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 benefit perceptio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7초

공유경제 환경에서 차량 공유서비스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국의 디디추싱(滴滴出行)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tilization of Vehicle Sharing Service in the Sharing Economy Environment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Didi Chuxing Case in China)

  • 윤민석;판찬;곡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7-166
    • /
    • 2021
  • As vehicle sharing service is being widely used in China. The sharing economy appeared to be a way to make people's lives more convenient and to utilize limited resources efficiently. Sharing economy companies have created an app to satisfy users' needs with providing more benefits. Although research on vehicle sharing services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at the level of the sharing economy,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sharing economy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In this sense, this study considered the perceived relationship benefits (social benefits, economic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and functional benefits) of Didi chuxing service as the key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users'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And suggests that users'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are the key determinants of Didi continuance intention .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this study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268 data collected on the users who have experience of Didi service.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verifies that: First, social benefits, economic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and functional benefits are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Second, expectation confirmation depends on economic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s, functional benefits and social influence, meanwhile, social benefit has no effect on expectation confirmation. Third, expectation confirmation is proved to be a positive predictor of users' satisfaction. Finally, this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ous use intention is determined by users' satisfaction.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Fun Factors on Willingness to Continue Exercis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Table Tennis Club Members)

  • 김점순;홍상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2호
    • /
    • pp.149-156
    • /
    • 2023
  • 본 연구는 생활체육 탁구 동호인의 스포츠 재미요인이 운동지속의지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알아보고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탁구 동호인 293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재미요인, 운동지속의지, 심리적 행복감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운동지속의지에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지원으로 파악되었으며 운동지속의지는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미요인인 유능성/지각, 승리/경쟁, 대인관계, 연습/혜택, 가족의 지원이 심리적 행복감인 자아실현, 쾌락적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에서 운동지속의지의 매개 효과분석 결과 유능성/지각만을 제외한 모든 요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대인관계(팀 분위기) 요인이 타 요인보다 자아실현과 쾌락적 즐거움에 높은 매개효과를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state-action orientation(SAO)에 따른 녹색제품 구매행동 영향요인 분석 - 중국 도시 소비자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Gree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with Regard to State-Action Orientation(SAO): - Focus on Chinese Urban Consumers -)

  • 유양;황윤섭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1-355
    • /
    • 2014
  • 중국의 환경오염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 따라서 경제성장과 동시에 환경오염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발전 관점에서 중국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일반 소비자들이 녹색제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소비이념을 전환시키고 녹색소비자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중국 도시 소비자들의 녹색제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인간의 개성을 구별하는 유지-행동 성향이 어떤 식으로 구매의도와 구매행동 사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했다. 그 결과, 정부, 사회환경, 소비자 효과성 지각, 공포소구는 녹색제품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환경에 대한 관심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지-행동 성향은 구매의도와 구매행동 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로써, 행동성향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지성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린이집의 자유놀이에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들 (Examining Children's Peer - relationship Strategies of Free Play in a Child-care Center)

  • 전가일;이순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407-436
    • /
    • 2013
  • 이 연구는 놀이 참여자들의 놀이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또래관계 전략을 살피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증적 방식을 지양하고 유아의 생활세계인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자유놀이 시간을 참여관찰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10월까지 매주 1-2회에 걸쳐 현장을 방문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의 관찰기록, 참여자 면담, 참여자 기록물 등이다. 연구결과, 유아는 놀이 틀 유지를 위해 '거절하기', '무력화시키기', '동의적 해석해주기', '놀이의 규칙 바꾸기'와 같은 전략을, 놀이 틀 변화를 위해 '이르기', '내편으로 만들기', '제 3자 받아들이기'와 같은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놀이 틀 유지를 위한 유아의 전략들은 유아가 선택과 배제의 변증법과 경계의 떨림이라는 삶의 의미를 경험하는 존재임을 드러내었다. 이 연구는 놀이 틀 유지와 변화를 위한 유아의 구체적인 노력을 드러냄으로써 그동안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오던 '사회적 배척'에 대해 유아의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관련 현장의 교사들이 유아의 또래관계에 개입할 때 유아의 관점을 이해하고 보다 구체적인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소셜커머스에서 거래의 특성이 분배적 정의와 거래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action Characteristics on Distributive Justi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ocial Commerce)

  • 방영석;이동주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3권2호
    • /
    • pp.1-20
    • /
    • 2013
  • Social commerce has been gaining explosive popularity, with typical examples of the model such as Groupon and Level Up. Both local business owners and consumers can benefit from this new e-commerce model. Local business owners have a chance to access potential customers and promote their products in a way that could not have otherwise been easily possible, and consumers can enjoy discounted offerings. However, questions have been increasingly raised about the value and future of the social commerce model. A recent survey shows that about a third of 324 business owners who ran a daily-deal promotion in Groupon went behind. Furthermore,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merchants did not express enthusiasm about running the promotion again. The same goes for the case in Korea, where more than half of the surveyed clients reported no significant change or even decrease in profits compared to before the use of social commerce model. Why do local business owners fail to exploit the benefits from the promotions and advertisements through the social commerce model and to make profits? Without answering this question, the model would fall under suspicion and even its sustainability might be challenged.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problems in the current social commerce transactio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commerce model, so that the model would get a foothold for next growth. Drawing on justice theory, this study develops theoretical arguments for the effects of transaction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distributive justice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social commerce.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wo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transactions-the discount rate and the purchase rate of products-and investigates their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for discounted transactions in the social commerce and their perception of distributive justice for regular-priced transactions.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urchase intention. W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and gathered data from 115 participants to test the hypotheses. Each participant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nine manipulated scenarios of social commerce transactions, which were generat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ree levels of purchase rate (high, medium, and low) and three levels of discount rate (high, medium, and low). We conducted MANOVA and post-hoc ANOVA to test hypothese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nsaction characteristics (purchase rate and discount rate) and distributive justice for each of the discounted transaction and the regular-priced transaction. We also employed a PLS analysis to test relations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purchase intentions.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higher discount rate increases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discounted transaction but decreases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regular-priced transaction. This, coupled with the result that distributive justice for each type of trans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rresponding purchase intention, implies that a large discount in the social commerce may be helpful for attracting consumers, but harmful to the business after the promotion. However, further examination reveals curvilinear effects of the discount rate on both types of distributive justice. Specifically, we find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discounted transaction increases concavely as the discount rate increases while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regular-priced transaction decreases concavely with the dscount rate. This implies that there exists an appropriate discount rate which could promote the discounted transaction while not hurting future business of regular-priced transactions. Next, the purchase rate is found to be a critical factor that facilitates the regular-priced transaction. It has a convexly positive influence on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transaction. Therefore, an increase of the rate beyond some threshold would lead to a substantial level of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regular-priced transaction, threrby boosting future transactions. This implies that social commerce firms and sellers should employ various non-price stimuli to promote the purchase rate. Finally, we fi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 rate and distributive justice for the discounted transa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브랜드애호도에 따른 가격할인율의 차이가 소비자의 획득가치와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ce Discount Rate According to Brand Loyalty on Consumer's Acquisition Value and Transaction Value)

  • 김영이;김재영;신창락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47-269
    • /
    • 2007
  • 현대에 있어 동질적인 품질과 편익을 제공하는 제품을 가지고 다수의 기업들이 시장점유율 증대와 고객확보를 위하여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가격할인은 기업이 즐겨 사용하는 촉진수단이다. 가격할인은 단기적 매출향상, 소비자의 브랜드전환, 신제품의 시장침투 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실제로 과거의 실증연구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가격할인이 판매증대에 효과적이며 가격할인은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하지만 할인된 가격은 제품의 품질을 의심하게 하거나 낮게 평가하는 부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모든 제품카테고리와 모든 구매상황에 대하여 가격할인이 소비자의 지각가치를 향상시킨다고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애호도의 차이가 있는 제품을 대상으로 가격할인율에 따라 소비자의 지각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함으로서 브랜드애호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브랜드애호도가 강한 경우에는 가격할인에 의한 지각희생의 감소량이 크지 않았고 브랜드 자체에 대한 신뢰도와 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가격인하가 브랜드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제품에 대한 지각획득가치와 지각거래가치는 가격할인율이 낮을 때 보다 큰 경우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브랜드애호도가 약한 경우에는 제품으로부터 획득하게 되는 편익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낮은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보면 가격할인이 클 때에 제품의 품질과 편익을 더욱 평가절하하거나 심리적으로 지각희생의 크기가 증가됨에 따라 지각가치가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 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Individual Thinking Style leads its Emotional Perception: Development of Web-style Design Evaluation Model and Recommendation Algorithm Depending on Consumer Regulatory Focu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4호
    • /
    • pp.171-196
    • /
    • 2018
  •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 중 웹 스타일에 대해서 소비자 감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기존 웹 스타일 연구들은 웹의 레이아웃과 구조도 등과 색상 등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차별되게 웹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의 감성 지표만을 갖고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검증을 위해 소비자 204명을 대상으로 40개 웹 스타일 테마를 선정, 각 소비자에게 4개씩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에게 평가하도록 한 감성 형용사는 18개의 대비되는 쌍을 갖는 감성 형용사로 구성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상위 감성 지표를 추출했다. 각 감성 지표들은 '부드러움', '모던함', '명확함', '꽉 참' 이었으며, 감성지표들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 1과 2, 3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의 경우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정의 방향이 아닌 부의 방향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조절 초점 성향이 감성이라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했다. 조절 초점 성향은 조직 행동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정치, 문화, 윤리적 판단 및 행동은 물론 광범위적 심리적 문제와 사고 프로세스, 감정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조절 초점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세부 가설을 수립했다. 세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설 5는 부분적으로 지지됐고, 가설 5.3만 지지되었고, 5.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가설과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되었다. '명확함'의 경우 향상 초점이 소비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보였고, 예방 초점일수록 '꽉 참'을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 초점 성향을 향상, 예방, 중간 성향으로 3집단으로 구분, 소비자 감성 기반으로 웹 스타일에 대한 추천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노인의 근력강화운동이 일상생활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김희자;홍여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73
    • /
    • 1995
  •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Recent statistics shows that the aged are the fastest growing segment of our population by increasing life span. The age group of over 60 shows multiple health problems and the most serious handicapping problem of these.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muscular skeletal system. With aging, people lose. their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resulting from biological changes and physical inactivity. Studies documented a 30-50% loss of muscle mass in an advanced age and thus, ordinary life activities can be seriously affected due to weakened muscle strength. Preservation of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aged. Since it is readily affected from reduced physical activity in old age, sometimes to the detriment of moving or walking. So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designed for the elderly to improve leg muscle strength and leg muscle endurance. The research design used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 protest desig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utilizing Leg Press on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quality of life. Forty nin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 male and twenty five female. Twenty four experimenta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C-institution in Chung Buk province, and twenty five control group subjects were selected from O-institution in Chung Nam provinc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2.8 years.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utilizing Leg Pres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9 week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993 to October, 1993.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t-test, ANCOVA test, Kruskal Wallis 1-Way ANOVA test using SPSS PC program.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muscle strength (leg lift strength, back lift strength and grip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than control group after the experiment $\ulcorner$F=52.35(p=.001), F=54.07(p=.001), F=6.97(p=.011), F=18.17(p=.001)$\lrcorner$ 2)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IADL than control group(F=7.51, p=.009). 3)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economical state and self esteem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than control group $\ulcorner$F=10.59(p=.002), F=6.97(p=.011)$\lrcorner$.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motional state,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nd relationship with reatives i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groups. 4) Scores on IAD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ulcornerx^2=7.73(p=.025),\;x^2=8.86\;(p=.011)\lrcorner$ 5) Scores on self esteem and physical and functional state aspects of the quality of life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level of IADL $\ulcornerx^2=11.39(p=.003),\;x^2=9.02(p=.011)\lrcorner$. 6)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experiment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perceived benefit on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emotion on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ulcorner$F=32.09(p=.001), F=5.07(p=.029), F=20.63 (p=.001), F=30.38(p=.001)$\lrcorner$.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ffect of strength training exercise program with Leg. Press had improved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IADL, and the perception of self esteem, physical and funtional state, and economical state. Thus strength training program could be beneficially applied for the prevention of disablity and promotion of health and wellbeing in the aged easily and safel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ve maintained their exercises till six months after the cessation of the experiment. This seem to illustrate that changes in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and the improvement in health status have reinforced motivation for the continuation of voluntary exercises. A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maintainance of muscle strength exercise and to assess the effect of weight training program on bone density.

  • PDF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about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 이영선;신은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27-54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