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t period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전통 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 - 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 - (Spatial Analysis of Communal Folk Belief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n Bangchon Traditional Village -)

  • 박의준;이정록;천득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1-142
    • /
    • 2002
  • 인간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그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신앙체계는 인간이 특정 지역을 점유하고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된 하나의 공간적 행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하나인 공동체 신앙은 마을이라는 공간을 점유하고 발현되었다는 점에서 전통 사회 마을 구성원의 공간인식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의 특성을 공간적 관c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지역으로는 전통문화마을로 지정된 전라남도 장흥군 방촌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방촌마을은 내동, 계춘, 탑동, 호동. 호산, 산저, 신기의 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을의 입지과정은 고려시대 이후 시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 둘째, 방촌마을의 공동체 신앙은 크게 7개의 입석과 돌장승, 별신제터와 허제비골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방촌마을 공동체 신앙은 크게 마을과 마을의 경계 표시, 마을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 마을의 중심공간 표시, 마을의 입구와 외곽 경계 표시라는 공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신앙과 상징이라는 의미 이외에. 과거 전통사회 자연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는 지시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병렬제어를 적용한 8kW급 영전압/영전류 풀 브릿지 DC-DC 컨버터 개발 (Development of 8kW ZVZCS Full Bridge DC-DC Converter by Parallel Operation)

  • 노민식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00-408
    • /
    • 2007
  • 본 논문에서의 병렬제어를 이용한 8kW급 대용량 영전압/영전류 풀 브릿지 DC-DC 컨버터의 개발 결과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시스템 구성을 위해 4-병렬 단위 모듈 운전을 제안한다. 각 단위모듈은 위상 천이 풀 브릿지를 채택하고, ZVZCS 운전을 위해 간단한 보조 회로를 2차측에 추가하였다. ZCS를 위한 보조 회로 동작 로직은 환류 모드 구간에서 1차측 전류를 제거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병렬 운전시의 출력 전류의 균등 제어를 위해 위상천이로직을 활용한 Charge Control 방식을 적용하였다. 전압 제어기는 DSP TMS320LF2406을 활용하여 4 모듈의 출력전류 및 출력전압을 A/D로 입력받아 구현하였다. 개발된 컨버터는 차량에 설치되는 고속 발전기용 전력 변환기에 장착되었으며, 구축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고속 발전기의 실제 운전 조건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여, 분석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하였다.

길입성 진전의 병태생리: 다증 증례 연구 (Pathophysiology of orthostatic tremor: a multiple case study)

  • 서만욱;이광우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4권1호
    • /
    • pp.44-50
    • /
    • 2002
  • Introduction : Orthostatic tremor develops in the legs while standing up with no weakness, pain or imbalance in the leg and the tremor is characteristically not observed when walking.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confusions about orthostatic tremor in several aspects. For the past ten years, we have observed 4 patients with orthostatic tremor. In each case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ollowing three important areas of inquiry about orthostatic tremor. Firstly, whether this disorder is an independent diagnostic entity or a variant of essential tremor. Secondly, whether the progress of this disorder is specifically related with standing posture. Lastly, the nature of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 behind the appearance of the tremor when standing after the lapse of a certain latent period and its disappearance upon the commencement of walking. Methods : Our 4 cases of orthostatic tremor were studied clinically, electrophysiologically, and pharmacologically. Electrophysiological tests included tremor spectrum test and electromyography. Results : We observed the presence of this tremor in several other tonic postures, as well as its absence, in a vertically lifted position from all our cases. Our cases registered a variable tremor frequency between 5 and 12 Hz according to the tremor spectrum test and EMG. Furthermore all our 4 cases demonstrated patterns of both synchronous EMG activity and alternating EMG activity at various times in homologous muscles of both legs. Orthostatic tremor was improved significantly with propranolol as well as clonazepam. Conclusions : From the results of our study we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It is probable that orthostatic tremor is simply a variant of essential tremor rather than being an independent diagnostic entity and that in most cases its development is specifically related with muscle contraction rather than merely with the act of standing. Furthermore we discovered a clue in the previously described neural control mechanism that the nuclear bag fibers in the muscle spindle have lag time of several seconds in their response to muscle strength and that their baseline does not reset fully in rapidly moving muscle. This neural control mechanism could offer sufficient explanation for the phenomena of tremor appearance when standing and disappearance when walking in orthostatic tremor.

  • PDF

Assessment of acute inhalation toxicity of citric acid and sodium hypochlorite in rats

  • Jinhee Kim;Chul-Min Park;Su Hyun Choi;Mi Jin Yang;Ju-Yeon Lee;Byung-Suk Jeon;Hyun-Ok Ku;Min-Seok Kim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22.1-22.12
    • /
    • 2023
  • Background: Citric acid (CA) and sodium hypochlorite (NaOCl) have been used to disinfect animals to protect them against avian influenza and foot-and-mouth disease. Objectives: We performed a good laboratory practice (GLP)-compliant animal toxicity study to assess the acute toxic effects of CA and NaOCl aerosol exposure in Sprague-Dawley rats. Methods: Groups of five rats per sex were exposed for 4 h to four concentrations of the two chemicals, i.e., 0.00, 0.22, 0.67, and 2.00 mg/L, using a nose-only exposure. After a single exposure to the chemicals, clinical signs, body weight, and mortality was observ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On day 15, an autopsy, and then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fter exposure to CA and NaOCl, body weight loss was observed but recovered. Two males died in the CA 2.00 mg/L group and, two males and one female died in the 2.00 mg/L NaOCl group. In the gross finding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discoloration of the lungs was observed in the CA exposed group and inflammatory lesions with discoloration of the lungs were observed in the NaOCl expos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thal concentration 50 (LC50) of CA is 1.73390 mg/L for males and > 1.70 mg/L for females. For NaOCl, the LC50 was 2.22222 mg/L for males and 2.39456 mg/L for females. Conclusions: The Globally Harmonized System is category 4 for both CA and NaOCl. In this study, the LC50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a GLP-based acute inhalation toxicity assessment.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data to reset safety standards for CA and NaOCl use.

남한 습곡대 중앙부의 중생대 화강암 질암의 생선년대와 냉각사 (Geochronology and Cooling history of the Mesozoic Granite Plutons in the Central Part of the Ogcheon Fold Belt, South Korea)

  • Myung-Shik JIN
    • 암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3-167
    • /
    • 1995
  • 옥천습곡대 중앙부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체의 전암 및 광물연령을 Rb-Sr, K-Ar, 휫션트랙법으로 측정하여, 그들 암체의 관입 정치시기와 지체구조 발달과정인 지열사를 규명하였다. 이들 중생대 화강암체중 Rb-Sr법으로 동시선 연령을 구한 쥬라기의 제천화강암체(~203 Ma)와 문경화강함체(~200 Ma), 그리고 백악기 중기의 무암사화강암체(~110 Ma), 월악산 및 대야산화강암체(~110 Ma)는 모드 스트론치움 초생값($Y^{87}Sr/^{88}Sr)_i$이 0.7100 이상의 값을 나타내여, "I-형"과 "S-형"에 속하여, 지각물질이 혼화된 "M-형"의 마그마로부터 결정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 위의 쥬라기 화강암체는 암상 및 조암광물의 지화학적 연구결과 심부에 정치되어 약 $300^{\circ}C$가지는 급히 낵강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서서히 냉각한 것으로 생각되나, 문경화강암체는 ~110 Ma경에 천부에 관입한 백악기 중기의 월악산, 대야산 화강암체의 높고 큰 열로 동위원소계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인 재평을 이루므로써, 각 연령측 안방법중 연령보존온도 이하의 연령측안시료에서는 실제 제시해야 할 연령보다도 더 젊은, 후기의 지질변동 시기(~110 Ma)를 제시하거나, 부분적인 연령감소를 나타내는 감소된 연령(K-Ar 감섬석 연령: 142 Ma)을 나타내고 있다. 또 백악기 중기(~110 Ma)의 무암사, 월악산, 대야산화강암체와 백악기 중기-말기(~90 Ma)의 속리산 및 형제봉화강암체는 천처에 관입하여 매우 단순하게 그리고 급속히 냉각한 암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