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ote Device Control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2초

지능형 설비 구축을 위한 감시/진단/제어 기기 개발 (Development of Monitoring/Diagnosis/Control Device for intelligent equipment construction)

  • 양항준;이준철;최인선;김성식;홍정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557-558
    • /
    • 2007
  • 변화, 발전하는 IT기술과 디지털 기술, 그리고 네트워킹 기술 등에 따라 변전소의 운용 및 자동화 부문에 있어서도 적지 않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변전소의 건설 및 운용 면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며, 관련된 관심 사항으로는 시스템 구축 및 운용 시의 경제적인 측면, 시스템의 신뢰성, 그리고 유지보수 및 설비 관리의 효율성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최근의 기술 추세는 Ethernet 통신 기반의 Network Device를 근간으로 하는 시스템으로의 변신을 주장하고 있으며, 세계 유수의 전력 설비 Maker에서도 이에 부응하기 위한 Network Device를 개발, 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소에서도 이와 같은 기술 추세에 부응하여 소위 미래형 변전소에서 요구되는 각종 ND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 첫번째 결과물로 154kV GIS의 운용 시에 요구되는 각종 제어 및 감시를 위한 Digital Control Unit(이하 DCU)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 이와 같은 DCU와 연계하여 기존의 Remote Control 기능을 구비하고 상위시스템과 연결되며 변전실내에서 운용되는 Remote Control Unit(이하 RCU)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방진단 시스템과 관련하여 주요 전력 설비의 상태 정보를 취합하는 Serial 통신 기반의 Static Type의 Diagnostic Analysis Unit(이하 DAU)을 하나의 Network Device로 개발함으로써 감시, 진단, 제어 등의 요구기능이 일체화 된 네트워크 기반의 미래형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한걸음 다가가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원격 게임제어 시스템의 구성 (The Construction of a Remote Game Control System By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 이경목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53-58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전력선 제어 통신 (PLC) 방법을 사용하여 원격지에서 조이스틱으로 게임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의 구성은 원격지의 조이스틱과 컴퓨터 접속부 사이를 일반 가정용 전원 선로로 연결하고, 2400 bps 전송속도의 폴링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조이스틱의 명령을 읽어들이고, 음향 정보를 수신측 PLC 장치에 출력하였다. 게임 제어는 조이스틱의 좌, 우, 상, 하의 방향에 따라 비행기 캐릭터가 움직이고, 총알 발사 명령에 의해 총알을 발사하는 게임을 만들어 실행하였다. 이외에도, 16가지의 조이스틱 게임 조작 명령의 입력이 가능하며, 16가지의 출력 상태가 가능하였다. 게임 조작에 필요한 정보 전달은 약 100 msec 통신 지연에서도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 PDF

레거시 기기 통합 제어를 위한 효율적 Zigbee Bridge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Zigbee Bridge for Legacy Device Control)

  • 이승민;손성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134-2142
    • /
    • 2010
  • 가정에서 사용중인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방법은 적외선 리모컨을 이용한 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레거시 기기들은 각각의 리모컨으로 제어되고 있고 표준화된 통신방식을 제공하지 않아 원격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통합 리모컨방식의 원격 제어기를 이용할 경우 여러 종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지만 모든 명령을 지원하지는 않으며, 특히 새로운 명령이나 고유한 명령을 가진 제품이 출시될 경우 확장성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기기의 효율적인 통합 제어를 위해 지그비로 전송되는 명령을 해당 기기의 적외선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Zigbee Bridge를 개발하고, 헤더 판별법을 이용한 학습 기능을 추가 하였다. 새로운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Bridge는 이 명령을 학습하여 저장하며, 기존 명령이 전송되는 경우 저장된 코드를 출력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신규 명령에 대한 확장성과 유연성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코드 전송의 효율을 향상하여 기존 대비 최대 58.6배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ZigBee를 이용한 실시간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저전력형 U-Health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Low-Power Ubiquitous Health System based on Real-Time Embedded Linux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 권종원;오드게렐;박용만;구상준;김희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436-438
    • /
    • 2007
  • As the sensor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get advance, the remote health diagnosis for patients and senior persons at home are possible now without visiting doctors in hospitals. A low-power ubiquitous health check device was developed adapting Real-Time Embedded Linux is developed. This ubiquitous device is consisted of three sensors. The wrist type health checking terminal acquires periodically the health data by using a blood pressure sensor, a pulse sensor and a body temperature sensor. It transmits the health data to the access point located at the home center through the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This health data collector or access point device sends the data again to the main server operated in a hospital or health care organization. The health server control continuously the input data and sends an alarm signal to the assigned. doctor and responsible persons using cellular SMS when any dangerous events occur. This wrist type health check device has an embedded linux OS using Intel PAX255 MPU. The developed U-Health system is applicable for checking patients health in remote at home. And their family or related persons in remote site can check the patients health status at any time. They can be assured by receiving SMS record and alarm of emergency case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health server.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a Monitoring System based on Smart Device for Service Robot Applications

  • Lee, Jun;Seo, Yo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3호
    • /
    • pp.35-41
    • /
    • 2018
  • Smart device has become an affordable main computing resource for robotic ap-plications in accordance with a fast growth of mobile internet environment. Since the computing power of smart device has been increased, smart device based ro-bot system attempts to replace traditional robot applications with laptop-based system. Methodologies for acquisition of remote sensory information and control of various types of robots using smart device have been proposed rec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ot control system using a monitoring program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The proposed system is a combin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ming oriented robot named EPOR-S. as small service robot plat-form and a smart device. Through a simulation study using image processing, the feasibility of combination of the proposed robot monitoring program and control system was verified.

햅틱 제어에 의한 원격작업의 안전성 향상 (Safety Enhancement of Teleoperation using Haptic Control)

  • 김윤배;최기상;최기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9-25
    • /
    • 2013
  • For safe remote control, information on remote environment has to be delivered to operator realistically, and there have been numerous research efforts on this respect. Among them, haptic technology can significantly enhance safety and overall effectiveness of remote operation by deliver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n virtual or real environment to operator. In this study, remote control based on haptic feedback is applied to control of mobile robot moving according to the command from operator avoiding collision with environmental obstacles and maintaining safe distance from them using ultrasonic sensors. Specifically, a remote feedback control structure for mobile robot is proposed. The controller is based on the inner feedback loop that directly utilizes information on distance to obstacles, and the outer feedback loop that the operator directly commands using the haptic device on which the computed reaction forc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is acting.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remote control scheme using double feedback loops is verifi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s on mobile robot.

원격 제어 및 계측을 위한 임베디드 웹 서버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Embedded Web Server System for a Remote Control and Measurement)

  • 이명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39-84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웹 서버(Embedded Web Server)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다양한 입출력 장치들의 상태를 계측하거나 이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설계된 원격 제어 및 계측시스템은 Cortex-M3 ARM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제어 및 계측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디지틀 입출력 장치, AD/DAC, LCD 및 온습도 센서 등의 구동장치 프로그램 및 이벤트 처리를 위한 웹서버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Eclipse 개발환경을 구축하여 Codesourcery C 언어, Java script, 그리고 HTML 언어를 사용하여 작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제어 및 계측 시스템의 실험결과는 실제로 실시간 실험을 통해, 설계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로봇 지원 원격 초음파 영상진단을 위한 마스터-슬레이브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Master-slave System for Robot-assisted Remote Ultrasound Diagnosis)

  • 서준호;조장호;권오원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95-401
    • /
    • 2017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robot-assisted medical diagnostic system that enables remote ultrasound (US) imaging to b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telemedicine, which has been possible only with interviewing or a visual exam. In particular, a master-slave robot system is developed that ultrasonic diagnosis specialist can control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US probe in the remote place. The slave robot is designed to be compact, lightweight, and hand-held so that it can easily transfer to the remote healthcare center. Moreover, 6-degree-of-freedom (DOF) probe motion is possible by the robot design based on Stewart platform. The master device is also based on a similar structure of the slave robot. To connect master and slave system in the wide area network (WAN) environment, a hardware CODEC was develop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detail of each component and the results of the recent experiments conducted in the remote sites by the developed robotic ultrasound imaging system.

무선 전송 장치를 이용한 열차정보 수집 장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pplication of Train Information Collection Device using RTD System)

  • 신한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41-545
    • /
    • 2010
  • 현대의 도시철도차량 시스템은 복잡하고 첨단화 되어 있으며, 상호 인터페이스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차량 유지보수시스템의 체계적인 종합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선 전송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차 정보 자동 수집 장치를 도입 적용한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무선 전송 장치는 차량기지로 입고한 전동차 열차종합 제어장치에 수집된 각종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절감과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 향상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무선 전송 장치를 도입 적용하여 기존의 열차정보수집 방법을 개선한 운용 사례를 제시한다.

PDA를 이용한 원격 로봇 제어 시스템 (Control System of a Remote Robot using PDA)

  • 한종희;이기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06-208
    • /
    • 2004
  • A new method to control a remote robot with PDA and wireless network is presented. The needs of remote control systems using a home network environments are increased in these days. To solve the shortage of IP address in network, authorized TCP/IP and unauthorized TCP/IP address are used. The unauthorized TCP/IP is obtained by using MAC Address in the system and Network Layer. The model in the system is similar to Sever&Client in structure. Using this system, it is very easy to combine one network device with other network system. A robot system and PDA are us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system in home network enviro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