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earch and Mutual Help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물류아웃소싱 서비스에서 계약서 조항과 성과 간 관계에 대한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의 인식 비교 분석 (Evaluating the perception of logistic firms and shipp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 term and service performance in logistics outsourcing service)

  • 김진수
    • 통상정보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1-178
    • /
    • 2016
  • 본 연구는 공정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간 거래상 지위로 인해 발생하는 불합리한 계약 관행을 예방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호 이익실현을 위한 관계 구축과 긍정적인 파트너쉽 구축에 도움을 주고자 물류계약의 불공정 사례의 실제 사례를 통하여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물류기업과 화주기업을 대상으로 물류계약서 조항의 구체화와 파트너쉽 그리고 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인식조사의 결과 분석과 함께 연구자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분석을 하였다. 인식조사의 분석결과, 물류기업은 물류계약서 조항 중 비용발생조항과 위험발생조항의 구체화는 화주기업과의 파트너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화주기업은 비용발생 조항의 구체화는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물류기업의 인식은 선행연구에서 실증 연구한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화주기업의 인식은 선행연구에서 이루어진 연구 결과와 일치 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화주기업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향후 표준계약서 배포를 위한 정책마련에서 필수적으로 구체화 되어야 하는 조항과 선택적으로 구체화 되어져야 할 조항에 대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매사냥' 공동등재의 특성과 의의 (The Significance of the Joint Inscription of Falconry to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황경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208-223
    • /
    • 2018
  •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제도가 다 국가 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어떠한 전략과 쟁점을 통해 실현되는지에 주목하고, 이로써 공동등재제도의 특성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논의 대상으로 한국을 포함한 18개 국가가 2010년에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공동등재한 '매사냥' 사례를 분석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사냥의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 참가국들은 등재신청서 작성을 통해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등재제도의 취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매사냥의 등재가 결과적으로 무형유산 전체의 가시성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등재신청서에 반영한 것이 2010년 공동등재와 2012년 등재확대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동등재 추진의 특성상 참가국들은 공유유산을 매개로 협력과 소통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상호간의 문화와 민족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 이것은 공동등재를 통해 국가의 협력과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유네스코 이념의 실천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셋째, 인류무형유산 매사냥은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이행지침에 의거하여 지속적으로 참여국가가 확대됨으로써 공동등재에 있어 모범적 사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동등재의 확대는 특정 무형유산의 소유자를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발생하는 국제 간 긴장을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협약의 취지에 대한 당사국의 이해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전통시장의 사회적 가치 요인이 만족도, 충성도 및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Value of Traditional Market on Satisfaction, Loyalty and Local Attachment)

  • 김충환;정석오;정연승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59-68
    • /
    • 2017
  • Purpose - The year 2016 marks 20 years since the opening of Korean distribution market in 1996. After this opening, the domestic market expanded and modernized, and has grown to become an advanced distribution market with a greater range of consumer choices. On the other hand, traditional markets have waned and their management has become worse. However, traditional markets do not have economic value alon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value in traditional market such as the value of Cultural Tourism and the value of Sharing Community with Traditional Market on Satisfaction, Loyalty and Place Attachment of the resid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was organized for this study after a hypothesis was set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was undertaken by statistically analyzing questionnaire responses. Pers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of 300 responses were collected, of which 228 responses (76%) were from women. The survey coverage was divided into 10 regions ranging from metropolitan areas to the provincial level, and the age groups were divided into 30s to 60s to ensure diversity of the area and age. Results - To summarize the study result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in terms of meaningful influence, it appears the values of Cultural Tourism to Satisfaction and Loyalty are supported. On the other hand, the value of Sharing Community is only supported for Satisfaction. It appears that Satisfaction to Loyalty and Loyalty to Place Attachment are meaningful effects. The mediator effect was also reconciled through satisfaction and loyalty. Loyalty was analyzed in terms of mediating the effect of satisfaction on place attachment. Conclusions - It is noted in this study that government support is required to preserve traditional markets and renewal program. Community requires multilateral communication and the formation of effective relationships. In contrast to the economic value emphasized by large retailers,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non-economic effects of traditional markets has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socio-cultural values in traditional markets. In the future, socio-cultural values and economic values should be integrated into more empirical studies through mutual comparison. Investigat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social value in traditional markets will help the future formulation in government policy.

인슐린의존형 당뇨병 환아 어머니의 돌봄 경험 (Caring Experience of Mothers with IDDM Children)

  • 최미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1-92
    • /
    • 1998
  •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aring experience of mothers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children, by finding core category, contextual factors, ntervening factors, and the patterns of caring, and to velop a practice theory on it. Research method followe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Subjects were six mothers. whose children have had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for 4 months to 14 years by the interview time. They were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95 to January, 1996. Interview were done by long interview technique and observation. Each interview took 50 minutes to 2 hours. Content of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lat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interview, content of next interview was planned until data reached to the saturation point. Results were as follows : One hundred and forty concepts were found. These concepts were grouped into thirty-three categories, and then to ten categories. Mothers with diabetic child were revealed to face “being overwhelmed by burden”. Overwhelming by burden is found to be progressed through the cycle production-coping-decrease or in crease process. Mothers showed four patterns of adaptation in caring the diabetic children. 1) If mothers felt large amount of overwhelming by burden because of difficulty of caring and unsympathizing but they had sufficient support, no condition of the child, and their coping mechanism was positive, most of them overcome with strong will, but some fell into burnout. 2) If mothers felt large amount of overwhelming by burden because of difficulty of caring, unsympathizing, insufficient support. serious condition of the child, and their coping mechanism was negative, they fell into burnout by coping with feeling. 3) If mothers felt small amount of overwhelming by burden because of little difficulty of caring and sympathizing, sufficient support. no serious condition of the child, but their coping was negative, most of them fell into burnout by coping with feeling, but some overcome. 4) If mothers felt small amount of overwhelming by burden because of little difficulty of caring and unsympathizing, sufficient support, no serious condition of the child, and their coping was positive, they overcome with strong will.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 in order to help mothers take good care of their children, nursing assesment and intervention on life readjustment, and getting support should be required. Especially, through understanding mothers' personalities, individual support consistent with each of them should be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counseling, mutual support and exchange of information will have to be accomplished.

  • PDF

뷰티케어분야에 있어서 디지털 혁명 기술 관련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수용 의도 분석 (Analyzing instructors' intention to accept digital revolution technology-related education in beauty care)

  • 윤미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12-424
    • /
    • 2023
  • 본 연구는 뷰티 분야에서의 디지털 기술 진보에 따른 변화의 해결방안으로 뷰티 교수자들의 신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하여 뷰티산업을 이끌어 갈 예비 뷰티전문가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전문적인 디지털 관련 기술 교과목을 적용하여 디지털 뷰티 전문가 배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수자의 혁신의지,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 등의 독립변수가 유용성 및 용이성 등 매개변수가 어떤 경로로 기술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뷰티분야에서 신기술 관련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뷰티전공 교수자의 디지털 신기술 수용의도를 분석한 결과 신기술에 대한 혁신 의지와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인 용이성과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뷰티 분야에서 신기술 적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교과목 개선이 필요하다고는 강하게 인식하고 있으나, 교수자 스스로의 신기술 응용에 대한 두려움을 크게 느끼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신규 교과목 적용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뷰티분야 교수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 교육 관련 교재개발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디지털 신기술 및 IT관련 학과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뷰티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에 대한 이해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상호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뷰티분야 맞춤형 디지털 신기술 교육프로그램 개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Web-Based Ventilator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 최영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84-5291
    • /
    • 2012
  • 본 이 연구는 간호현장의 간호요구를 반영한 웹기반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간호업무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교육프로그램은 ISD 모델 구축과정인 분석, 설계, 개발, 운영, 평가의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2011년 4월부터 7월까지이며,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분석단계에서 문헌고찰과 요구도분석,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기술 및 환경분석 등이 실시되었다. 이 과정에서 인공호흡실무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았고 대상자의 다수는 30세 이하로 3년 미만의 중환자실 경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설계단계에서는 내용전문가 집단이 제공한 콘텐츠 교육내용을 프로그램 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정보설계, 상호작용설계, 동기설계가 시행되었다. 또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학습단원의 정보를 구분하여 구성하고, 각 주제 단원마다 그래픽, 음성, 동영상을 삽입하여 교육의 효과를 증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돕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포함하여 설계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이야기 전개도를 작성하고 관련문헌과 자료 검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 제작하였다. 운영 및 평가단계에서는 개발된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전문가와 대상자로부터 교육프로그램을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본 웹기반 '인공호흡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구축단계에서 간호실무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개발되어 간호업무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차장 램프의 종단곡선 제원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Dimension of Vertical Curve Elements at Parking Lot Ramps)

  • 권성대;김윤미;홍정표;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07-616
    • /
    • 2015
  • 최근 설치되는 주차장은 한정된 지상공간 및 건축물의 대형화, 지하화로 인하여 옥상이나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주차장 램프의 경사를 17%이하로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주차장 램프 진입시 램프의 종단경사가 다소 급한 경우에 자동차의 차체와 경사로 바닥이 부딪치는 현상을 경험하거나 또는 경사로 바닥이 손상된 흔적을 자주 접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주차장 램프의 시 종점부에 대한 종단해석을 통하여 자동차 및 경사로 바닥과 접촉되지 않는 적정한 종단곡선의 제원을 제시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 및 동승자의 승차감과 안전성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불특정 다수가 많이 이용하는 대형 건축물 주차장 램프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주차장의 시점부 및 종점부에 대한 이론적 분석으로 상호 접촉여부를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주차장 램프의 종단곡선 제원 산정을 위한 종단곡선 해석과 제원을 제시하였다. 또한, 종단곡선의 길이에 대한 분석 값과 일반식을 이용한 산정 값이 최소 0.4mm에서 최대 5mm이내의 차이로 적은 오차를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종단곡선을 적용할 경우 자동차 및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운전자의 승차감 및 안전성 확보는 물론 주차장 램프의 종단 설치기준이 재정립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택시장의 동태성 분석을 위한 시스템 사고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인과순환지도를 중심으로 - (Analyzing Dynamics of Korean Housing Market Using Causal Loop Structures)

  • 신혜성;손정락;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144-155
    • /
    • 2005
  • 1950년대 이후 주택수요의 급격한 증가와 낮은 주택투자로 인한 만성적 주택부족 사태는 정부 주도의 주택공급정책에 의존해 오고 있다. 주택시장이 수요와 공급에 의한 자율적 가격결정구조를 가지지 못하고 정부 정책에 따라 인위적으로 움직임으로써 주택가격은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고, 아파트 미분양 등에 의한 건설사의 수익성 악화나 중소건설업체의 부도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건설기업이 주택시장의 구조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부의 정책에 시기 적절히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주택시장적응력을 상실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정부도 주택시장의 가격에 의존한 단기적 정책 효과만을 의존함으로써 주택시장의 가격결정시스템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 것이다. 즉, 주택시장의 동태적 환경시스템이라는 숱을 보지 못하고 정부 정책에 의한 단기적 영향요인이라는 나무만을 봄으로써 나타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 시장을 주택수요 영향변수와 주택공급 영향변수 그리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 환경적 영향변수들을 분류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시스템 사고와 전통적 소비자 선택이론에 입각하여 연결함으로써 이에 의해 구성되는 인과순환구조를 구축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택시장이 가지는 동태성의 장기적인 형태를 피드백 루프의 존재를 통해 확인해 줌으로써 주택시장의 역동적 변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국내외 모바일 기반 아토피피부염 개인건강기록 애플리케이션 현황 (The Stat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of Atopic Dermatitis : An evaluation of features and functionality)

  • 윤영희;안진향;이보람;김현호;정원모;장보형;고성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3-112
    • /
    • 2015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tatus of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mPHR) applications of Atopic Dermatitis, assess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ontent, features of PHR content and functions. Method : Searches were conducted from Android's Google Play and iOS's App Store. Main criteria used to include mPHRs were: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f PHR function of Atopic Dermatitis; operating in Korean or English; for human. Selected mPHRs were analyzed consid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contents, data elements, and application features. Results : 19 applicat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5 were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Data elements of information included general information, symptom, diagnosis, treatment, prevention, management and FAQ. No single application contained all seven data elements. Only Eight applications had PHR function. In the features analysis, one PHR applications contained all eight PHR functional features; saving profile function, profiles supported, password, import data, export data, information provided, progress chart and push-up alarm. Conclusion : mPHR is an emerging health care technology. The majority of existing mPHR applications only provide one-way information. Application designed to help users and doctors to exchange mutual information was the only one. Also, there was no application that can recor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al treatment information. However, as the mobile market continues to expand it is likely that more comprehensive mPHRs will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New advancements in mobile technology can be utilized to enhance Tranditional Korean Medical health care.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구강관리 및 노인구강위생관리에 따른 구강보건지식 수준 (Oral health knowledge level on oral care and elder oral hygiene care of the nursing home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경민;박영남;이민경;이정화;윤현서;진혜정;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23-730
    • /
    • 2014
  •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geriatric care workers' oral care, and the oral care conditions of residents of elder care facilities in relation to workers' knowledge of oral car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1 to February 2012 with geriatric-care workers in elder care facilities located in Busan and other areas of Gyeongsangnam-do. Results : With regard to their oral self-care practices, 52.5% of the geriatric workers "brushed their teeth from top to bottom" and 58.1% brushed their teeth 3 times a day. Further, 52.0% did not use any oral care products, while 36.5% used Mouthrinese. The workers who brushed their teeth in their own ways or from top to bottom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care knowledge scores than those who brushed from left to right (p<.05). Concerning oral hygiene care for residents, 72.6% of the geriatric workers recommended that elders visit dentists for oral care, 96.6% helped elders oral wash their teeth every day, and 54.7% used oral care products for the elders. The workers who did not recommend visits to dental clinic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p<.05). Additionally, those who did not help elders oral wash their teeth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p<.05). Except for oral wash to recuperated old man and recommendation of visiting the dentist, relation between oral care and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oral hygiene care is plus mutual relation. Conclusions : To manage the accuracy and quality of oral care work performed by geriatric care workers in elder care facilities, enhancing standard training and education on oral care is necessary. Providing systematic, regular education on such knowledge and practices would also be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