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arried Couple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Remarried Couples' Marriage Satisfaction)

  • 김효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1-184
    • /
    • 2021
  •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혼부부 10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프로그램은 재혼가족의 갈등이나 어려움뿐만이 아니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토대로 가족구성원 상호 간의 이해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재혼부부가 부부 간의 유대감 강화로 갈등문제를 해결하고 결혼만족감을 높이는 것은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이끌어줄 뿐만 아니라 가족원의 행복도 역시 증진시켜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재혼가족에 대한 실태 및 재혼생활의 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remarried families and quality of remarital relationship)

  • 정현숙;유계숙;임춘희;전춘애;천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0
    • /
    • 2000
  • Using in-depth in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quality of remarital relationship with 64 remarried people. It was found that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and marital boundary was clear in couples formed when both husband and wife remarry than in couples formed when only one parker remarries. It was also found that similarities in losses in prior relationship and experiences between remarried husband and wife migh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quality of remarital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a good predictor of the quality of remarried relationships including parent-child relationship, stepparent-stepchild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kins. Future researc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added.

  • PDF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f Remarried Couples, Marital Intimacy, Marital Conflict Coping Style on Marital Satisfaction)

  • 박희정;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36-252
    • /
    • 2017
  • 본 연구는 재혼부부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연구로서,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에 살고 있는 30세 이상의 재혼부부를 대상으로 2017년 4월 4일부터 4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설문은 총 48부를 배포하였으며,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재혼부부의 자기분화수준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친밀감과 성적 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대처방식인 성격요인은 결혼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접결과 낮은 자기분화수준은 결혼만족도와 부부친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부갈등에 악순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혼부부를 위한 결혼만족도 향상 프로그램은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을 고려하여 통합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재혼가족의 가족갈등 사례분석 (A Case Analysis on Remarried Family with Family Conflict)

  • 박태영;김태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15-28
    • /
    • 2010
  •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peated conflict of remarried family from family systems perspective, and used the verbatim of family members, who were participated in family therapy, as analysis data. the study used Miles and Hubernam's matrix, graph, and graphical network display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After the couples remarried, a husband and two step-children, who were born in ex-wife, use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o keep the established family systems. Also, a wife use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o change the existing family systems. Thes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which were used by family members, caused vicious cycle rather than resolving the family conflict. The differences of remarried husband first-married wife, and the differences of blooded and non-blooded relationships among family members had influenced on family conflict.

재혼 노인이 겪는 어려움과 대처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Difficulties experienced and Coping process of Remarried elderly)

  • 이도영;이혜진;정은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77-58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한 노인들이 겪는 경험의 세계를 사고방식 및 생활양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서이다. 연구대상자는 자신의 경험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는 65세 이후 재혼한 부부 3쌍을 임의표집 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며, 참여자 진술로부터 86개의 의미 있는 문장을 도출하고 30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13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중심현상은 '결혼생활에 대한 양가감정'이었으며, 이를 조율해 나가는 중재조건은 '배우자와 가족들의 인정과 신뢰', '적절한 보상'이었으며 이를 대처하도록 고안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배우자를 이해하려고 노력하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재혼 노인의 결혼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영위하고 홀로된 노인들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mong the Citizens of Seoul)

  • 유계숙;유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9-94
    • /
    • 2002
  •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using data from a sample of 999 residents aged 14 to 89 year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mily concepts of the subjects imply marital and/or parent-child relationships with normative gender role. People tend to regard divorced, remarried, and adopted members as famines, while classifying gay/lesbian couples, members living together in a communal fashion, and single households into nonfamily groups. People evaluate that the current Korean family doesn't adequately meet the functional needs of families in emotional support, solidarity, recreation, leisure, social and economic security, and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ulture. Mor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 개념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Concept and Values among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 천혜정;이정수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4호
    • /
    • pp.63-80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the family concept and family-related values among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Questionnaires are completed by 242 pre-service home economics teach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pondents defined the family as a blood ties, a resting place, affection, and warmth. They tend to regard divorced, remarried, and adopted members as families, while classifying homosexual couples, members living together in a communal fashion, and great-great grandparents into nonfamily groups. Majority of them agree that it had better to get married or it depends on personal circumstances. In terms of cohabitation, they think it can be an opportunity to check the compatibility before marriage. Also, they perceive parenthood as a personal lifestyles, statement of social maturation, sound mind, and realization of morality. They agreed to divorce relatively high in case of unfaithfulness and relative troubles, but agreement of divorce was relatively low because of instrumental reason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group majoring clothing and textile perceives the most negatively the influence of divorce to children. Further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