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ual nitrite content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High Pressure and Sodium Nitrite Levels on Cured Color Development and Residual Nitrite Concentration in Pork Homogenates

  • Hong, Geun-Pyo;Kim, Ji-Sook;Chun, Ji-Yeon;Min, Sang-G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41-648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pressure with or without thermal treatment on the cured color developme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model meat systems (pork, NaCl and sodium nitrite). At low nitrite levels (${\leq}50{\mu}g/g$), 200 MPa of pressure alone (P) did not develop the cured meat color (p>0.05). Thermal treatment (T) showed curing pigmentation (higher CIE L* and CIE a*), and the impacts were more effective when pressure was combined with thermal treatment (PT). In contrast, nitrite levels did not contribute to the cured meat color when ${\geq}200{\mu}g/g$ of nitrite was added to the meat. At high nitrite levels, although the typical cured color that is induced by thermal treatment did not present by pressure alone, the PT treatment still showed a pinker color with low residual nitrite content compared to the T treatment. The higher the pressure level (300 MPa), the greater the cured meat pigmentation with lower residual nitrit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e possible application of high pressure, both for cured pigmentation and reducing residual nitrite, respective to typical thermal treatments.

녹차분말 첨가 소시지의 아질산염 잔유량과 저장성 (Nitrite Contents and Storage Properties of Sausage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최성희;권혁추;안덕준;박정로;오동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9-308
    • /
    • 2003
  • 돈육소시지에 녹차의 다양한 생리 기능성을 부여하고 소시지의 저장성과 품질을 유지하면서 아질산염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녹차 분말을 첨가하여 돈육 소시지를 제조하여 저장 중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질산염(50, 100, 150 ppm)과 녹차(0, 0.5, 1.0%)를 첨가한 총 9개 시험군의 소시지를 제조하여 1$0^{\circ}C$와 2$0^{\circ}C$에 나누어 저장하면서 아질산염, TBARS와 VBN 등 저장성을 검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등 일반성분은 녹차와 아질산염 첨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색깔은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감소한 반면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을 분석한 결과 아질산염 첨가량이 동일한 경우 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아질산 잔류량이 적어 녹차 첨가가 아질산 잔유량 감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의 첨가는 소시지 제조 초기 및 저장 중 TBARS 값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녹차의 TBARS 감소 효과는 낮은 농도의 아질산염을 사용한 경우에 더욱 감소효과가 컸다. 저장 중 휘발성 염기태질소(VBN) 함량도 녹차와 아질산염을 첨가한 군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돈육소시지에 녹차를 첨가함으로써 아질산 잔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고 아질산염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for the Reduction of Residual Nitrite and Nitrosamine in Meat Products

  • Ahn, Hyun-Joo;Kim, Jae-Hun;Lee, Ju-Woon;Jo, Cheorun;Byun, Myung-W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67-372
    • /
    • 2004
  • Nitrite, a curing agent of meat products, is precursors of carcinogenic N-nitrosamines during processing of meat products or under human stomach conditions as well as having its own toxicity. Som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reduction of residual nitrite and N-nitrosamines in an aqueous model system and cured meat products with different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gamma irradiat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residual nitrite and N-nitrosamines in an aqueous model system as well as meat products. Especially, irradiation combined with vacuum 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was more effective in nitrite and N-nitrosamines reduction than aerobic packaging during storage. The objective of this review is to introduce the irradiation technology for the application of reducing the residual nitrite and N-nitrosamine contents in meat products.

육제품의 저장 중 아질산이온 잔류량, TBARS 함량과 육색의 변화 (Changes in Residual Nitrite, TBARS and Color of Meat Products during Storage)

  • 김기숙;최성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9-307
    • /
    • 2007
  • 육제품의 아질산이온 잔류량 저감화와 육제품 섭취의 안전성 확보 방안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산 육제품의 저장 중 아질산이온 잔류량의 변화와 함께 TBARS 함량과 색도를 살펴본 결과 비엔나소시지, 베이컨, 스모크햄, 냉동육제품 등 4종류의 육제품 모두 아질산이온 잔류량이 국내 규제 허용량 70ppm 보다 매우 낮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잔류량은 더욱 감소하였다. 감소폭은 저장 온도와 제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어 $4^{\circ}C$에서 냉장 저장할 경우는 비엔나소시지에서 아질산이온 잔류량의 감소폭이 가장 컸고 베이컨에서 가장 작았다. 반면 $-20^{\circ}C$에서 냉동 저장한 경우에는 베이컨에서 아질산이온 잔류량 감소폭이 가장 컸고 냉동육제품에서 가장 작았다. 또한 저장 온도에 따른 각 제품의 아질산이온 잔류량 감소 속도를 보면 비엔나소시지, 스모크햄 및 냉동육제품은 $4^{\circ}C$에 저장할 때가 $-20^{\circ}C$에 저장할 때보다 더 빠른 속도로 아질산이온 함량이 감소하였다. 반면, 베이컨의 경우는 $-20^{\circ}C$에 저장할 때가 $4^{\circ}C$에 저장할 때보다 더 빨리 아질산이온 함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육제품의 제조 후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잔존 아질산이온이 감소하고 저장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국내산 육제품의 아질산이온 함량은 대부분 법적기준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육제품 섭취에 의한 아질산염의 위해는 현 시점에서 크게 우려할 바는 아니라고 사료되나 앞으로 아질산이온 잔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더불어 아질산염의 대체물질을 개발하는데 많은 연구력과 재원이 투자되어야 할 것이다.

Application of Ganghwa Mugwort in Combination with Ascorbic Acid for the Reduction of Residual Nitrite in Pork Sausag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Hwang, Ko-Eun;Kim, Hyun-Wook;Song, Dong-Heon;Kim, Yong-Jae;Ham, Youn-Kyung;Lee, Choong-Hee;Choi, Yun-Sa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8-184
    • /
    • 2014
  • The application of ganghwa mugwort (GM), ascorbic acid (AC), and their combinations for reduction of residual nitrite contents was analyzed in pork sausages during storage of 28 d. Six treatments of pork sausages contained the following: Control (no antioxidant added), AC (0.05% AC), GM 0.1 (0.1% GM), GM 0.2 (0.2% GM), AC+GM 0.1 (0.05% AC + 0.1% GM) and AC+GM 0.2 (0.05% AC + 0.2% GM). Results showed that the mixture of 0.05% AC and 0.2% GM was most effective for reducing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than the control and GM added sausages alone (p<0.05). The color values of all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dding GM (either alone or with AC). Additionally, the total color difference (${\Delta}E$) and hue angle ($H^{\circ}$) values of treatments added with G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s the amount of GM increased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 values between the control and all treatments during the storage period (p>0.05). Our results showed possible applications of antioxidant combination, for preventing the lipid oxidation and decreasing the residual nitrite levels of meat products.

돼지고기 드립의 몇가지 특성과 염지 효과 (Some Properties and Curing Effect of Drip from Frozen-thawed Pork meat)

  • 김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0-374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ome properties and curring effect of drip obtained from frozen-thawed park loin ham belly and imported belly by thawing process at 4$^{\circ}C$. Moisture content and pH value of drips were 88.05~90.85% and 5,72~6.05 and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samples. Protein contents were 11.07, 8.85, 8,76 and8,13% in the drips from domestic pork loin, ham, belly and imported belly, respectively. Approximately 99% of the drip were constituted with moisture and protein in any part of domestic pork and imported belly.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and lysine were the predominant amino acid in the drips. Curing process of the drip by nitrite increased the pH value and total amino acid content. The residual nitrite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curing and total plate counts in drip with nitrite did not reach 1$\times$105CFU/g until 7 days.

  • PDF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Mugwort and Pine Needle Extracts on Shelf-life in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황보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5호
    • /
    • pp.461-467
    • /
    • 2011
  • 쑥과 솔잎 분말을 물과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한 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아질산염잔존량, 총 미생물수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과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물 추출물첨가구는 T1,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 물 추출물 첨가구를 T3,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과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특히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4에서 TBARS 값은 다소 낮았다(p<005).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쑥 보다는 솔잎 첨가구가, 물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과 1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대조구보다 쑥과 솔잎 추출물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b^*$ 값은 감소하였고, CIE $a^*$ 값은 증가하였다. 처리구간 CIE $L^*$값은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 첨가구에서 낮아 쑥과 솔잎 분말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면 솔잎 분말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적인 첨가방법이라 생각된다.

제조 방법이 다른 솔잎 추출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및 아질산염 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ine Needle Extracts in Different Forms on the Antioxida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4-80
    • /
    • 2011
  • 유화형 소시지에 제조 방법을 다르게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육색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솔잎즙 첨가구는 T1,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p<0.05). TBARS와 총미생물수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솔잎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2에서 TBARS 값과 미생물수는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a^*$ 값 및 $b^*$ 값은 감소하였고, 처리구간에는 CIE $L^*$ 값과 $a^*$ 값은 T1과 T2에서 낮았고, $b^*$ 값은 T1과 T2에서 높은 결과로 솔잎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 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가장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아질산염잔존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Nitrite Addition on the Residual Nitrite Contents and Self-life of Emulsified Sausage during Cold Storage)

  • 박웅렬;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9-276
    • /
    • 2010
  • 유화형 소시지에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육색, TBARS, 총 미생물수 및 아질산염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50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1, 200 kDa 키토산 0.5% 첨가구는 T2,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3, 5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는 T4, 200 kDa 키토산 0.5%와 아질산염 150 ppm 첨가구를 T5 등 6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T2에서만 유의성이 있었다.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으며 T5에서 가장 낮았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a^*$값은 감소하였고, CIE $b^*$값은 변화가 없으며 처리구간에 있어서 저장 30일에 $a^*$값만 T5에서 높았다.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키토산과 아질산염을 첨가한 유화형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키토산과 아질산염이 지방산화를 지연시켰고, 200 kDa 키토산과 아질산염 첨가구의 TBARS값은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 T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5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키토산과 아질산염 혼합 첨가구는 산화 및 미생물 성장 억제 효과와 아질산염잔존량을 감소 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들깻잎 분말 첨가가 돈육소시지의 표면색깔, 아질산 잔류량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erilla Leaf Powder on the Surface Color, Residual Nitrite and Shelf Life of Pork Sausage)

  • 정인철;김영길;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54-660
    • /
    • 2002
  • 본 연구는 들깻잎 첨가와 도체 등급이 돈육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B 및 I 등급 원료육에 들깻잎을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것 4 종류의 돈육소시지를 제조하였다. 돈육소시지의 L*값은 제조직후가 가장 높았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게 나타났다. B 등급 돈육소시지의 a*값은 저장 8주 째에 가장 낮았고,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4주 째에 가장 높았으며, E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E 등급 돈육소시지는 저장 중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a*값이 낮았으며, b*값은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가 높았다. 들깻잎을 첨가한 돈육소시지의 아질산 잔류량은 저장 2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하지 않은 것은 4주까지 큰 폭으로 감소하여서 들깻잎의 첨가가 아질산 잔류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B 등급 및 들깻잎을 첨가한 B 등급 돈육소시지의 pH는 4주까지 감소하다가 6주부터 증가하였다. VNN 함량은 저장초기 6.7~8.4mg%이던 것이 저장 중 증가하여 8주 째에는 16.1~19.5mg%를 나타내었다. 돈육소시지의 TBARS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보다 저장 중 더 낮았다. 총균수는 모든 돈육소시지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증가폭은 들깻잎을 첨가한 것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