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maining Teeth

검색결과 300건 처리시간 0.021초

Formocresol, Glutaraldehyde가 유견 계승치 치배 및 주위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병리조직학적 연구 (THE EFFECTS OF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ON THE PERFORATED INTERRADICULAR TISSUES AND TOOTH GERMS OF PRIMARY TEETH IN DOGS)

  • 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3
    • /
    • 198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to tooth germs and periapical tissues after perforation of interradicular portion of pulpal floor and application of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in control groups,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in experimental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control groups, normal healing processes were seen, and, on the sixteenth day, the epithelization of injured areas was completed. Inflammatory reactions were limited to the injured surface, and the underlying alveolar bone were normal and successive tooth germs were normal. 2. In both formocresol groups and glutaraldehyde groups, tissue reactions were identical. Inflammatory reactions were slightly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but the surface epithelizations were delay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3.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necrosis was seen in superficial tissue of bone marrow, and, at 24th day, center area of bone marrow on the successive tooth germs were losed and replaced with connective tissue, and superficial soft tissue of the injured area was connected with soft tissue on the successive tooth germ. In remaining alveolar bone, osteoclastic reaction was remarkable. 4.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there is no injury to the successive tooth germs. 5. In both formocresol and glutaraldehyde groups, periodontal membrane was normal, but the partial resorption of cementum and dentin near the injured area were seen.

  • PDF

법랑아세포종 제거후의 Implant보철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BY USING OSSEOINTEGRATE IMPLANT AFTER REMOVAL OF AMELOBLASTOMA)

  • 안상헌;김종필;조병완;안재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5-102
    • /
    • 1997
  • Ameloblastoma is the most agrressive ofht odontogenic tumors and it arises from the dental lamina or the derivatives of lamina. Ameloblastoma is a benign but locally invasive neoplasm consisting of proliferating odontogenic epithelium lying in a fibrous stroma. Usually the ameloblastomas are diagnosed in the forth and fifth decardes. Over 80% of them occur in the mandible, the remainder in the maxilla. The preferred treatment for ameloblastoma is radical excision, conserving(when possible.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The functional and e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 may prevent the remaining structures from supporting conventional prosthetic treatment. Patients with long edentulous spans, malpositioned teeth, residual ridges defects and high muscle attachments may be offered an osseointegrated fixed prosthesis.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s provide a viable alternative of tooth replacement. This is a case report of 16 year old female with ameloblastoma. We treated patient with radical excision, conserving the inferior border of the mandible and allogenous bone graft. The defected residual ridge area was reconstructed implants(Steri-Oss Implant System). the result was satisfactory.

  • PDF

치근 이개부 병소의 치근처방법에 따른 주사현미경적 연구 (The SEM Observation of The Various Root Treatment Effect On Furcation Area)

  • 박현수;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205-215
    • /
    • 1997
  • In periodontal regeneration treatment, access to the frucation area is very difficult. Thus complete removal of plaque, calculus and endotoxin is somewhat impossible. In this study, teeth that were extracted due to periodontal disease were used. The furcation area was treated with periodontal curette, ultrasonic scaler, roto bur and they observed using SEM. The result was follows 1. The group treatment with curette showed remaining plaque, the cementum existed in most of the surface and partial dentinal tubule orifice could be seen. 2. The group treatment with ultrasonic scaler showed less removalof plaque compared to curette and irregular surface could be seen. 3. The group treatment with roto bur showed cleaner surface and many dentinal tubule orifice could be seen compared to the curette and ultrasonic scaler groups. Thus when suing treatments such as bone grafting 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furcation area should be treatment with Roto bur.

  • PDF

McLean의 기능 인상법에 기반한 새로운 인상채득법 (An alternative impression technique based on McLean's functional impression concept)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2-37
    • /
    • 2017
  • 본 증례에서는 소수 잔존치를 가진 환자에 있어 새로운 인상 채득법을 이용해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이 방법에서는 McLean의 기능인상법의 개념에 따라 임시 의치를 이용한 기능 인상채득 후에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로 overimpression을 채득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모델링 컴파운드를 사용한 변연 형성의 필요성이 없으며, 짧은 시간에 과연장되지 않은 의치 인상을 채득할 수 있으며 개인 트레이가 정확하게 적합된다는 유용성이 있다.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한 인상채득 (Impression procedures for removable partial dentures)

  • 허유리;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52-158
    • /
    • 2014
  • 저작기능의 회복과 더불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며 잔존치아와 치조점막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가철성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구강내의 형태적, 기능적 상태를 재현하는 모형제작이 필수적이다. 국소의치 제작을 위해서는 진단모형과 주모형의 제작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예비인상과 최종인상 채득 과정을 거치게 된다. 국소의치의 인상채득은 고정성이나 총의치 인상과 다르게 치아부위와 조직부위 모두가 잘 인기되어야 하고 치아 결손 부위에 따라 교합을 지지하는 부위가 달라지므로 증례에 따른 적절한 인상재와 인상채득 방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정확한 임상적 적용이 요구된다.

K-FILE과 초음파 기구의 도말층제거효과에 대한 주사전자 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EMOVING EFFICIENCY OF SMEAR LAYER BY K-FILE AND ULTRASONIC INSTRUMENT)

  • 이수종;임미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1호
    • /
    • pp.97-105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mear layer removing efficiency of two root canal preparation techniques. Twelve single-rooted teeth were used in two groups of six each. Group 1 was biomechanically prepared by hand using a K-file with a high volume of normal saline irrigation. Group 2 was. prepared by using ultrasonically activated K-file with a constant high volume of normal saline irrigation. After the experimental procedures, each root was split saggitally. The removing efficiency of the preparation methods were assessed in terms of surface condition of the canal walls at three levels, those coronal, middle, and apical thirds. On the basis of remaining debris, presence of smear layer, and patency of dentinal tubules, each canal was evaluated according to a scale form 0 to 2. A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indicat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face condition between the two methods.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hand instrumentation and ultrasonic instrumentation at the cervical third but removing efficiency of ultrasonic instrumentation was superio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hserved for middle or apical third.

  • PDF

당뇨병 환자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 치주질환지수 및 구강위생 상태 (DMFT Index, Periodontal Index and Oral Hygiene Status in Diabetic Patients)

  • 이경동;이희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62-71
    • /
    • 2005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당뇨병 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여 당뇨병의 적절한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지역의 일개 보건 진료소에서 당뇨병 환자 및 내당능 장애로 진단되어 관리하고 있는 50명을 환자군으로 먼저 선정하였고 대조군은 환자군의 연령과 성비를 고려하여 같은 지역에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50명을 대상으로 구강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우식경 험영구치지수(DMFT index)는 각각 $18.10{\pm}8.34$, $14.54{\pm}7.98$로 당뇨병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우식치지수와 충전치지수는 두 군간의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실치지수는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 치주질환지수(PI)는 각각 $3.48{\pm}0.95$, $2.90{\pm}0.93$으로 당뇨병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연령대별로 보면 50대와 60대에서는 당뇨병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p<0.01, p<0.05), 70대에서는 두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구강위생상태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당뇨병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 잔존치아수는 각각 $16.1{\pm}10.35$, $20.04{\pm}8.70$으로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이 결과로 볼 때 당뇨병 환자군에서 평균우식경험영구치지수(DMFT index), 상실치지수(MT index), 치주질환지수(PI)가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잔존치아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구강상태를 파악함으로 당뇨병 환자의 구강 건강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상아질 지각과민 측정 도구로서의 전기치수검사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Electric Pulp Test (EPT) as a Tool for Measurement of Dentinal Hypersensitivity)

  • 김영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371-378
    • /
    • 2002
  • 이번 연구에서는 19명 환자의 40개 상아질 지각과민 치아를 조사하였다. 지각과민증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계, 온도 및 전기적 자극을 사용하였다.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치료제로는 Gluma(R) Desensitizer (Heraeus Kulzer GmbH & Co., Germany)를 사용 하였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지각과민증의 치료 전에 협면의 치관 $\frac{1}{3}$ 부위에서 전기치수검사를 시행하여 치수 생활력을 조사하였고, 그 측정치를 기록하였다. 그리고 기계 및 온도 자극을 이용한 검사를 시행하여 지각과민증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지각과민증이 존재함을 확인한 후에 지각과민증의 마모부에서 전기치수검사를 실시하였다. 치약을 전해질로 사용하였고 반응시의 숫자를 기록하였다. 이후 Gluma(R) Desensitizer를 이용하여 지각과민증을 치료하였다. 치료 후 마모 부위에서 기계, 온도 및 전기 검사를 다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기계 및 온도 자극에 대해 40개 치아 모두에서 지각과민증 치료 전에는 반응을 보였으며 치료 후에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치관 $\frac{1}{3}$ 부위에서 전기치수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모든 치아는 31에서 65 (48.9${\pm}$7.2)의 범위에서 반응하였다.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치료 전에 전기치수검사를 실시하였을 때 34개의 치아는 2에서 반응하였고 나머지 6개의 치아는 17에서 25 범위에서 반응하였다. 치료 후에는 40개 치아 모두가 12에서 27 (19.6${\pm}$3.5)의 범위에서 반응하였다. 치료 전에 2보다 큰 숫자에서 반응을 보인 여섯개의 치아는 18에서 23의 범위에서 반응하였다. 이번 연구의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보이는 치아가 기계 및 온도 자극에 반응을 보인다면 그 치아는 마모된 면에서 낮은 전기저항을 보인다. 반면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치료하여 기계 및 온도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그 치아는 마모면에서 증가된 전기저항을 보인다. 전기치수검사는 상아질 지각과민의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치수검사는 상아질 지각과민증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전기치수검사는 상아질 지각과민을 측정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차아염소산나트륨과 클로르헥시딘의 반응침전물 형성방지를 위한 여러 가지 근관세척 방법의 비교 (THE COMPARISON OF DIFFERENT CANAL IRRIGATION METHODS TO PREVENT REACTION PRECIPITATE BETWEEN SODIUM HYPOCHLORITE AND CHLORHEXIDINE)

  • 최문선;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2호
    • /
    • pp.80-87
    • /
    • 2010
  • 이 실험의 목적은 NaOCl과 CHX의 혼합사용 시, 발생하는 침전물의 형성을 막기 위해 두 용액간의 접촉을 줄일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비교하고, 관찰된 침전물의 원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발거된 50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2.5% NaOCl을 이용하여 .04 taper ProFile #40까지 근관형성 하였다. 치아는 다음과 같은 근관세척 방법에 따라 4개의 실험군과 1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 2.5% NaOCl, 1군: 2.5% NaOCl + 2% CHX, 2군: 2.5% NaOCl + paper points + 2% CHX, 3군: 2.5% NaOCl + .04/#45 근관확대 + 2% CHX, 4군: 2.5% NaOCl +95% alcohol+ 2% CHX. 근관세척 후 치아를 양분하고 치관부, 중간부, 치근부 세부위로 나누어 전계 방사형 주사 전자현미경을 통하여 잔사 비율, 개방 상아세관 비율, 상아세관 내 물질의 원소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 사이에 잔사비율과 개방된 상아세관 비율 비교에서 통계학 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 군의 한 시편에서 C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N과 Cl도 함께 검출되어 para-chloraniline으로 추정되며, 1 군의 다른 시편과 나머지 실험군에서는 O, P, C, Ca의 순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수산화인회석으로 추정된다. NaOCl 세척 후 바로 CHX 세척을 한 군에서 PCA로 의심되는 물질이 검출된 바, 두 용액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하며, 본 실험에 사용된 여러 근관 세척방법 이용 시 침전물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디지털 진단 분석을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vertical dimension loss using digital diagnostic analysis: A clinical report)

  • 최예원;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87-496
    • /
    • 2021
  • 완전 구강 회복이란 구강 내 잔존치아와 결손치아를 수복하여 구강의 건강, 기능 및 아름다움을 개선하고 구강악계의 다른 조직과 조화되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다수 치아가 상실될 경우 환자의 교합평면은 점차 붕괴되어 가며 수직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수직고경은 악관절 및 저작근에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이 요구된다. 본 증례 환자는 68세 여환으로, 현재 사용 중인 가철성 국소의치가 파절되어 식사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철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과 마모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 고경의 상실을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분석 단계에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교합면을 설정하고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BCT 영상을 사용하여 악안면계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의 위치를 정렬하여 환자의 상태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가상으로 정렬한 가상 페이스보우를 실물 교합기로 옮겨와서 한번 더 진단 분석하였다. 평가 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가 이상 없이 적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68세의 여성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