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l of T-N and T-P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3초

다공성 제올라이트 콘크리트의 수질정화 특성 (Water Purification Properties of Porous Zeolite Concrete)

  • 최민지;성낙국;박성재;이정아;윤홍수;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22권3호
    • /
    • pp.332-335
    • /
    • 2011
  • 친환경 재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재료의 구조적 기능성 및 투수성을 동시에 갖는 다공성 콘크리트의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콘크리트에 제올라이트를 혼합하여 다양한 활용도를 갖는 다기능형 옥석 제품의 수질정화 능력을 평가하여 친환경제품으로서의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흐름이 없는 시험용 수조에서 시간에 따른 오염도 제거율은 T-N (70.6%), T-P (67.0%), BOD (57.7%), TOC (50.6%) 순으로 우수한 수질정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원에서 시간에 따른 유출부에서의 수질오염도 및 중금속 농도의 제거율은 Zn (99.9%), Pb (90.0%), BOD (69.2%), COD (33.5%) 순으로 흐름이 없는 경우에서의 오염도 제거율보다 수질정화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공성 콘크리트 시설물을 실제 하천 등에 시공했을 시에 우수한 오염도 제거율을 바탕으로 친환경제품으로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적 처리에 의한 1차 하수처리장의 처리효과 개선 -현장시험을 중심으로- (Chemically Enhanced Primary Treatment at D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곽종운;김승현;이찬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9-108
    • /
    • 1997
  • This study examined the feasbility of upgrading D wast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treats incoming wastewater by primary sedimentation only. By adding 20-40 ppm of Hi-PAX into the outlet of the aerated grit chamber, BOD and SS removal efficiences were improved from 29% and 36% to 53 % and 73%,respectively. However, chemically enhanced primary treatment failed to meet the upcoming wastewater quality standard(BOD and SS <20 mg/l) consistently. This was suspected to result from the deteriorated plant return stream. The wastewater treatment by chemical treatment should have increased the amount of the sludge to be removed as the sludge production was increased. Chemically enhanced primary treatment is anticipated to consistently produce effluent of the 1996 standards quality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sludge to be removed. Besides BOD and SS removal, chemically enhanced primary treatment resulted in the improved T-P removal from 30% to 64-74%. However, such benefit was not observed in T-N removal. Improved T-P removal will be expected to help control water pollution in Masan bay.

  • PDF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농촌 전원독립가구 하수처리장에서 하수 중 오염물질의 존재형태별 거동과 분해속도 (Behavior and Decomposition Velocity of Pollutants on Various Forms from Domestic Sewage in Small-scale Sewage Treatment Plant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서동철;김형준;박우영;임종서;황승하;박찬훈;최정환;이홍재;이도진;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6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전원독립가구 하수처리장에서 오염물질의 존재형태별 처리 경향을 파악하여 하수처리장의 설계 및 시공 시 부지면적 감소와 오염물질의 처리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농촌전원독립가구 하수처리장에서 하수 중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과 오염물질의 존재형태별 분해속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하수 중 오염물질의 존재형태별 거동을 조사한 결과 BOD 및 COD는 대부분 호기성조에서 처리되었으며, 처리된 BOD와 COD는 대부분 insoluble형태이었다. 그러나 무산소조와 혐기성조에서의 BOD와 COD는 존재형태별로 별 차이 없었다. SS는 대부분 호기성조에서 처리되었으며, 처리된 SS는 대부분 volatile 형태이었다. T-N은 BOD, COD 및 SS와 달리 호기성조에서 처리효율이 높지 않았고, 처리된 대부분의T-N은 dissolved 형태이었다. T-P는 모든 조에서 일정하게 처리효율이 증가되었으며, 처리된 T-P는 대부분 dissolved 형태이었다. 현장 하수처리장에서 존재형태별 오염물질의 분해속도를 조사한 결과 BOD, COD 및 SS의 분해속도는 호기성조에서 각각 30.79, 17.15 및 29.96 $day^{-1}$로 무산소조 및 혐기성조에 비해 매우 빨랐으며, 호기성조에서 존재형태별 분해속도는BOD 및 COD의 경우 insoluble 형태가 빨랐으며, SS의 경우 fixed 형태가 빨랐다. T-N 및 T-P의 분해속도는 호기성조에서 각각 4.78 및 13.09 $day^{-1}$로 다른 조에 비해 약간 빨랐으며, 호기성조에서 존재형태별 분해속도는 suspended 형태가 약간 빨랐고, 혐기성조와 무산소조에서는 별 차이 없이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하수처리장의 설계 및 시공 시 부지면적 감소와 오염물질의 처리효율 극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의 수질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Environmentally Friendly Full-scale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Domestic Sewage during Long-term Monitoring)

  • 서동철;조인성;임석천;이병주;박성규;천영석;박종환;이홍재;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7-105
    • /
    • 2009
  • 농어촌 등에서 소규모로 발생하는 하수를 환경친화형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인공습지 하수처리장을 시공한 후 3년 동안의 수처리 효율을 조사하였다. 하수처리 시기별 오염물질 농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BOD, COD 및 부유물질은 하수원수 농도의 편차가 심하였으나, 호기성조와 혐기성조를 통과하면서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방류수의 BOD는 0.2${\sim}$11.8 mg/L, COD는 1.0${\sim}$41.9 mg/L 및 SS 함량은 1.1${\sim}$6.5 mg/L이었다. 방류수의 총 질소 농도는 4${\sim}$60 mg/L범위로 각 조에 유입되는 총 질소 농도에 따라 편차가 심하였고, 방류수의 총 인 농도는 0.02${\sim}$3.51 mg/L범위이었다. 연차별 BOD, COD 및 부유물질 처리효율은 연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공 후 3차년도의 방류수의 BOD, COD, 부유물질의 처리효율은 각각 97, 92 및 99%로 매우 높았다. 연차별 총 질소와 총 인의 처리효율은 호기성조 처리수와 방류수 모두에서 연차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그 처리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시공 후 3차년도의 방류수 중 총 질소 및 총 인 처리효율은 각각 62 및 73%이었다. 계절별 BOD, COD, 부유물질 및 총 인의 처리효율은 4계절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방류수의 BOD 처리효율은 97${\sim}$98%, COD 처리효율은 87${\sim}$91%, 부유물질 처리효율은 99% 및 총 인 처리효율은 76${\sim}$86%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절별 방류수의 총 질소 처리효율은 봄과 겨울철이 다른 계절에 비해 처리효율이 약간 감소하였고, 특히 겨울철 방류수의 총 질소 처리효율은 43%로 여름철의 61%에 비해 18%정도 감소하였다.

동절기 하수처리장에서 효율적인 질소제거를 위한 최적 HRT조합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mum HRT Combination for Efficient Nitrogen Removal at WWTP in Winter Days)

  • 길경익;이운길;노해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65-169
    • /
    • 2008
  •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에서는 동절기에 수온저하로 인한 질산화 미생물의 활동저하 때문에 질소제거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처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GPS-X를 사용하여 각조의 HRT를 변화시켜 저 수온시 효율적인 질소제거를 위한 HRT의 조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적의 HRT 조합은 0.3 hr/0.5 hr/1.36 hr/4.84 hr(PreAx/An/Ax/Ox)이고 이때의 T-N 제거율은 51.4%, $NH_4^+$-N는 57.3%의 제거율을 보였다.

주암호 홍수조절용지내 침수 식물체의 영양염류 제거속도 및 용출속도 (Removal and Release Velocities of Nutrients by Submerged Plants in Flood Control Reservoirs around Juam Lake)

  • 한종학;서동철;김상돈;강세원;임병진;박종환;김갑순;이준배;김현욱;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4-152
    • /
    • 2011
  • 본 연구는 주암호 홍수조절용지내에 서식하는 침수식물체들의 영양염류 용출이 주암호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침수상태의 수질, 토양 및 식물체를 자연상태 그대로 column으로 옮겨와 침수기간별 영양염류의 제거속도 및 용출속도를 조사하였고, 이들 결과를 토대로 각 홍수조절용지에서 침수식물체별 영양염류 용출량을 산출하였다. COD 제거속도 상수(K, $day^{-1}$)는 이삭사초의 경우 침수 0~4 day, 5~19 day 및 20~33 day 구간에서 0.07~0.18, -0.23~-0.17 및 -0.28~0.03 $day^{-1}$이었고, 물억새의 경우 침수 0~6 day, 7~19 day 및 20~33 day 구간에서 0.14~0.22, -0.19~-0.04 및 -0.05 $day^{-1}$이었다. T-N 제거속도 상수(K, $day^{-1}$)는 이삭사초의 경우 침수 0~4(8) day 및 5(9)~33 day 구간에서 0.02 및 -0.13~-0.10 $day^{-1}$이었고, 물억새의 경우 침수 0~2(4) day, 3(5)~19 day 및 20~33 day 구간에서 0.01~0.04, -0.03 및 -0.18~-0.17 $day^{-1}$이었다. T-P 제거속도 상수(K, $day^{-1}$)는 이삭사초의 경우 침수 0~4 day 및 5~33 day 구간에서 0.05~0.06 및 -0.14~-0.09 $day^{-1}$이었고, 물억새의 경우 침수 0~4 day 및 5~33 day 구간에서 0.05~0.06 및 -0.15~-0.12 $day^{-1}$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침수초기에는 침수식물체가 생육하면서 영양염류를 분해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였으나, 침수식물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침수 4~10일후부터 침수식물체가 미생물에 의해 서서히 분해되면서 영양염류가 수질내로 용출되는 경향이었다. 홍수조절용지에서 침수식물체별 영양염류용출량은 이삭사초가 물억새에 비해 약간 많았다. 특히 site 1에서 COD, T-N 및 T-P 용출량은 이삭사초의 경우 각각 6,719, 2,397 및 466 kg/month/area이었고, 물억새의 경우 각각 53.1, 14.8 및 3.30 kg/month/area이었다.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시스템에서 오염물질의 분획별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reatment Efficiencies of Pollutants under Different Pollutant Fractions in Activated Sludge-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Treating Piggery Wastewater)

  • 김성헌;서동철;박종환;이충헌;최정호;김홍출;하영래;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4-350
    • /
    • 2012
  • 돈사폐수의 분획별 및 우리나라 기후변화 특성에 대한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장의 대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오염물질 분획별 및 계절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하였다. 오염물질 분획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최종 방류수의 COD는 213.5 mg/L정도로 soluble형태가 71.5 mg/L, insoluble형태가 142 mg/L정도이었고, SS함량은 118 mg/L정도로 volatile형태가 102 mg/L, fixed형태가 15.5 mg/L정도이었으며, 최종 방류수의 T-N함량은 47.8 mg/L 정도로 dissolved형태가 12.8 mg/L, suspended형태가 35.0 mg/L정도이었다. 또한 방류수의 T-P함량은 3.05 mg/L정도로 dissolved형태가 1.13 mg/L, suspended형태가 1.93 mg/L정도이었다. 활성슬러지-인공습지 공법에 의한 돈사폐수처리장에서 계절별 수처리효율을 조사한 결과 COD, SS 및 T-P의 처리효율은 98, 99 및 99%이상으로 계절에 따라 별 다른 차이 없이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고, T-N 처리효율은 여름 (99.5%)${\geq}$가을 (99.1%)${\geq}$겨울 (98.7%)${\geq}$봄 (98.2%)의 순으로 여름철에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다.

DMR 생물막 공정에서 포기량에 따른 질산화 동시 탈질화 및 영양염류 제거특성 (Effect of Air-flow on Enhanced Nutrient Removal and Simultaneous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in DMR Biofilm Process)

  • 김일규;이상민;임경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92-998
    • /
    • 2008
  • SND 공정은 최근에 하수내 질소제거를 위한 새로운 공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산소조, 혐기조 및 담체를 충진한 포기조로 구성된 DMR(Daiho Microbic Revolution)공정을 이용하여 포기량을 2.0, 1.0, 0.5, 0.4 및 0.2 L/min으로 변화시키면서 영양염류 제거효율과 동시 질산화/탈질 효율을 검토하였다. 유기물제거율은 포기량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조건에서 93%의 제거율을 얻을 수 있었다. T-N 제거효율은 포기량이 적어짐에 따라 높아져 0.2 L/min의 조건에서 80%의 효율을 얻었으며, SND효율 또한 각 조건에서 62, 65, 72 및 78%를 나타내어 포기량 조절만으로 높은 질소제거율을 얻을 수 있었다. T-P는 포기량에 따라 75$\sim$96%의 제거율을 보였지만, 0.2 L/min의 조건에서는 2차 인방출이 발생하였다. 0.5 L/min의 조건에서 슬러지의 poly-P함량은 5.08%였으며 소모된 유기물 양과 방출된 인 농도의 비는 0.72 mg P/mg HAc였다.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소형 축산폐수처리장치의 최적여재 선정 (Selection of Optimum Filter Media in Small-Scale 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김아름;김홍출;서동철;박종환;김성헌;이성태;정태욱;최정호;김현욱;조주식;허종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85-292
    • /
    • 2011
  • 소규모 축산농가로부터 발생되는 축산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공습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인공습지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최적 여재의 선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최적여재를 선정하기 위하여 여재를 왕사, 쇄석, 제올라이트 및 방해석으로 달리하여 충진한 후 각 여재별 축산폐수 처리효율 조사한 결과 COD 처리효율은 왕사가 다른 여재에 비하여 높았고, SS 처리효율은 모든 여재에서 94-95%로 큰 차이 없었다. 또한 T-N 처리효율은 제올라이트가 다른 여재에 비해 높았고, T-P 처리효율은 방해석이 다른여재에 비해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COD, SS, T-N 및 T-P 모두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최적여재는 왕사였다. 소형 축산폐수처리장치에서 질소와 인 처리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해 호기성조 (왕사:쇄석:방해석=3:2:1)와 혐기성조 (왕사:쇄석:제올라이트=3:2:1)에 혼합여재를 주입한 결과 최적 여재인 왕사에 비해 질소 및 인처리효율이 각각 15% 및 7% 향상되었다.

Electrochemical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s on ACF Electrodes

  • Oh, Won-Chun;Park, Joung-Sung;Lee, Ho-Jin;Yum, Min-Hyung
    • Carbon letters
    • /
    • 제5권4호
    • /
    • pp.191-196
    • /
    • 2004
  • The electrochemical removal (ECR) of water pollutants by activated carbon fiber (ACF) electrodes from wastewater was investigated over wide range of electrochemical reaction time. The ECR capacities of ACF electrodes were associated with their internal porosity and were related to physical properties and to reaction time. And, surface morphologies and elemental analysis for the ACFs after electrochemical reaction are investigated by SEM and EDX to explain the changes in adsorption properties. The FT-IR spectra of ACFs for the investigation of functional groups show that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is consequently associated with the homogeneous removal of pollutants with the increasing surface reactivity of the activated carbon fiber surfaces. The ACFs were electrochemically reacted to waste water to investigate the removal efficiency for the COD, T-N and T-P. From these removal results of pollutants using ACFs substrate, satisfactory removal performance was obtained. The outstanding removal effects of the ACFs substrate were determined by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for adsorption and trapping of organics, and catalytic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