr 0.04, Bifenthrin 0.03 ppm이고, 8월에는 Bifenthrin이 각각 $0.01{\sim}0.02\;ppm$으로 이는 모두 각 농약의 MRL 미만의 양이었다. 따라서 연중 시중 유통배추는 농약 잔류에 대해 상당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