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Greenspac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Sustainable Greenspace based on Urban Remodeling Design of an Old Apartment Building

  • Myung Sik Lee;Seung Ryeol Min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9-193
    • /
    • 2023
  • It is undeniable that urban greenspace is the soul of a city. Conventional urban greenspace such as parks, community gardens, playgrounds etc. located within a city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pollution, play a major role in the survival of the urban ecosystem, and promote healthy lifestyles. Today, 55%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in urban areas,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o 68% by 2050. Projections show that urbanization and the gradual migration to urban areas combined with the fast growth of the world's population, could add another 2.5 billion people to urban areas by 2050 and almost 90% of this increase will take place in Asia(UN, 2018). As a result, many plots in the cities are and will continue to be occupied with buildings to provide residential support to the increased population. This will dangerously decrease urban greenspaces. Moreover, worldwide, food crisis, energy crisis, and social crisis is posing a great threat to the existence of mankind. Additionally, the COVID - 19 has introduced a new lifestyle where from work culture to community configuration has drastically transformed. In this scenario, residential buildings will have to serve more than just providing privacy and shelter. As urban greenspaces are being occupied by concrete residential buildings, these buildings will have to compensate for the percentage of urban green they are destroying and the issues they are imposing in the proces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design, architecturally define and, categorize comprehensive 'sustainable Greenspace'(S.G.S) for the multi-family housing scenario. These will be different than the conventional green (veranda, rooftop green) we commonly see in residential buildings. An old, dilapidated apartment building will be the target of remodeling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강원도 일부 도시들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veral Cities of Kangwon Province)

  • 조현길;이기의;윤영활;서옥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71-183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rban greenspace area and vegetation structure by land use types for both Chuncheon and Kangleung. Natural and agricultural lands were predominant in the study cites, as 75-80% of total area. Residential lands accounted for about 10%, and commercial and industrial lands(including transportation), 5-10%. Only 10-20% of urba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 was covered with greenspace. Woody plant cover was 12-13%, and tree density was 1.5 trees/100$m^2$ for urban lands(all land use types except natural land) in both cities. The tree-age structure was largely characterized by young, growing tree population, and species diversity within a diameter class decreases as the diameter classes get larger. Urban lands of both cities had quite a similar species composition of woody plants (similarity index of 0.65). Street trees in Chuncheon were intensively pruned annually to protect the above ground utility lines. Some strategies were explored to solve problems found in the existing greenspace structures. They included increase of biomass and greenspace area through minimization of unnecessary impervious surfaces, creation of multilayered and multiaged vegetation structures, relocation of above ground utility lines and avoidance of intensive tree pruning, and establishment of greenspace proximity and connectivity.

  • PDF

전원지역의 녹지구조 현황과 기능개선 방안 - 강원도 양구를 대상으로 - (Structural Conditions of Greenspace in a Rural Region and Strategies for its Functional Improvement - In the Case of Yanggu, Gangwon Province -)

  • 조현길;안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3-502
    • /
    • 2006
  • 본 연구는 전원지 역 인 양구군을 대상으로 녹지 면적 및 식생구조 중심의 녹지구조를 정량 분석하고, 녹지에 대한 주민태도의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녹지기능을 증진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목피도는 공원이 약 29%로서 녹지공간 유형 중 가장높았고, 상업지 정원이 가장 낮아 3%에 불과하였다. 양구 전원지역의 수목식재는 개발밀도가 높은 도시의 경우보다 더 빈약하였다. 교목의 흉고직경분포는 20cm 미만의 점유비가 전체의 91%로서 도시지 역과 유사하게 유목 및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였다. 식재수종들의 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상위권 10개 수종 중4개 수종은 도시에서도 상위 10위권 내인 주요 도시경관수종들이었으며, 일부 우점종만 도시지 역과 상이하였다. 한편, 주거지 및 상업지 정원에선 우점종 대부분이 유실수로서 주로 실용적 수종을 식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지면적의 점유비는 공원 약 69%, 주거지 정원 39%, 공공용지 정원 37%, 가로 24%, 상업지 정원 15%등이었다.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식재공간은 가로가 37%로서 현 수목피도를 약 6배, 주거지와 상업지 정원이 각각 19%,7%로서 현 수목피도를 2배이상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구조와 식재기법, 설문조사분석결과에 근거한 녹지확충 및 기능 개선책은 가로 구간별 테마 창출, 다층구조 조성, 정원 나지에 수목식재 및 건물 주변 에너지 절약적 식재 추진 등으로 요약된다.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 강남구 및 중랑구를 대상으로 - (Land Use and Greenspace Structure in Seoul - Case of Kangnam-gu and Junglang-gu -)

  • 조현길;이경재;권전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0-41
    • /
    • 1998
  • 본 연구는 소득수준 및 건축년도의 차이가 나타난 서울시의 강남구와 중랑구를 대상으로 토지이용별 녹지면적 및 식생구조의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된 문제점과 그 개선책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구들의 토지이용유형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가 전체면적의 32~37%, 자연지가 19~22%, 교통 및 상공업지가 13~18%, 그리고 공공용지가 13~17%를 점유하였다. 거주와 활동의 중심이 되는 도심주거지 및 상업지에서의 녹지면적은 단지 20~30%에 불과하였다. 도심지(자연지, 농경지 등을 제외한 타토지이용들)에서의 수관점유율은 강남구가 약 39%, 그리고 중랑구가 50%로서, 향후 수목을 식재할 수 있는 잠재력은 강남구에서 약간 더 높았다. 도심지의 수목피도와 교목밀도는 양 구간 별 차이가 없이 각각 13% 및 3주/100m$^{2}$이었다. 양 연구대상구는 유목내지는 성장과정의 수목들이 우점하는 단령구조를 보였고, 직경이 클수록 종다양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 구간 도심지 수종구성의 유사도지수는 0.70으로서 그 유사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 및 건축년도의 차이는 수목피도, 수령구조 등을 포함하는 도심지의 식생구조에 있어 연구대상구간 뚜렷한 차이를 야기시키지는 않았다. 녹지구조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책은 다층 및 다령구조로 특징지워지는 식생구조으 다양성 확보, 불투수성 면적의 최소화를 통한 도심내 녹지면적의 증대, 과도한 전정의 회피 및 가공선의 지하매설 등으로 요약된다.

  • PDF

도시녹지의 미기후개선, $CO_2$흡수 및 화재방지의 효과 (Effects of Urban Greenspace on Microclimate Amelioration, $CO_2$ Sequestration and Eire Obstruction)

  • 조현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2-170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특정 도시내 주거녹지의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 효과를 계량화하였다. 또한, 도시수목에 의한 화재방지의 효과를 검토하고, 그들 효과를 함께 증진하기 위한 녹지계획 및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수목 생장기간 중 평균 온도는 수목피도 12% 및 22%인 지구에서 녹지부재의 지구보다 각각 0.5$^{\circ}C$, 1.2$^{\circ}C$ 더 낮았다. 수목의 호당 연간 $CO_2$, 흡수량과 $O_2$, 생산량은 수목피도가 2배 더 높은 지구에서 3배 더 많았다. 수목피도 22% 지구의 수목은 광합성과 에너지 절약을 통해 지구 총 $CO_2$배출량의 약 3%를 해마다 상쇄시켰고, 지구내 거주민 모두가 연간 필요로 하는 산소량의 약 10%를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흉고직경 15cm인 느티나무 한 그루의 8월 하루 증산량은 7,100kca1/h(사무실 24평용) 냉방능력을 가진 냉방기를 12시간 동안 약 3대 가동하는 효과와 같았다. 또한, 그 수목은 해마다 32리터의 휘발유 소비에 따른 $CO_2$, 배출량을 상쇄시켰고, 한 사람이 68일간 호흡하는데 필요한 산소량을 생산하였다. 화재 방지를 비롯한 미기후개선 및 $CO_2$ 농도저감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 수종선정 , 건물주변 식재기법, 녹지확충, 식생관리 등과 관련된 도시 주거녹지의 적정한 계획 및 관리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전략은 현존 단독주거지에서는 물론 새로운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Landscape Fragmentation of Circular Greenspace in Cheongju and Requirement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 김재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9-97
    • /
    • 2012
  • 2002년 그린벨트 해제 이후 청주시 환상녹지에서의 주거지 확대와 주요 간선도로의 확충 등 토지이용의 변화로 인한 경관파편화를 조사하고, 비오톱 조사결과와 비교하여 생물 종풍부성에 미친 영향을 파악해 보았다. 취락확대는 동부 산림구역을 제외한 시가지에 연접한 전 구역에서 이루어졌고, 도로밀도는 지역간 도로의 교차로가 있는 남북 구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관파편화가 종풍부성이나 개체 풍부성에 미친 영향은 동물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조류의 경우 경관파편화 외에 먹이활동이 용이한 수변환경에의 근접성이 중요하게 작용하여 파편화 정도가 높은 남북(N2, N3, N4, S2) 구역에서도 종풍부성이 높게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는 조류에 비해 출현 종수의 존간 편차가 거의 없기는 하나, 파편화가 클수록 종풍부성이 낮아지는 경향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청주시의 지속가능한 녹지관리를 위해서는 경관생태에 대한 정보 축적을 기반으로 하여 경관생태계획과 도시계획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요구되고, 다양한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와 또한 인접한 청원군과의 월경 녹지관리 협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도시주변 능선녹지를 배경으로 하는 아파트 경관의 시각적 영향 - 물리적 경관변수 및 와시점분석에 의한 다각적 접근- (Assessing Landscape Impacts of Apartment Complex on Suburban Hilly Openspace; Multilateral Approach by Analysis of Physical Landscape Variables and Eye Fixation Movements)

  • 최윤;조동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103
    • /
    • 1994
  • In recent years,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open space and greenbelt surrounding the urban landscapes have been changed with sprawling of residential areas and highrised residential buildings. Since these natural areas being the background element of residential areas are topographically sloped mountains in many cities. It is easy to be seen in the distance and it is important to preserve these areas as a visual infrastructure of the urban landscap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tract the factors of landscape impact evaluation for these areas and to clarify the physical landscape variables representing these factors, and to infer the visual-perceptional relationships between image and landscape variables. As results, conceptional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with semantic differential evaluation to classified 18 landscape slide, and three regression models were established with factor score of landscapes and physical variables measured in photographs. On the basis of these relationships, visual-perceptional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by analyzing the data form eye-movement recording to each of landscapes. The factors of "spatial unfolding of backdropped hilly greenspace", "horizontal quence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landscape complexity" prove to be important. And it prove important variables of "skyline of mountainous ridge" and "visual edge of building structure" in regression models and eye fixation movements.

  • PDF

토지이용형태가 도시열섬현상에 미치는 영향 - 충주시를 사례로 - (Effects of Land Use Pattern on Urban Heat Island in Chungju City)

  • 윤용한;배병호;김원태;박봉주;조성모;조현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9호
    • /
    • pp.1063-1069
    • /
    • 2007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and intensity of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by the seasons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and use in Chungju City. Highest temperature and lowest moisture areas of the urban were very similar to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districts, on the other hand, lowest temperature and highest moisture areas were distributed in manufacturing districts, green zones and the Hoam Lake. If appear at intensity of the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commercial districts, wind direction and the rise of temperature, we could observe the remarkable expansion of high temperature from commercial districts toward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of downwind in all seasons. In case the effect of the wind was not significant as well, high temperature in commercial districts appeared tendency that a little spread to 1, 2 residential districts around. But checked up the intimate 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moving heat and wind, when out of consideration that size of area was not much compared than residential areas of downwind affected by the wind. These phenomenon was relatively obvious in summer, the other side, in spring and autumn appeared a similar tendency.

옥상녹화 및 토양피복 변화가 단독주택지 외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by Green Roof and Land Cover Change in Detached Housing Area)

  • 김정호;윤용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47
    • /
    • 2011
  • 단독주택지의 도시환경보전 및 개선을 위해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일원의 단독주택지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생태 면적률 개념을 적용한 비오톱 유형화와 도시열환경 예측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생태면적률 개념을 적용하여 비오톱 유형 분류 결과 총 7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옥상녹화 미적용 건폐지비오톱(48.16%) > 불투수비건폐포장비오톱(39.75%) > 전면투수녹지비오톱(6.23%) > 틈새투수비건폐포장비오톱(3.26%) > 전면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2.51%) > 부분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0.04%) 순이었다. 단독주택지 외부 열환경 특성 및 변화 예측을 실시한 결과, 비오톱 유형별 지표면 온도값은 불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 > 옥상녹화미적용건폐지비오톱 > 전면투수녹지비오톱 > 투수포장지비오톱이 순이었다. 옥상녹화 100% 적용을 가정한 case 2의 경우 최대 $33.58^{\circ}C$, 최소 $23.85^{\circ}C$였고, 평균 $27.74^{\circ}C$로서 옥상녹화 전에 비해 약 $5.19^{\circ}C$ 감소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평균 외기온도는 case 2가 case 1보다 약 $0.18^{\circ}C$ 낮게 분석되었다.

  • PDF

선택실험을 이용한 서울 도시녹지 어메니티의 경제가치 평가 (Measuring Economic Values of Amenity Services from Urban Greenspa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Choice Experiments)

  • 최성록;엄영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5-138
    • /
    • 2018
  • 도시녹지공간은 정주공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녹지공간에 대한 조망과 접근성을 중심으로 주택 유형과 거주 유형을 일반화하여 대부분의 거주민이 향유하는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선택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응답자의 주택 유형은 아파트형(n = 500)과 단독형(n = 500)으로 구분하고 거주 유형은 소유형과 임대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다른 모든 조건이 같을 경우 녹지 조망이 있는 아파트는 앞 동의 아파트를 거실조망으로 가지는 아파트에 비해서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택비용(소유 또는 임대) 대비 산림의 경우 가구당 평균 28%(5.0백만 원/년) 더 지불할 의향이 있었고, 그 다음으로 하천 22%(4.0백만 원/년), 공원 10%(1.8백만 원/년) 순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도보 10분 이내에 녹지가 있을 경우는 그렇지 않은 거주지 대비 아파트형의 경우 각각의 녹지 유형에 따라 가구당 평균 16%(2.9백만 원/년), 20%(3.6백만 원/년), 18%(3.2백만 원/년), 단독형의 경우 각각 18%(4.7백만 원/년), 16%(4.1백만 원/년), 22%(5.6백만 원/년) 더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독형 주택의 경우에는 정원/마당 유무에 따라 가구당 평균 35%(8.9백만 원/년) 지불의사액 차이가 있었다. 전통적으로 주택가격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예, 역세권, 학군 등)의 선호도 크기와 비교했을 때 도시녹지 프리미엄이 서울의 정주여건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히, 도시녹지 프리미엄은 단독형 주택의 경우 강남3구를 중심으로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반면, 아파트형 주택의 경우 최근에 급부상 하고 있는 부동산 신흥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선호도를 견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정주공간의 주변 여건에 따라서 그리고 주택 유형에 따라서 거주자들의 도시녹지 선호도가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서 차별화된 관리정책의 필요를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