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rvoir sediment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7초

2차원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퇴사량 예측 (Estimation of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Using Two Dimensional Model)

  • 이원호;김진극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21-27
    • /
    • 2008
  • 퇴사는 하천과 저수지의 기능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로 취수구 부분의 펌프 임펠러 손상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저수지의 운영 및 계획,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정확한 퇴사량 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운문호 2차원모형(SMS)을 이용한 퇴사량 예측에 있다. 계획홍수위(EL.152.12m)의 저수용량과 비교할 경우 RUSLE모형의 경우 50년 후 $2,084.09{\times}10^6m^3$, 100년 후 $2,196.65{\times}10^6m^3$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원 모형의 경우 50년 후의 저수량은 $2,227.41{\times}10^6m^3$, 100년 후에 저수량은 $2,121.47{\times}10^6m^3$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용결과 2차원모형은 저수지 퇴사량 산정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안동.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 내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Tissues of Carassius auratus In Andong and Imha Reservoir)

  • 김정숙;신명자;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1호
    • /
    • pp.1562-1567
    • /
    • 2009
  •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환경내 중금속의 오염정도와 서식 어종간의 중금속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호수의 수질,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를 이용하여 중금속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동호와 임하호 수질과 저니내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As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동호와 임하호에 서식하는 붕어의 중금속 함량의 경우 안동호에 서식하는 붕어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며, Cr, Cu, Cd 및 As는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늘, 근육, 뼈 조직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가 크며, 안동호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의 수질과 저니 및 서식어종인 붕어의 중금속 함량은 안동호에서 임하호보다 중금속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안동호와 임하호의 함량차이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동호의 경우 안동호 상류 지점의 폐광산과 농경지로부터 하상퇴적물이 유입되어 하상퇴적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을 붕어가 먹이로 섭취함으로써 중금속 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호소 퇴적물 내부생산성 오염도 영향 평가 및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pollution level and release characteristics by inner productivity in the sediment of lake)

  • 이상은;최이송;이상근;이인호;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1호
    • /
    • pp.81-91
    • /
    • 2012
  • In this study, it is grasped the status of nutrient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release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on reservoir. And then the effect of sediments is evaluated on the water quality in reservoir. In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alysis, the pollution level of midstream is the highest, which shows the traits that the water is more deeper and takes place a deposition consistently. Then, the pollution level of upstream is higher than downstream's because inflow has influence on the upstream directly. The downstream is located near tidal gate so that the soil particles can be moved easily and are difficult to be deposited due to the distribution of seawater by control of tidal gate. Therefore, the downstream is showed the lowest pollution level than the others. Also, the concentration of SOD(Sediment Oxygen Demand) in the upstream which is influenced on the effect of inflow is highest than the others. When it analyzes under anaerobic and aerobic condition to understand the release characteristic of sediment, it shows that the release rate is low or negative under the aerobic condition. Whereas the release rate is usually positive under the unaerobic condition relative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roper environmental factors of water body for decreasing the release rate of sediment. Because the release rate is changeable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 of water body. Therefore, proper strategies are required for increasing the self-purification of water as well as keeping the aerobic condition of sediment and managing a sediment layer directly to control the inner-pollution by the sediment of reservoir.

호우발생시 저수지 유입 부유사농도의 변화특성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Reservoir due to a Rainstorm)

  • 장수형;박무종;윤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43-54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우시에 저수지로 유입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고 저수지내 부유사 농도의 변화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정량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는 탐진댐에 적용되었으며 강우유출관계는 Huff의 강우분포와 Clark의 유역추적법을 사용하였으며, 저수지 추적은 Puls방법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출량의 산정은 범양토양손실공식을 분포형 개념을 이용 단일호우에 대해 적용하여, 적정 빈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저수지내에서의 부유사 농도는 2차원 수리모형인 RMA-4를 이용하였다. 연구 수행결과 호우발생시 저수지에서의 취수가능기간에 대한 계산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재현기간 및 강우량에 따른 여러 측면에서 용수공급에 따른 일정 수질 유지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강우시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하다.

관개용 저수지의 퇴사량과 유역 유사량 추정식 (Predictive Equations for Deposits and Sediment Yields at Irrigation Reservoirs)

  • 김진택;박승우;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4-115
    • /
    • 1993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to develop predictive equations for reservoir deposits and watershed sediment yields based on sediment survey data for irrigation reservoirs. Hundred reservoirs of various sizes, which have the surveyed data for sediment deposits, were chosen and fourteen watershed physiological and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Correlationships between watershed parameters and sediment deposits were investigated and a best fit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which may be applied for estimating reservoir sediment deposits. The sediment deposits were converted to the watershed sediment yields by applying the trap efficiencies and specific weights. The resulting sediment yields were related to watershed parameters and an empirical predictive equation was also proposed that may be used for rough estimations of watershed sediment yields.

  • PDF

대청호 저토의 N, P및 Si 영양염 함량과 조류생장잠재력 (The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Silicon Nutrient and Algal Growth Potential (AGP) in the Sediment of Taechong Reservoi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06-118
    • /
    • 2001
  • 대청호내 3개 지점에서 저토의 영양염을 조사하여 수층과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생장 잠재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저토-수층의 경계면에서 DO는 0.5 mg $O_{2}$/l 이하로서 무산소 상태였다. 공극수의 전기전도도는 저토보다 1.9${\sim}$2.6배 더 높았고 수심이 얕을수록 변동폭이 컸다. Eh는 -12${\sim}$-148mV 범위였고 가비중은 1.17${\sim}$1.30g/cm$^{3}$ 범위로서 지역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함수율과 유기물 함량은 각각 58%${\sim}$72%, 8${\sim}$13% 범위로서 댐 부근에서 높았고 옥천천에서 낮았다. 저토의 입도 조성은 사질이 97%를 차지하였다. 저토내 총세균수와 규조류의 세포밀도는 수심이 깊은 하류에서 높았다. 공극수와 치환성의 질소와 인 함량에서 입자성이 용존성보다 풍부하였고, 무기 질소로는 NH$_{4}$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유기와 무기 질소 형태로 볼 때, 공극수내 질소함량은 무기 질소가 많았고, 치환성 질소는 유기 질소가 많았다. 공극수 인 함량에서 용존 유기 인이 많았고 치환성은 무기 인이 많았다. 저토내 규소는 치환성이 최대 63%로서 공극수보다 훨씬 많았다. 대청호의 저토는 유기물이 풍부한 부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 PDF

Prediction of reservoir sedimentation: A case study of Pleikrong Reservoir

  • Thu Hien Nguyen;XuanKhanh D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36
    • /
    • 2023
  • Sedimentation is a natural process that occurs in all reservoirs. Sedimentation problem reduce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reservoir and limits its ability to provide water for various uses, such as irrigation, hydropower generation, and flood control. Therefore, predicting reservoir sedimentation is important for ensuring the efficient operation and sedimentation management of a reservoir and . In this study, the HECRAS model was applied to predict longitudinal distribution of deposited sediment in the Pleikrong reservoir to 2050. Different scenarios was considered: (i) no climate change, (ii) climate change (under two emissions scenarios, RCP4.5 and RCP8.5), and (iii) climate change and land use change (followed land use planning of the watershed). The computation results with different scenarios were analyses and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servoir reduced storage volume's rate and sedimentation proceed toward to the dam in the case of climate change is faster than in the case of no climate change. Analyses also indicates that following the land used planning could also improve the long-term problem of the reservoir sedimentati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a sustainable plan of sediment management for the Pleikrong reservoir.

  • PDF

호소 퇴적물의 유기물 분포 (Distribution of the Organic Contents in Reservoir Sediment)

  • 황종연;한의정;유순주;윤영삼;천세억;김태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2호
    • /
    • pp.95-107
    • /
    • 1999
  • The organic contents of reservoir sediment can offer a good indicator to events in history of lake life. Reservoir sediment have many information of the past and future fingerprint about development direction of life cycle in biological animals. So,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know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ntents in Daecheong reservoir sediment. Items for this investigations are such as follows: Loss on ignition, COD, Organic carbon, TN, TP, heavy metal contents, Loss on ignitions were determined in 6.44~15.91% and COD were determined in 1.606~6.859%, organic carbon in 1,077~3.743%. Contents of TP and TN were in the range of 0.083~0.757%, and 0.645~0.926%, respectively.

  • PDF

금강권역의 호소 및 하천 퇴적물 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and Stream Sediments in Kum River basin)

  • 황종연;한의정;김태근;유순주;윤영삼;정용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135-143
    • /
    • 1998
  • In order to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rvoir and stream sediments, various analysis tests were conducted. Water contents and ignition loss were measured to know the primary sediment characteristics. The COD, total phosphorus and nitrogen were containe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ic substance content.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ontamination degree of heavy metals, some heavy metal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heavy metal contents, reservoir sediments showed somewhat higer value than stream sediments. As a result, the reservoir sediment content of all analysis items were higher than stream sediment.

  • PDF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내 퇴사분포 예측 (Prediction of Sediment distribution in Reservoir Using 2-D Numerical Model)

  • 김기철;김종해;정구열;김현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8호
    • /
    • pp.729-7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입유사에 따른 저수지 내 퇴사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효율적인 저수지 관리를 위하여 2차원 수리 유동 모형인 RMA-2와 유사이송 모형 SED2D를 사용하여 76년 장기 퇴사분포를 예측하였다. 모형의 입력 자료인 수위-유량자료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측한 실시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유사량 자료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개발한 K-DRUM 모형을 사용하여 대상영역의 유사량 값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갈수기시 저수지내 단면 코어채취를 수행하여 퇴적깊이를 모형 결과와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저수지 내 퇴적깊이는 비교적 실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장기 퇴사분포예측은 2012년 실측한 지형자료를 시작단면으로 하여 2088년까지 76년간 모의를 수행하였다. 모의결과 합천댐 상류구간에서 1.63~1.26m, 하류구간에서 1.45~0.007m의 퇴적층이 형성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침식보다 퇴적이 우세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