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sidual Coding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32초

능률적 RGB 비디오 압축 부호화를 위한 잔여신호의 적응적 주파수-선택 가중 예측 기법 (An adaptive frequency-selective weighted prediction of residual signal for efficient RGB video compression coding)

  • 정진우;최윤식;김용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27-539
    • /
    • 2010
  • 대부분의 비디오 부호화 시스템은 YCbCr 색 공간에서 부호화가 수행되나 초고화질 비디오가 사용되는 분야에서는 YCbCr 색 공간에서 부호화하는 것이 RGB 색 공간에서 부호화는 것에 비해 높은 압축 효율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RGB 공간에서 부호화하는 것이 선호된다. RGB 비디오 신호의 압축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잔여신호의 적응적 주파수-선택 가중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RGB 비디오 신호의 색 평면간 상관도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제안 기법은 잔여신호 평면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부호 일치도와 상관 강도에 근거하여 적응적으로 잔여신호 평면 간 예측될 주파수 영역과 그에 상응하는 예측 가중치를 선택한다. 실험 결과는 최신의 비디오 압축 표준인 H.264/AVC에서 4:4:4 비디오 부호화의 공통 모드에 비해 약 13% 정도 압축 부호화 성능을 개선시켰음을 보여준다.

H.264/AVC 동영상 압축율 향상을 위한 DC 오프셋 보정에 기반한 인터 예측 알고리즘 (DC Offset Adjusted Inter Prediction Algorithm for Improving H.264/AVC Video Coding Efficiency)

  • 윤대일;김해광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93-796
    • /
    • 2011
  • H.264/AVC 동영상 압축 표준 기술은 인터/인트라 예측에 의한 잔여 영상을 주파수 변환하고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부호화한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 예측에 의한 잔여 영상을 주변 영상 블록의 영상 정보를 사용하는 기존의 방법을 향상시킨 DC 오프셋 보정 방법에 의해 잔여 영상의 정보량을 감소하는 것에 의해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안한다. DC 오프셋에 관련한 오버헤드 정보는 비트스트림에 포함하지 않고 인코더와 디코더가 같은 방법의 DC 오프셋을 수행한다. 실험결과는 H.264/AVC에 비해서는 BD-Rate으로 평균 0.25% 좋아지지만 기존의 DC 오프셋 방법과 비교해서는 영상 시퀀스에 따라 성능이 향상 혹은 저하되는 것을 보여 준다. 평균적으로는 0.09%의 압축 성능이 저하된다. 이 논문의 실험결과를 통해 기존의 DC 오프셋 방법과 제안하는 방법을 슬라이스 단위, 매크로블록 단위 등의 부호화단위에 따라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의한 압축율 향상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스케일러블 HEVC 부호화 효율 개선을 위한 계층 간 적응적 필터 선택 알고리즘 (Adaptive Inter-layer Filter Selection Mechanism for Improved Scalable Extensions of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SHVC))

  • 이종혁;김병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1-147
    • /
    • 2017
  • 스케일러블 HEVC에서 상위계층의 계층 간 예측에서 기본계층의 부호화 잔차 영상에 대한 업샘플링 된 결과를 참조하여 예측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효율 영상 압축 기반 스케일러블 부호화 (Scalable Extension of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 상위계층 잔차 데이터 예측에 대한 개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적응적 필터 선택 기법은 스무싱 필터와 샤프닝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계층 간 예측 방법에서 효율을 향상시킨다. 기존의 업샘플링 필터와 두 개의 필터를 추가하여 율-왜곡 비용함수 기반의 경쟁기법을 통한 계층 간 예측 알고리즘을 SHVC 5.0에 구현함으로써 Y, U, V 컴포넌트에 대한 평균 1.5%, 2.1%, 1.7%의 BD-rate 향상을 보여준다.

LPC 잔여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한 회전기기의 고장진단 시스템 (Fault Diagnosis System of Rotating Machines Using LPC Residual Signal Energy)

  • 이성상;조상진;정의필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43-147
    • /
    • 2005
  • 운전 중인 기계들의 안전 운전과 예지 보전을 위한 설비의 고장 감지 및 진단과 상태감시는 산업 현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설비의 많은 기기들은 회전기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전기기의 고장진단은 오랜 기간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기기의 고장신호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의 변화로 나타난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 해석을 위하여 Linear Predictive Coding(LPC) 계수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는 회전기기의 고장 신호의 습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도전동기에 인위적인 고장재현을 통하여 습득된 진동 신호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LPC 분석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주파수 영역 상에서의 다른 해석 방법들보다 빠른 시간에 연산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었으며, 성공적인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Full-Duplex Relay Networks with Residual Self-Interference and Crosstalk

  • Liu, Guoling;Feng, Wenjiang;Zhang, Bowei;Ying, Tengda;Lu, Lur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0호
    • /
    • pp.4957-4976
    • /
    • 201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rror performance of the amplify-and-forward (AF) relaying systems in the context of full-duplex (FD)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inherent self-interference (SI) due to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existent FD terminals may cause crosstalk.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information exchange via the crosstalk channel to construct a particular distributed space-time code (DSTC). The residual SI is also considered. Closed-form pairwise error probability (PEP) is first derived. Then we obtain the upper bound of PEP in high transmit power region to provide more insights of diversity and coding gain. The proposed DSTC scheme can attain full cooperative diversity if the variance of SI is not a function of the transmit power. The coding gain can be improved by lengthening the frame and proper power control. Fea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roposed DSTC are verified in numerical simulations.

에러 강인성 향상을 위한 다상 다운 샘플링 적용 H.264 동영상 부호화 기술 (Error-Resilience Enhancement based on Polyphase Down Sampling for the H.264 Video Coding Technology)

  • 정은구;지아 지예;김해광;최해철;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40-347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다상 다운 샘플링 (Polyphase down sampling)에 기반 한 다중 부호화 기법 (multiple description coding)을 H.264 동영상 기술에 적용한 기술을 제시한다. 먼저 입력된 원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움직임 보상된 잔여 매크로블록을 계산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이 잔여 매크로블록을 DCT, 양자화,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을 거쳐 부호화화는 H.264 동영상 부호화 기술에 있어서 DCT 처리 이전에 다상 다운 샘플링을 적용하여 하나의 매크로블록을 4 개의 기술(description)로 나누어 각각을 부호화한다. 복호화에 있어 4 개의 기술이 모두 수신되면, 원래의 영상을 완전히 복호하고, 일부 기술이 수신되지 않으면, 에러 없이 수신된 기술로부터 보간법에 의해 원래의 영상과 유사한 영상을 복호한다. 모의실험은 JVT SVC(Scalable Video Coding) 표준화를 위한 9 개 시험 동영상 전체에 대해 다양한 패킷 손실 형태의 환경에서 수행 되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H.264 기반의 슬라이스 그룹 맵에 기반 한 에러 숨김 방법보다 0.5-5 dB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다.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전이중 양방향 중계 네트워크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Full-Duplex Two-Way Relay Network over Rayleigh Fading Channels)

  • 최동욱;이재홍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3호
    • /
    • pp.3-9
    • /
    • 2014
  • 전이중(full-duplex) 양방향(two-way) 중계 네트워크는 전이중 방식을 사용하는 중계기에서 중첩 부호화(superposition coding) 혹은 물리 계층 네트워크 부호화(physical layer network coding)를 사용하여 기존 반이중(half duplex) 중계기를 사용하는 양방향 중계 네트워크에 비해 높은 주파수 효율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이중 양방향 중계 네트워크를 고려하여 전이중 방식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루프간섭 신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사용자 및 중계기는 루프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루프간섭 신호를 추정한다. 하지만 루프간섭 신호를 추정할 때, 추정 오류가 발생하여 수신 신호에서 루프간섭 신호를 완벽하게 제거하기는 어렵다. 모의실험에서는 불능 확률(outage probability)을 통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무손실 영상 압축을 위한 향상된 CABAC 방법 (Improved CABAC Method for Lossless Image Compression)

  • 허진;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C호
    • /
    • pp.355-3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손실 영상 압축의 효율을 높이가 위해 새로운 문맥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H.264/AVC의 CABAC은 손실 (loosy) 부호화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무손실 (lossless) 부호화 환경에서 최적의 부호화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무손실 화면내 부호화 환경에서 잔여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향상된 CABAC 기반의 잔여 신호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무손실 화면내 부호화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향상된 CABAC 방법이 기존의 CABAC 방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18.2% 정도의 비트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잔여 신호의 상관성에 기반한 선택 변환 (Alternative Transform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Residual Signal)

  • 임성창;김대연;이영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3호
    • /
    • pp.80-92
    • /
    • 2008
  • 기존의 영상 부호화 표준들보다 높은 압축 성능을 얻기 위해 부호화 효율 측면에서 우수한 기술들이 가장 최근에 완성된 영상 부호화 표준인 H.264/AVC에 채택되었다. 가변 블록 단위의 움직임 예측/보상과 다양한 방향성을 통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등의 영상 부호화 기술들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이산 여현 변환은 초기 영상 부호화 표준에서부터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실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될 때 생성되는 잔여 신호의 상관 계수 값은 0.5 미만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관 계수 값의 범위는 이산 여현 변환이 최적의 성능을 나타내는 범위가 아니며, 상관 계수의 범위가 -0.5에서 0.5일 경우 차선의 변환인 이산 정현 변환이 이산 여현 변환과 함께 영상 호화에 사용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산 정현 변환과 H.264/AVC에서의 정수 여현 변환 중 최적의 변환을 율-왜곡 최적화 과정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선택 변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H.264/AVC의 JM 10.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비트율에서 최대 0.71 dB의 BD-PSNR 향상을 얻을 수가 있었다.

Fast Quadtree Structure Decision for HEVC Intra Coding Using Histogram Statistics

  • Li, Yuchen;Liu, Yitong;Yang, Hongwen;Yang, Dach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5호
    • /
    • pp.1825-1839
    • /
    • 2015
  • The final draft of the latest video coding standard,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was approved in January 2013. The coding efficiency of HEVC surpasses its predecessor, H.264/MPEG-4 Advanced Video Coding (AVC), by using only half of the bitrate to encode the same sequence with similar quality. However, the complexity of HEVC is sharply increased compared to H.264/AVC.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decrease the complexity of intra coding in HEVC. Early pruning and an early splitting strategy are applied to the quadtree structure of coding tree units (CTU) and residual quadtree (RQT). According to our experiment, when our method is applied to sequences from Class A to Class E, the coding time is decreased by 44% at the cost of a 1.08% Bjontegaard delta rate (BD-rate) increase on ave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