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al Behavior Between Soil and Reinforcements)

  • 유남재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5권3호
    • /
    • pp.51-62
    • /
    • 1989
  • 보강토옹벽의 원심모형분험의 예비실험으로서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의 특성을 조사.연 구하기 위하려 마찰실험을 행하였다. 보강재의 종류 및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들이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편 다른 두가지 실험방법(직원전단시험과 인발시험)을 택하여 어떤 방법이 실제 현장에서의 보강재의 거동을 잘 나타내는지를 비교.검토하였다.

  • PDF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표면온도 저감 효과 (Reduction Effect on Surface Temperature of Reinforced Soil Wall with Vegetated Facing)

  • 정성규;이광우;조삼덕;김주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53-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의 식생 환경 적합성을 모니터링하고, 전면벽체 표면온도 측정을 통해 한여름철의 콘크리트 옹벽 전면벽체의 온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식생이 가능하도록 식생 포대를 삽입한 특수 블록 벽체를 시공하여 구절초, 맥문동을 포함한 20여 종의 종자 식재 후 2년간 식생 환경을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실제 크기의 식생 옹벽을 건설하여 한여름철 식생 및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 표면온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식생 환경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장기 식생이 가능한 블록 내에 식재된 대부분의 식물 생장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 포대를 삽입한 블록 벽체가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여름철의 식생 옹벽과 무식생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온도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 식생 옹벽에 비해 무식생 옹벽의 표면온도가 높게 나타났다. 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의 경우, 무식생 옹벽의 전면벽체에 비해 표면온도 증가율이 작게 나타난 반면, 냉각율은 더 크게 나타나 장기식생이 가능한 전면 식생형 보강토 옹벽은 식생을 통해 열섬효과를 완화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압식 돌기네일의 전단저항 효과 (Shear Resisting Effects of Protruded Nails by Pressure Grouting)

  • 홍철화;이상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7호
    • /
    • pp.13-20
    • /
    • 2017
  • 쏘일 네일링은 원지반의 전단강도와 네일의 인발 전단 저항력을 이용한 지반 보강 공법이다. 쏘일 네일링 공법은 주로 절취사면, 흙막이 구조물 및 옹벽 보강 등에 사용된다. 흙막이 구조물과 옹벽의 경우 네일의 인발저항만을 고려하여 설계하여도 무방하나, 비탈면의 경우 인발은 물론 전단 및 휨 저항까지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발저항만 고려한 보수적인 설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이 네일의 재료, 형상, 시공방법 등의 개선을 통한 인발저항 증대에 관한 연구이다. 실제 쏘일네일로 보강된 지반은 활동면을 중심으로 전단 휨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취약한 그라우트는 파괴되고 보강재와 분리되어 지반은 마찰저항력이 급감하면서 붕괴된다. 따라서 네일과 그라우트체의 분리를 억제하면서 전단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공법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철근 외측에 패커를 설치한 후 가압식 그라우팅을 통해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전단저항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쏘일 네일링 공법에 대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계(境界) 토압계(土壓計)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Boundary Pressure Gauge)

  • 유남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35-143
    • /
    • 1990
  • 암반(岩盤)에 작용하는 응력(應力)을 측정(測定)하는데 사용되는 FLATJACK의 원리(原理)를 이용하여, 흙을 둘러싼 강성경계면(剛性境界面)에 작용하는 연직압력(鉛直壓力)을 측정(測定)할 수 있는 압력계(壓力計)를 개발이용(開發利用)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새로이 제작(製作)된 토압계(土壓計)의 메카니즘, 압력반응(壓力反應)에 대한 보정계수를 얻는 과정 및 모형실험(模型實驗)에 사용한 결과(結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 계기(計器)를 보강토(補强土)옹벽의 원심모형실험(遠心模型實驗)에 장치하여 모형저면(模型底面)의 강성지반(强性地盤)에 작용(作用)하는 연직압력(鉛直壓力)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치(測定結果値)와 사다리꼴 연직응력분포(鉛直應力分布)의 이론치(理論値)를 비교함으로써 이론(理論)의 타당성(妥當性)을 검증(檢證)하였다.

  • PDF

보강재 간격 및 길이가 강성벽 일체형 보강노반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rtical Spacing and Length of Reinforcement on the Behaviors of Reinforced Subgrade with Rigid Wall)

  • 김대상;박성용;김기환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27-35
    • /
    • 2012
  • 국내에 적용되고 있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전면벽체는 보강재의 고정 및 뒷채움재의 유실방지 역할을 하지만, 벽체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역학적 기능은 부족하다. 보강토체를 구성하는 벽체에 휨 및 전단에 대한 저항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개발된 강성벽 일체형 보강노반은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기존 공법과 비교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 측면에서 단점이 부각되어 현장에의 적용은 미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강성벽 일체형 보강노반의 국내 적용성 향상을 목적으로 강성벽의 성능은 확보하면서 경제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 연직 배치 간격 및 길이 변화가 보강토체 전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성벽을 갖는 1/10 축소모형 보강토체 및 높이 3m의 실내 실대형 시험체를 조성하고, 모사 열차하중 하에서의 변형 특성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비록 짧은 보강재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강성벽 보강노반에서 벽체 수평 발생변위 및 침하는 허용한계 수준 이하이었으며, 보강재 연직 배치간격이 30cm에서 40cm로 증가하여도 사용성 측면에서의 성능 수준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속도로 도로부에 시공된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별 안전율과 경제성 검토 (A Study on St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according to Height on the MSE Wall with Pacing Panel)

  • 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54-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도로부의 표준단면을 대상으로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높이별 안전율과 경제성에 대해 비교 검토하였다. 설계기준에 따라 하중조건은 고속도로의 단면 및 형상조건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포장의 사하중과 차량하중을 재하하고 최상단 보강재의 경우 방호벽의 충돌하중을 고려하였다. 보강재의 길이는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0.9H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보강토체의 형상에 따라 지배되는 외적 안정성에 대해 높이의 증가에 따른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지력에 대한 안전율은 보강토 옹벽의 높이에 따라 자중이 증가되기 때문에 급격히 감소되었다. 복합중력식 설계법에 따른 내적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인발 안전율은 증가되고 파단 안전율은 감소되었다. 보강토 옹벽의 높이가 증가될수록 활동력으로 작용되는 수평토압과 저항력으로 작용되는 수직토압이 함께 증가되기 때문에 인발의 안전율은 증가되었다. 돌기형 강재 보강재의 장기 허용인장력은 상수이기 때문에, 높이에 따라 활동력에 대한 안전율은 수평토압이 증가되어 감소되었다. 블록식 보강토 옹벽보다는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경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존 옹벽과 비교하면 5.0 m이상의 높이에서 패널식 보강토 옹벽의 경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약지반 굴착에 따른 지반파괴 억지대책 실내모형 실험 (Model Test of Stabilizing Measures for Ground Failure Due to Soft Ground Excavation)

  • 김재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07-917
    • /
    • 2014
  • 연약지반을 매립후 굴착을 시행할 경우 흙막이벽체를 설치하더라도 배면지반에 지반파괴가 발생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억지말뚝을 적용 후 실내모형 실험을 시행하여 억지효과를 규명하였다. 모형토조내 점토를 충진하고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무보강일 경우와 억지말뚝으로 보강한 경우를 설정하여 굴착에 따른 배면지반의 침하, 간극수압, 토압을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억지말뚝으로 보강할 경우 무보강시와 비교할 때 굴착 단계의 증가와 배면지반의 침하가 감소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간극수압은 보강여부와는 크게 상관없었고, 침하율은 적게 나타났다. 또한, 굴착깊이가 배면지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굴착지점과 가까울수록 최대 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대형 계단식 보강토 옹벽의 지속 하중하에서의 장기변형 거동 특성 (Long-Term Performance of Full-Scale Tiered Geogrid Reinforced Wall under Sustained Load)

  • 유충식;정혜영;이봉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29-38
    • /
    • 2005
  • 토목합성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을 도로 혹은 철도구조물 등 영구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속하중 및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보강토 구조물의 장기변형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설계/시공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실대형 지오그리드 보강토 옹벽에 포설된 지오그리드의 유발 인장변형율에 대한 장기계측 결과를 토대로 장기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3년여에 걸친 계측결과를 분석한 결과 보강토 옹벽에 포설된 보강재의 유발 인장 변형율은 시공완료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위치에 포설된 보강재의 증가가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러한 결과로부터 중요 구조물의 일부로 시공되는 보강토 옹벽의 설계/시공시에는 장기변형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재면과 사질토 사이의 경계면 마찰각 예측식 개발 및 불확실성 평가 (Development and Uncertainty Assessment of Interface Friction Prediction Equation Between Steel Surface and Cohesionless Soils)

  • 이기철;김소연;김동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33-40
    • /
    • 2018
  • 지반구조물에서는 흙과 구조물 사이의 상호 마찰 특성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과 저항 분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지반구조물의 주재료로서 콘크리트 또는 강재가 많이 사용되며, 흙 입자 크기와 비교하여 마찰면의 거칠기 정도에 따라 경계면 마찰 특성이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비신장성 보강재를 사용하는 보강토 옹벽, 말뚝 주면, 옹벽면 등의 지반구조물에 대해서는 흙과 구조물 사이의 마찰특성을 합리적으로 분석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구조물면과 사질토 사이의 마찰특성에 대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식을 제시하고 이 예측식이 가지고 있는 불확실성을 제시하는 것은 지반-지반구조물의 신뢰성 분석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양질의 연구 문헌들에 보고된 흙과 거칠기가 다른 면 사이의 마찰실험결과를 분석하여, 강재와 사질토 사이의 첨두 경계면 마찰각을 구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첨두 경계면 마찰각을 결정하는 주요인자는 경계면의 상대조도, 흙의 상대밀도, 구속압, 한계상태 경계면 마찰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첨두 경계면 마찰각 예측식에 대한 불확실성을 통계적으로 Goodness-of-fit 시험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