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lica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7초

세종대왕기념관의 유물 편종과 현대 편종의 음향 스펙트럼 비교 (Comparison of Sound Spectrums of Pyeonjong Remains at the King Sejong Memorial Museum and Pyeonjong Replica)

  • 유준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22-22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편종의 조율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물 편종과 현대 편종의 음향 스펙트럼을 비교분석하였다. 유물 편종은 세종대왕기념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편종을, 현대 편종은 국립국악원에서 연주되는 편종을 사용하였다. 음향 스펙트럼과 TV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모드분석을 통해 현대 편종의 모드진동수와 모드형상을 파악하였다. 유물 편종의 경우는 음향 스펙트럼 분석만 하였다. 각각의 음고에 해당하는 현대 종과 유물 종의 기명진동수는 9.8 센트부터 203 센트까지 차이를 나타냈다. 유물 편종의 조율 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점, 현대 국악에서 기준 황종음고를 서양의 C4로 정하는 경향 등을 그 차이의 원인으로 해석할 수 있다. 편종의 음색을 결정하는 고차 모드진동수의 기명진동수에 대한 상대적인 비율을 조사한 결과, (3,0)a와 (3,0)b모드를 제외한 모든 고차 모드진동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최소가지진동수 이상이었다 이것은 유물 편종과 현대 편종 사이에 음색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조율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유물 편종에 대한 추가적인 음향 분석, 주물 분석 및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Phase Transition of Confined Gold Nanoparticles: Replica Exchange Molecular Dynamics Study

  • Kim, Hyun-Sik;Li, Feng-Yin;Jang, Soon-M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3호
    • /
    • pp.929-932
    • /
    • 2012
  • The classical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was used to study the phase transition of gold nanoparticles under confinement using Sutton-Chen (SC) potential. Metal gold nanoparticles with different number of atoms are subject to replica exchang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for this purpose. The simulation showing the solidto-liquid melting temperature largely remains unaffected by confinement, while the confinement induces characteristic pre-melting at very low temperature depending on atom number in nanoparticles.

경수로 압력용기 모의실험 PCA-REPLICA 차폐 벤치마크 해석

  • 길충섭;김정도;황원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63-168
    • /
    • 1998
  • 경수로 압력용기의 취화는 주로 고속 중성자에 기인한다. 경수로 압력용기를 모의한 PCA-REPLICA실험을 해석하여 원자력 시설의 구조재로 쓰이는 철의 핵자료 검증과 MATXS/TRANSX/DANTSYS 계산체제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라이브러리는 JEF-2.2를 이용한 KAFAX-F22가 기본 자료로 이용되었고, 이밖에 ENDF/B-Vl.1과 JENDI.-3.2의 철 핵자료도 비교 검증하였다. 계산결과는 실험오차 등을 고려하면 측정치와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고, 앞으로 개발될 차폐해석용 라이브러리 검증에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겠다.

  • PDF

Fabrication of high ordered nano-sphere array on curved substrate by nanoimprint lithography

  • 홍성훈;배병주;이헌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7-127
    • /
    • 2008
  • The replica of highly ordered nano-sphere array patterns were fabricated using hot embossing method. The polymer replica was coated with silcon dioxide layer and self-assembled monolayer. Using UV nanoimprint lithography with the template, highly ordered nano-sphere array patterns were clearly fabricated on curved substrate.

  • PDF

A New Material for Rapid and Easy Method of Plant Surface Imprinting

  • Bhat, R.B.;Etejere, E.O.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4호
    • /
    • pp.329-332
    • /
    • 1985
  • A simple new device for obtaining very clear epidermal imprints for light microscopic studies is discussed. This new device is developed from“Britfix”(polystyrene cement) which is non-toxic to the plant organs. It involves direct application of the material on the desired surface of the plant organ to obtain thin, transparent replica. From the present investigation“Britfix”is found to be useful for the study of epidermal anatomy, morphology and physiology. Epidermal imprints can be mounted on the microscope slide without a mounting medium. Permanent slide of these imprints can be kept for any desired period without any deterioration of the replica.

  • PDF

Evaluation of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three different dental prostheses: comparison of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and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 analysis

  • Park, Jin-Young;Bae, So-Yeon;Lee, Jae-Jun;Kim, Ji-Hwan;Kim, Hae-Young;Kim, Woong-Chu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3호
    • /
    • pp.159-169
    • /
    • 2017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s, and the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s of three different methods of dental prostheses fabrication, and to compare the prostheses prepared using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SRT) and those prepared using the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 analysis (3DSA). MATERIALS AND METHODS. Five Pekkton, lithium disilicate, and zirconia crowns were each manufactured and tested using both the SRT and the two-dimensional section of the 3DS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nonparametric version of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rank-transformed values and the Tukey's post-hoc test (${\alpha}=.05$).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fabrication methods in the marginal gap (P < .010), deep chamfer (P < .001), axial wall (P < .001), and occlusal area (P < .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lusal area was found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s (P < .030),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rginal gap (P > .350), deep chamfer (P > .719), and axial wall (P > .150). As the 3DSA method is three-dimensional, it allows for the measurement of arbitrary points. CONCLUSION. All of the three fabrication methods are valid for measuring clinical objectives because they produced prostheses within the clinically acceptable range. Furthermore, a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 analysis verification method such as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is also applicable in clinical settings.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digital technique with two-dimensional replica method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 Hasanzade, Mahya;Koulivand, Soudabeh;Moslemian, Naeime;Alikhasi, Marzieh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73-18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digital (reference point matching) and replica methods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maxillary left first molar typodent was fixed on to an aluminum base and prepared to receive all-ceramic full coverage restoration. The model was scanned with an intraoral scanner (CEREC Omnicam, Sirona, York, PA, USA). Twelve crowns were fabricated from lithium disilicate block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and then crystalized.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each restoration was measured by two examiners using replica and a new digital three-dimensional techniqu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thods and two examiners was assessed by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P<.05). A Bland-Altman assessment for agreemen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methods. RESULTS. Bland-Altm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mean of difference for marginal, absolute marginal, and axial gap was respectively -1.04 ㎛, -41.9 ㎛, and -29.53 ㎛ with limit of agreement (LOA) between -37.26 to 35.18 ㎛ for marginal, -105.85 to 22.05 ㎛ for absolute marginal and -80.52 to 22.02 ㎛ for axial gap. Positive correlation for repeatability (P<.05) in determining marginal and internal gaps by the two examiners in both techniques was revealed. Reliability of both techniques in all sites of measurements was at least good (0.8 ≤ α < 0.9). CONCLUSION. Both measuring techniques appeared highly reliable for evaluating fit of fixed dental restorations, while reference point matching provided higher values in axial and absolute marginal gap assessment.

데이터 그리드를 위한 효율적인 Peer-to-Peer 기반 복제 정책 (An Efficient Peer-to-Peer Based Replication Strategy for Data Grid)

  • 오상원;이원주;전창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2호
    • /
    • pp.10-1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그리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Peer-to-Peer 기반의 효율적인 복제 정책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기존의 데이터 복제정책에 Peer-to-Peer 개념을 추가하여 계층구조로 인한 데이터 전송 제한을 줄인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계층 노드의 저장장치 일정 부분을 임계구역(critical section)으로 설정하여 데이터 복사본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 계층 노드간의 데이터 복사본 전송과 클라이언트 계층 노드에서 상위 계층의 데이터 복제 서버로 데이터 복사본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계층 노드간의 데이터 복사본 전송은 데이터 서버 또는 데이터 복제 서버에서 데이터 복사본을 전송하는 것에 비해 전송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그리드 시스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Peer-to-Peer 기반 데이터 복제 정책이 기존의 복제 정책에 비해 그리드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인다.

단순화된 메타데이타를 이용한 고스트 기반 정족수 동의 기법의 개선 (Quorum Consensus Method based on Ghost using Simplified Metadata)

  • 조성연;김태윤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1호
    • /
    • pp.34-43
    • /
    • 2000
  • 중복 데이타는 분산 시스템에서 결함을 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여러 복사본들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제 제어 프로토콜(replica control protocol)을 필요로 한다. 복제 제어 프로토콜 중 정 족수 동의 기법(quorum consensus method)은 정족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서 데이타에 접근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사이트나 통신 링크의 실패로 인하여 정족수 이상의 동의를 얻을 수 없으면 데이타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부족한 정족수를 고스트(ghost)로 대치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고스트는 메타 데이타(meta data)에 상태 정보만을 저장한 프로세스이기 때문에 생성과 관리의 비용을 줄이려면 메타 데이타를 간략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료 집합을 이용하여 메타 데이타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2N+logN 비트만으로 메타 데이타를 구성할 수 있게 하고 동료 집합만을 이용하는 프로토콜이나 동적 선형 보우팅 프로토콜보다 향상된 가용성을 나타낸다. 제안된 방법의 가용성은 마코브 모델(Markov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른 프로토콜들과 비교 분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