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plantation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maintaining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 viability of avulsed teeth: a preliminary study

  • Jung, Im-Hee;Yun, Jeong-Ho;Cho, Ah-Ran;Kim, Chang-Sung;Chung, Won-Gyu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1호
    • /
    • pp.10-16
    • /
    • 2011
  • Purpose: Avulsed tooth can be completely recovered, if sound periodontal ligament (PDL) of tooth is maintained. Although a lot of storage solutions have been explored for the better storage of avulsed tooth, there is a shortcoming that the preservation time is much shor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studies that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the most abundant polyphenol in green tea, which is related to the anti inflammatory, antioxygenic, and antibacterial effects, allows the successful preservations of tissues and cell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EGCG on avulsed-teeth preservation of Beagle dogs for a period of time. Methods: The atraumatically extracted teeth of Beagle dogs were washed and preserved with 0/10/$100\;{\mu}M$ of EGCG at the time of immediate, period 1 (4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1 day in EGCG-free media), period 2 (8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2 days in EGCG-free media) and period 3 (12 days in EGCG-contained media and additional 2 days in EGCG-free media). Then, the cell viabilities of preserved teeth was calculated by dividing optical density (OD) of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ith OD of eosin assay to eliminate the measurement errors caused by the different tissue volumes. Results: From the results, the immediately analyzed group presented the highest cell viability, and the rate of living cells on teeth surface decreased dependent on the preservation period. However, the $100\;{\mu}M$ of EGCG-treat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ell activity than EGCG-free groups throughout preservation periods. Conclusions: Our findings showed that $100\;{\mu}M$ EGCG could maintain PDL cell viability of extracted too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EGCG could not be a perfect additive for tooth preservation, it is able to postpone the period of tooth storage. However, further in-depth studies are required for more plausible use of EGCG.

미성숙 치근의 수직 파절과 수평 파절의 치험례 (TREAT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ROOT FRACTURE IN IMMATURE PERMANENT TEETH - A CASE REPORT)

  • 송승호;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2-97
    • /
    • 2004
  • 청소년기에는 두개악안면부위의 외상성 손상이 흔하다. 그러나 상아질, 백악질, 치수를 포함하는 치아파절로 정의 되는 치근파절을 비교적 드물다.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 외상으로 인한 손상은 심리적인 위축감, 안모에 대한 열등감 등의 정서적인 문제와 치조골과 안모의 성장이나 치간 간격의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보존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첫 번째 증례는 9세의 남아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수노출을 동반한 치관 파절과 치근단부위에 치근의 수평 파절이 관찰되어 치관부 파절편 치수만 제거하고 수산화칼슘을 이용하여 충전하였다. 6개월 후 방사선 사진에서 dentinal bridge의 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치근단부는 병적 소견 없이 정상적으로 발육되고 있었다. 1년 3개월 후 방사선 사진에서 치근단부의 형성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여 gutta percha를 이용하여 영구 충전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7세의 여아로 상악 우측 중절치의 치수 노출을 동반한 치근의 수직 파절이 관찰되어 인위적 발거 후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여 파절편 부착 후 재식하였다. 술 후 8개월 동안의 관찰결과 특이한 임상적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증례에서 치근 파절이 발생한 치아에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이에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완전탈구 후 재식한 영구 절치의 예후에 대한 후향적 연구 (Prognosis of Replanted Permanent Incisors after Avulsion Injury: A Retrospective Study)

  • 이형섭;김영진;김현정;김소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4-263
    • /
    • 2016
  • 지금까지 완전탈구된 치아의 예후에 대해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국내의 소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적 조사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14세 환자 142명의 재식치 184개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지와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평가함으로써 재식된 영구 절치의 치유와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식치의 치근 발육 단계가 낮을수록 치수의 재혈관화 가능성이 높았다. 구외 시간이 60분 이상인 경우 염증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은 미성숙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대치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은 성숙 치아에서 높게 나타났다. 20일 이상 경과하여 발수한 경우 염증성 치근 흡수의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대치성 치근 흡수에 비해 염증성 치근 흡수가 생존 기간의 감소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근의 발육 단계와 재식치의 생존 기간 간에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대치성 치근 흡수가 발생한 경우 미성숙 치아의 생존 기간은 성숙 치아에 비해 짧았다. 본 연구는 장기간의 추적 조사를 통해 수행한 연구로서, 완전탈구된 치아의 치료 지침과 예후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재식전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 의 적용이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 : 조직학적, 3차원영상 분석 (THE EFFECT OF EMDOGAIN. APPLICATION IN REPLANTED BEAGLE'S ANTERIOR TEETH : 3- DIMENSIONAL AND HISTOLOGIC ANALYSIS)

  • 엄찬용;최영철;박재홍;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07-618
    • /
    • 2008
  • 완전탈구된 치아의 구강외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재식치의 치주조직의 치유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체중 10-13 kg의 비글 3마리의 상하악 12개의 전치를 발거하여 재식하였다. 구강외 건조시간은 15(I 군), 30(II 군) 및 60분(III 군)으로 분류한 후, 각 군은 Emdogain$^{(R)}$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을 두었다. 건조시간에 따른 Emdogain$^{(R)}$의 적용이 치주조직치유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치과용 cone beam CT를 이용한 3차원적 영상과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에서 건조 시간이 길어질수록 재식 후 염증성 흡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P<0.001). 2. Emdogain$^{(R)}$의 적용은 대조군에 비하여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 군과 III 군에서 Emdogain$^{(R)}$ 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염증성 흡수의 감소가 나타났으나(P<0.01), II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치근의 흡수는 치근단 1/3 부위(절편 16, 15, 14순으로)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P<0.05, 0.001), 또한 치경부 1/3 부위(P<0.05)에서도 현저히 나타났다. 4. 치아의 장축에 직각인 절단면에서 관찰된 흡수는 주로 협설측 부위에 주로 발생하였다(P>0.01).

  • PDF

탈구치의 alendronate 도포가 재식 후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OPICAL ALENDRONATE APPLICATION ON INFLAMMATION OF REPLANTED RAT MOLAR)

  • 최성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2-203
    • /
    • 2007
  • 본 연구는 탈구치에 대한 alendronate(ALN)도포가 지연재식모델에 있어 염증반응의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자 태생 6주된 54마리 SD Rat의 상악 제 1 대구치를 재식하였다. 실험군은 15분 자연건조 후에 즉시 재식군(I군), 60분 자연건조 후 HBSS 도포군(II군) 그리고 60분 자연건조 후 ALN 도포군(III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 간의 치근의 염증성 흡수상태, 치근의 대치성 흡수정도, 염증의 정도, 그리고 치주인대의 치유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I군은 II, III군에 비하여 염증의 정도나 치근의 염증성 흡수정도 등 전반적인 염증반응이 적었고, 치주조직의 재부착 및 재생의 정토가 가장 높았다. 2. II군에서는 전반적으로 염증이 가장 심하였으며, 치근흡수 또한 광범위하였다. 3. III군은 II군에 비하여 치근면에 국소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났으며 치근의 염증성 흡수 또한 국소적으로 발생하였다(p<0.001). I군에 비하여 치주조직의 염증반응은 증가하였으나(p<0.05) 염증성흡수와 대치성흡수에 있어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4. 각 군에서 대치성흡수의 양상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의 증가가 있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탈구치가 구강 외에서 장시간 건조되었을 경우 ALN의 사용은 치근흡수를 억제하고 치주조직의 재생에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LN은 치아의 탈구시에 사용되는 여러 약재들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탈구치의 재식시 ALN 사용을 위한 적절한 용량과 도포용제재의 개발을 통하여 치아의 재식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관매체에 관한 보호자, 구급대원, 응급의학과 의사의 인식도 (Awareness of Caregiver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Emergency Medical Doctors about the Storage Media for Avulsed Teeth)

  • 김규림;김승혜;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03-31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치아의 완전탈구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호자 및 구급대원과 응급의학과 의사가 보인 탈구치의 보관 방법을 조사하여 인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최근 18년간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영구치의 완전탈구로 진단받고 응급처치를 시행받은 만 17세 이하의 환자 183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치아의 보관매체로 부모와 보건교사 모두 우유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부모는 건조 상태로, 보건교사는 생리식염수에 치아를 보관하는 비율이 높았다. 치아의 보관매체로 구급대원은 생리식염수를 가장 이용하였고 응급의학과 의사의 경우 재식 실패 시 생리식염수만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통해 적합한 치아의 보관매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외상 현장에서 즉시 재식이 불가능할 경우, 치아의 보관매체로 우유가 권장되며 우유가 식염수보다 우수한 보관매체임에 관한 교육 역시 필요해 보였다. 보호자 및 응급처치를 행하는 구급대원과 응급의학과 의사들을 대상으로 완전탈구된 치아의 보관 방법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의 흉강경하 흉추교감신경절제술 - 치험 1례 - (Thoracoscopic Thoracic Sympathectomy for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One Case Report -)

  • 김태식;김광택;김형묵;김학제;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2호
    • /
    • pp.208-211
    • /
    • 1998
  • 반사성 교감신경 위축증은 과도하며 지속적인 통증, 혈관운동성 및 그 밖의 자율성 장애, 기능회복의 지연과 이영양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중요한 임상양상이다. 이 증후군은 임상에서 자주 마주치는 문제중 하나일뿐더러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결정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유발인자는 사고나 수술, 또는 다양한 질환이 될 수 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증상의 빠른 소실과 완전한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56세 남자환자로 1996년 5월 좌측 제2수지 원위관절부 완전절단상을 입었고, 고대부속병원 재건성형외과에서 응급으로 재접합술을 시행받았다. 그 후, 좌측 제 2수지의 경감되지 않는 지속적인 통증과 좌측상지 근위부로 퍼져가는 통증 및 좌측 견갑부 운동장애를 호소해 왔다. 많은 치료법이 사용되었지만 효과적이지는 못하였다. 그리하여 좌측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을 본 과에서 시행하였다. 이 후 성공적으로 통증이 완화되었고, 견갑부 운동상태도 향상되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보고하는 바이다.

  • PDF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F ON PROLIFERATION AND ATTACHMENT OF HUMAN PERIODONTAL FIBROBLASTS)

  • 이종은;김종관;김성오;김연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5-402
    • /
    • 2005
  • 손상 받은 치주 조직의 치유과정은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의 세포 활성도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치유과정 중 치주인대 섬유 모세포간의 재부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표피성장인자가 치주인대 세포의 증식과 부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서의 표피성장인자의 효용성을 고찰해 보기 위함이다. 발치된 사람의 제 1소구치에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를 채취 및 배양한 후, 세포독성을 및 세포의 최고 활성도를 평가 하기 위해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표피성장인자가 첨가된 실험군과 대조군의 세포증식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western blot을 통해서 세포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을 실험군과 대조군을 통해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으며, 최고의 활성도를 보이는 농도는 10ng/ml였다. 또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배지내 증식정도는 10ng/ml의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세포간 부착에 관여하는 섬유결합소의 발현율이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표피성장인자는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며 따라서 완전 탈구된 치아의 보관용액이나 재식전 처리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쥐치아 치근면의 치주인대세포의 활성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MTT검색법의 적절성에 대한 조직학적인 검증 (THE VERIFICATION OF THE MTT ASSAY ON THE VI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AL CELLS IN RAT MOLARS THROUGH THE HISTOLOGIC EXAMINATION)

  • 김현기;김의성;최인복;김진;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85-39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ability of PDL cells in rat molars by using MTT assay and to verify the MTT assay through the histologic observation. Thirty of Sprague-Dawley white female rats of 4-weeks old with a body weight of about 100 grams were used. Groupings are as follows : Immediate Group : Positive control group(n=10)-after extraction immediately. Dried Group : Negative control group(n=10)-after drying for an hour under warm dry. $ViaSpan^{\circledR}$ Group : 1hour $ViaSpan^{\circledR}$ group(n=10)-after storing in $ViaSpan^{\circledR}{\;}at{\;}4^{\circ}C$ for 1hour. Ten teeth of each group were treated as same as above and replanted to the original socket of experimental animals. After two weeks of replantation. all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after fixation, extracted maxillary jaw was dimineralized. After it was embedded in paraffin. serial section by $5\mu\textrm{m}$ was carried out and for construction of specimen, hematoxylin-eosin dye was used. The mean MTT measurement of immediate group(positive control) is 2.81 and the mean measurement of dried group(negative control) is 0.98 which is significantt differnt(P<0.05), The mean measurement of $ViaSpan^{\circledR}$ group is 2.65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ied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P<0.05),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average resorption points of immediate group is 3.03 points. In the dried group, average 6.44 points resorption and 2.68 points showed resorption in the $ViaSpan^{\circledR}$ group. Unlike with MTT ass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mediate group and $ViaSpan^{\circledR}$ group. The usage of MTT assay as a viable cell marker may give us a better indication of the maintenance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vitality.

수부 손상에서 정맥이식의 유용성 (Usefulness of Venous Graft in Hand Injury)

  • 이학승;김연환;김창연;김정태;안희창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96-399
    • /
    • 2010
  • Purpose: In hand injury, pedicle is usually damaged by avulsion injury or crushing injury. Because of postoperative pedicle obliteration, it is often hard to save the injured hand and fingers, even after successful replantation. The author introduces three cases of extensive hand injury, and successful results after applicatoin of multiple venous grafts to these patients. Methods: In all cases there was no circulation in any finger. In the first case, some vessels were extracted, so venous graft was applied to two sites of severely damaged venous sites. In the second case, venous grafts were applied to all four digital arteries of all fingers except thumb which got severely crushed, and two sites of dorsal veins. In the third case, venous graft was applied to all four digital arteries of all five fingers, and two sites of dorsal veins and palmar veins each. Results: In all cases, survival of hands and fingers was successful. In the second case, however, amputation in thumb and little finger at DIP joint level was inevitable, because of its severe damage, and the large dorsal defect on index finger was filled with DIEP free flap. Thumb was reconstructed with toe-to-thumb free flap, and additional debulking procedures and contracture release is furtherly needed. In the first case, additional surgery was done, as FDP tendon got re-ruptured, but in long term follow-up, satisfactory range of motion was attained. In the third case, FTSG on dorsal skin region was planned. as flap on dorsal area got partial necrosis. Conclusion: In hand injury, there are many structures to be repaired, but sometimes venous graft is avoided for its long operating time. Even though the length of damaged vessel is enough for anastomosis, the endothelium is often damaged (zone of injury). In extensive hand injury, successful reconstruction would be possible with active venous graft to all vessels suspicious for da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