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vable partial denture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엇갈린 교합 환자에서의 가철성 보철을 이용한 전악구강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A case report)

  • 최유라;강정경;김나홍;장희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8-45
    • /
    • 2017
  • 엇갈린 교합을 가진 가철성 국소의치에서는 하중시 의치의 다양한 움직임과 불리한 안정으로 인해 환자의 만족감을 얻는 것이 어렵다. 편측 소수 잔존치 증례에서는 안정적인 양측성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임플란트 식립 또는 잔존치근을 이용한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증례에서는 고혈압, 협심증, 고령 등의 전신질환을 고려하여 가철성 국소의치를 치료방법으로 선택하였다. 엇갈린 교합으로 인해 수직고경이 상실된 환자에게 수직고경을 회복해 주기 위해서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며, 근신경계에 대한 적응을 파악해야만 수직고경을 회복해 줄 수 있다.

의과적 문제가 있고 소수 잔존치를 가지는 환자에서의 치주보철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Periodontal prosthesis on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with few remaining teeth: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method)

  • 하석준;이청희;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59-365
    • /
    • 2014
  •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서 여러 문헌에서 보고 되고 있다. 이중관 가철성국소의치(Double crown removal partial denture)는 잔존치의 치주적인 상태가 좋지 않은 환자에게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특히 치주상태가 좋지 않고, 임플란트를 식립하기에는 의과적으로 문제가 있는 환자(Medically compromised patient)에게는 수술에 대한 부담 없이 치료할 수 있어 심리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이 존재한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다수의 치아가 잔존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이 가능한 상태였고, 하악은 소수 잔존치만 남아있고 치주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잔존치를 이용한 클라스프 가철성 국소의치로는 수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환자는 1년 전에 하악 전치부 부위의 골수염으로 인한 수술병력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악조건에서 하악의 소수 잔존치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는 2년이상의 기간동안 기능적,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임플란트의 길이와 위치가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ength and location of implants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진희;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86-194
    • /
    • 2015
  • 목적: 임플란트 위치와 길이가 하악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DERPD)와 연관된 임플란트의 응력 분포와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5, 36, 37이 소실된 시상절단면의 후방연장모형과 가철성 국소의치를 기본모형으로 사용했다. NX 9.0으로 7개의 모델을 디자인했다. 모델 A, B, C에서 각각 11, 6, 4 mm 길이의 임플란트가 #37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D, E, F에서 각각 11, 6, 4 mm의 임플란트가 #36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G는 임플란트가 없었다. 수직하중(250 N)을 #36의 중심와에 가했고, 유한요소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해 von Mises stress와 변위를 관찰했다. 결과: #37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6에 위치한 것과 비교시 주변골에 더 낮은 응력집중도를, #36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7에 위치한 것보다 더 적은 변위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후방부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전방부에서보다 더 이점을 가지며, 길이가 더 긴 임플란트의 사용은 응력분산을 위해서 중요하다.

심한 마모를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전악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implant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

  • 이신언;이원섭;이철원;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0-76
    • /
    • 2018
  • 과도한 치아 마모는 수직 고경 감소를 초래하고 구강 환경과 저작계의 병적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수직 고경과 교합을 회복시켜주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75세 여성환자로 구치부 지지 상실로 인한 치아 심한 마모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수직 고경 거상을 동반한 전악 재건 수복을 계획하였다. 정확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수직 고경 평가 후 진단 납형을 제작하였고 임시보철수복을 통해 환자의 적응여부를 평가하였다. 최종 수복은 환자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으며 하악 좌우측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한 개씩 식립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를 보강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후 1년 간의 경과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다.

Lost wax technique과 CAD를 이용한 pattern의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가철성 국소의치 금속구조물의 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internal adaptation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metal frameworks made by lost wax technique and printing technique of pattern using CAD)

  • 최원준;우이형;김형섭;백장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7-24
    • /
    • 2018
  • 가철성 국소의치의 금속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은 왁스 패턴을 제작하여 주조하는 lost wax technique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서베잉과 금속구조물을 CAD (Computer aided design)로 디자인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여러 증례에서 CAD를 이용한 pattern의 프린팅 방식으로 얻은 레진 패턴이 구강 내에 정확하게 적합 되었고 최종 금속구조물 또한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고 보고되었다. 본 원저는 치조골 소실이 심한 상, 하악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의 금속구조물을 두 가지 방식으로 각각 제작하였다. 첫 번째는 일반적인 lost wax technique과 두 번째는 CAD를 통해 pattern을 프린팅하여 금속구조물을 주조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여, CAD data와 fit checker를 이용해 금속구조물과 서베이드 크라운과의 유격을 측정함으로써 금속구조물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금속구조물의 적합도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기술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리 증례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denture repair technique for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 case report)

  • 장은선;장근원;변재준;공대룡;송주헌;이경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51-256
    • /
    • 2020
  • 최근 치과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DMLS (Direct Metal Laser Sintering) 기술을 사용하여 의치의 금속구조물 제작이 가능하다. 이 방법에서 인상은 구강 스캔이나 모델 스캔으로 대체 할 수 있으며, 기존 주조 소환 방법에서 왁스 패턴은 CAD 소프트웨어에서 설계되고, 설계된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 파일을 DMLS 기법을 통해 국소의치의 최종 구성 요소를 제작할 수 있다. 치과 분야에서 디지털 기술 이용의 장점은 적합도와 정확성에 있다. 본 증례에서 지지 및 간접 유지 역할을 하는 교합면 레스트의 파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DMLS 기술과 레이저 용접 기술을 사용하여 국소의치를 수리하였으며,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한 양악 가철성 의치 수복 증례 (A case of removable dentures using digital method)

  • 이지수;안수진;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50-257
    • /
    • 2018
  • 현재까지 의치는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식을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에는 인상체를 3D 스캔하여 CAD 상에서 인공치를 배열한 뒤 이를 3D 프린팅하여 레진상 총의치를 제작하는 방식과 모델을 3D 스캔 후 CAD를 이용하여 frame-work을 디자인하고 3D 프린팅으로 resin pattern을 제작하여 이를 주조 후 금속상 총의치나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방식의 의치 제작 방법으로써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진단과 CAD 프로그램을 이용한 framework 디자인, 그리고 이를 3D 프린팅 후 주조하여 상악 총의치와 하악 국소의치를 제작하였으며,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path of placement of a removable partial denture: a microscope based approach to survey and design

  • Mamoun, John Sam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1호
    • /
    • pp.76-84
    • /
    • 2015
  • This article reviews the topic of how to identify and develop a removable partial denture (RPD) path of placement, and provides a literature review of the concept of the RPD path of placement, also known as the path of insertion. An optimal RPD path of placement, guided by mutually parallel guide planes, ensures that the RPD flanges fit intimately over edentulous ridge structures and that the framework fits intimately with guide plane surfaces, which prevents food collecting empty spaces between the intaglio surface of the framework and intraoral surfaces, and ensures that RPD clasps engage adequate numbers of tooth undercuts to ensure RPD retention. The article covers topics such as the causes of obstructions to RPD intra-oral seating, the causes of food collecting empty spaces that may exist around an RPD, and how to identify if a guide plane is parallel with the projected RPD path of placement. The article presents a method of using a surgical operating microscope, or high magnification (6-8x or greater) binocular surgical loupes telescopes, combined with co-axial illumination, to identify a preliminary path of placement for an arch. This preliminary path of placement concept may help to guide a dentist or a dental laboratory technician when surveying a master cast of the arch to develop an RPD path of placement, or in verifying that intra-oral contouring has aligned teeth surfaces optimally with the RPD path of placement. In dentistry, a well-fitting RPD reduces long-term periodontal or structural damage to abutment tee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