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orced shotcret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급결제에 따른 숏크리트의 응결, 강도 및 리바운드율 (Setting Time, Strength and Rebound Rate of Shotcrete according In Accelerators)

  • 이성행;김용하;함형길;김관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427-4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실리케이트계 급결제, 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 시멘트 광물계 급결제를 사용하여 모르타르의 응결시간과 압축 강도를 실내시험하고, 현장에서 제작된 공시체로 숏크리트의 압축강도, 휨 강도, 휨 인성 및 리바운드율 시험을 시행하여, 급결제가 숏크리트에 미치는 응결, 강도, 시공성을 비교 검토하고, 특히 시멘트광물계 급결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급결제 종류별로 비교한 압축강도의 값은 각 재령별로 숏크리트의 강도 기준에는 적합하였으나 재령 28일의 강도비 $75\%$ 이상의 규정에는 시멘트광물계만이 $87\%$로 규격에 적합하였다. 휨강도시험 결과는 강섬유 숏크리트에 대한 기준에 시멘트광물계는 모든 적합하였으나 알루미네이트계는 재령 28일에서만 기준치에 적합하였으며, 실리케이트계는 모든 기준에 미흡하였으며, 휨 인성 실험결과 한국도로공사 기준에 시멘트광물계와 알루미네이트계는 규정값에 적합하였으나, 실리케이트계는 이기준에 미흡하였다 리바운드율 시험결과는 대체로 $11{\~}19\%$사이였으며, 시멘트광물계 급결제를 사용한 쪽이 알루미네이트계와 실리케이트계 급결제를 사용한 것보다 $2{\~}3\%$ 정도 작게 나타났다. 시멘트광물계 급결제는 초기의 높은 강도와 함께 종래의 급결제가 가지는 장기강도 저감을 극복하고 고강도화 됨으로써 고성능 숏크리트의 품질확보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속도로 터널막장 천단부의 붕락구간에 대한 지반보강 (The Ground Reinforcement on Daylight Collapsed Block of Crown Head in the Face of the Tunnel of Highway)

  • 천병식;정덕교;한기식;정진교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3-330
    • /
    • 1999
  • Daylight collapse have been occurred by about 5.0m deep at ground surface and collapse of the crown head part of the tunnel have connected to the ground surface during first step of shotcrete work after blasting of upper half section of the tunnel driving at two-way double track tunnel face section on highway construction. This study is for a successful illustration case for the earth improvement method through applying such strengthening methods as cement milk grouting, S.G.R grouting,, steel pipe reinforced multi-step grouting etc. for the purpose of earth strengthening of loosened earth block occurred by tunnel collapse.

  • PDF

Application of Norwegian Method of Tunnelling (NMT) Principles to bypass landslides in mountainous terrain

  • Bhasin, Rajinder;Aarset, Arnstein
    • 자연, 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
    • 제22권1호
    • /
    • pp.26-35
    • /
    • 2020
  • Tunnelling to bypass major landslide areas is considered as a good and long-term environmentally friendly solution to reduce an existing hazard. In Norway, hundreds of kilometres of tunnels have been constructed in areas prone to landslides and snow avalanches. Although tunnelling is considered as an expensive mitigation strategy for bypassing landslides, analysis indicate that in some cases the cost of building a tunnel can be repaid by savings in driving costs (fuel) alone over a period of 5-10 years due to reduced driving distances. The other benefits of constructing tunnels in landslide areas include savings in time and increased safety. The Norwegian Method of Tunnelling (NMT) is considered safe,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compared to other tunnelling techniques. Some aspects of NMT, which are considered safe and cost efficient, are presented. The application of updated rock support techniques, including reinforced ribs of shotctrete (RRS),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Norwegian Method of Tunnelling (NMT), is highlighted.

복합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 부재의 균열제어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the Crack Control of Concrete Lining Reinforced by Composite Fibers)

  • 양우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41-50
    • /
    • 2010
  • 터널 구조물은 다른 사회간접시설과 마찬가지로 시공과정에서부터 사용연한까지 지속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NATM 공법으로 시공되는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은 터널의 외장재로 취급되어 왔지만, 근년에 와서 노후화된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구조적 균열에 대한 문제가 야기되면서 터널의 장기적인 안전성을 유지하는 최종 지보수단인 구조재로 고려되고 있다. 콘크리트 라이닝 천단부의 종방향 균열 발생은 콘크리트 시공방법과 같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콘크리트 라이닝 타설시 강재 거푸집의 천단부 부터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 콘크리트가 측벽 쪽으로 유동하면서 충전되어 천단부 라이닝 콘크리트는 마지막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때문에 천단부의 상부에 공동이 발생할 우려가 크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라이닝의 두께도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에서 여러 요인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라이닝에서 발생하는 균열 특성, 기존 강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과 복합섬유보강 콘크리트 라이닝의 수치해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터널 라이닝 천단부에 강섬유와 복합섬유의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 라이닝 부재의 파괴하중과 변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강섬유 보강 숏크리트의 휨인성 평가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flexural toughness evaluation method of steel fiber reinforced shotcrete)

  • 김재동;김덕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2호
    • /
    • pp.196-210
    • /
    • 2000
  • 본 연구는 현재 한국도로공사에서 시행하고 있는 강섬유보강 숏크리트(SFRS)의 휨인성 평가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는 6종류의 강섬유를 사용하여 33개의 삼등분점굴곡시험용 빔 블록을 현장 타설 후 양생한 후 절단, 제작하였으며, 휨인성시험은 실험실에서 실시하였다. 한국도로공사의 시험지침을 따라 등가휨강도 및 인성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이 결과는 ASTM, ITA 및 EFNARC의 평가 기준을 적용한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도로공사 평가 방법에서는 인성계수가 휨강도의 영향에 의하여 평가 결과에 모호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하여 인성계수의 계산에 적용되는 휨강도를 설계 시에 설정된 설계휨강도로 대체, 적용하는 방법이 보다 적절히 SFRS의 휨인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강토옹벽의 배부름현상 분석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Through Field Experiment)

  • 이원홍;문병조;이승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03-112
    • /
    • 2019
  • 본 연구는 공용 중 보강토옹벽에 발생하는 배부름현상을 보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현장실험으로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강토옹벽의 배수시설을 미설치하여 강우에 의해 배부름현상이 유도되도록 하였으며, 시공 후 15일간 변위속도가 크게 발생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유도된 배부름현상의 변위는 미연방도로국(FHWA)의 시공 중 수평변위 기준을 적용하여 판단하였다. 배부름 현상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토옹벽에 소일네일을 설치하고, 네일의 두부를 수평으로 서로 연결하여 보강토 옹벽의 블록들을 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강재들의 보호를 위해 숏크리트로 보강면을 마감하고 계측장치를 설치하였다. 배부름현상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변위의 진행을 검측한 결과 보강 후 수평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보강방법의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지압 하에 있는 대규모 지하공동의 지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System of Large Caverns Under High Initial Stress)

  • 박연준;유광호;최영태;김재용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4권2호
    • /
    • pp.154-16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측압이 매우 큰 암반에 대규모 유류저장공동을 병렬로 굴착할 경우, 공동 및 지보재의 역학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수치해석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공동 주변 암반의 거동을 분식하고, 주된 지보재인 rockbolt와 숏크리트의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각 지보재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적정한 지보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지보재 모델링 기법, 공동 단면 형상, 지보재의 규격 등이 공동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해석결과 지보재의 타설시기와 다단계 굴착에 따른 공동 형상의 변화가 지보재에 발생하는 응력에 큰 영향이었음을 알 수 었었으며,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변형 및 파괴 특성을 고려한 해석기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이크로 역학과 레올로지 제어에 의한 고인성 섬유복합재료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의 다양한 타설 공정 구현 (Facilitation of the Diverse Processing of High Ductile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Based on Micromechanics and Rheological Control)

  • 김윤용;김정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5호
    • /
    • pp.27-39
    • /
    • 2005
  • In the recent design of high ductile fiber-reinforced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optimizing both process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specific applications is critical. This study presents an innovative method to develop new class ECCs, which possess the different fluid properties to facilitate diverse types of processing (i.e., self-consolidating or shotcrete processing) while maintaining ductile hardened properties. In the material design concept, we employ a parallel control of fresh and hardened properties by using micromechanics and cement rheology. Control of colloidal interaction between the particles is regarded as a key factor to allow the performance of the specific processing. To determine how to control the particle interactions and the viscosity of cement suspension, we first introduce two chemical admixtures including a highly charged polyelectrolyte and a non-ionic polymer. Optimized mixing steps and dosages we, then, obtained within the solid concentration predetermined based on micromechanical principl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rheological properties altered by this approach were revealed to be highly effective in obtaining the desired function of the fresh ECC, allowing us to readily achieve hardened properties, represented by pseudo strain-hardening behavior in uniaxial tension.

개구부를 가지는 전단벽의 숏크리트 보강 (Shotcrete-Retrofit of Shear Walls with an Opening)

  • 최윤철;최창식;김현민;이리형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71-80
    • /
    • 2007
  • 기존 시멘트에 비해 우수한 인장변형성능을 가지는 고인성 시멘트 복합체(HPFRCC)를 보수, 보강에 적용 시키려는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PFRCC의 일종인 ECC와 초속경 숏크리트인 MDF의 보강성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체는 실존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단벽을 1/2 축소하여 제작하였으며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실험결과 WB-MDF, ECC는 WB-0.23에 비해 각각 28.4%, 48.4%의 강도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WB-ECC가 WB-MDF에 비해 연성면에서 우수하게 나타났다.

폴리프로필렌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성능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

  • 이수열;박연준;김수만;유광호;장성일;서영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5호
    • /
    • pp.378-389
    • /
    • 2010
  • 해저에 시공되는 터널은 일반시공보다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해수의 침입에 따른 염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철근과 강섬유의 부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수 침투에 따른 염해 가능성이 염려되는 터널에서 최근 내부식성 섬유로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는 폴리프로필렌섬유를 대상으로 강섬유와의 성능 비교를 통하여 적정 배합비를 결정하고, 원형패널 시험과 휨인성 시험을 통해 지보재로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저에 시공되는 터널에서 섬유보강재의 선택 및 섬유보강 숏크리트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