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climate

검색결과 882건 처리시간 0.035초

화학사고의 일차 대응을 위한 피해영향범위 산정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Damage Range Calculation for First Response to Chemical Accidents)

  • 이덕재;안재현;송창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9-65
    • /
    • 2017
  • Calculation of the damage impact of chemical accidents is an important element in site, and the initial isolation distance and the protective action distances are significant factors in coping the chemical accident. In this study, three major cities that represent each Province were selected, and the safety distances were calculated considering regional climate conditions.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scribed values in Emergency Response Guidebook. It is concluded that the regional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vapour press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cloud cover should be reflected in estimating the initial isolation distance and the protective action distance.

Volume Transport through the La-Perouse (Soya) Strait between the East Sea (Sea of Japan) and the Sea of Okhotsk

  • Saveliev Aleksandr Vladimirovich;Danchenkov Mikhail Alekseevich;Hong Gi-H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47-152
    • /
    • 2002
  •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of volume transport through the La-Perouse Strait were estimated using the difference of sea level observed at Krillion of Sakhalin, Russia, and Wakkanai of Hokkaido, Japan, during the period of 1975-1988. Historical sea level measurements between Russian and Japanese tide gauge data were normalized using an independent direct volume transport measurement. Volume transport from the East Sea (Sea of Japan) to the Sea of Okhotsk varied from -0.01 to 1.18 Sv with an annual mean value of 0.61 Sv. Monthly water transport rates showed a unimodal distribution with its maximum occurring in summer (August) and minimum in winter (December-February). The annual mean volume transport varied from 0.2 to 0.8 Sv during the period of 1975-1988 with the maximum variance of 0.6 Sv.

Analysis on the Trade-off between an Hydro-power Project and Other Alternatives in Myanmar

  • Aye, Nyein Nyein;Fujiwara, Taka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1호
    • /
    • pp.31-57
    • /
    • 2019
  • Myanmar's current power situation remains severely constrained despite being richly endowed in primary energy sources. With low levels of electrification, the demand for power is not adequately met. Cooperation in energy has been a major focus of future initiative for all developed and developing nations. If we want to solve climate change, and change our energy infrastructure, we need to be innovative and entrepreneurial in energy generation. This paper will help us in examining Bayesian MCMC Analysis for the parameters estimation among the arrival rates of disaster occurrences, firm's expected income-based electricity tariffs, and estimated R&D investment expenses in new energy industry. Focusing on Japan's electric power business, we would like to search the potential for innovative initiatives in new technological energy industry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in Myanmar.

대안적 지역발전론으로서 지역차이발전론 (Regional Differential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Theory)

  • 이재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40-157
    • /
    • 2012
  • 세계화 시대에도 대부분의 세계인들은 각 지역이나 지방이 정체성을 지니고 공생관계 속에서 평화롭게 살기를 원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의 도시 또는 산업지역 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둔 신산업지구, 산업클러스터, 지역혁신체제, 세계도시지역과 같은 신지역주의 발전론은 세계의 몇몇 선진 산업지역에서 유도된 것으로 보편적 지역발전론이 될 수 없다. 본 연구는 대안적 지역발전론으로서 지역차이발전론의 개발을 시도했다. 지역차이발전론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지역 간의 차이 또는 상이한 산업발전이 세계인의 공생과 지역 정체성과 같은 두 가지 핵심적인 발전 가치를 내포하고 있음을 중시한다. 지역차이발전론은 지역의 지리적 요소 중에서 차이우위를 지닌 요소를 기반으로 이에 적합한 지역의 차별적 산업발전을 추구하는 것으로서, 지역의 지리적 요소 중 지역 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위치, 자연환경(지형, 토양, 기후 등), 천연자원, 인구, 교통, 문화, 경관의 차이우위를 중요시 한다. 그리고 지역차이발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관련 기관, 지역주민과 같은 네 주체가 발전목표를 공유하고 협력과 갈등 관계 속에서 상보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 이론은 많은 경험적인 연구를 통해 이론의 보편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 PDF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Generation of High Resolution Scenarios for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Resources (I): Climate Scenarios on Each Sub-basins)

  • 배덕효;정일원;권원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191-2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가 국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고해상도($27km\;{\times}\;27km$)의 SRES A2 시나리오와 LARS-WG를 이용하여 국내 139개 소유역별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고해상도 시나리오는 약 350km 수평해상도의 ECHO-G 자료를 NCAR/PSU MM5를 이용하여 27km 수평해상도로 상세화한 것이다. A2 시나리오는 우리나라의 공간적 강수특성을 비교적 잘 모사하였으나, 한강과 금강유역의 강수량이 적게 모의되는 문제점을 보였다. 이러한 기후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고 유역스케일의 신뢰성 높은 기후시나리오를 생산하기 위해 일기상발생기인 LARS-WG를 선정하고 국내 기후모의에 대한 적요성을 평가하였다. LARS-WG를 이용한 기후모의 결과 월평균최대.최소기온과 월평균강수량은 관측치에 평균에서는 ${\pm}20%$, 표준편차에서는 ${\pm}50%$ 이내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자원 영향평가의 목적으로 적용성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LARS-WG를 이용하여 유역별 시나리오를 생산하고 관측치와 비교한 결과 기후모형에서 모의하지 못하는 지역적인 기후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위성영상 기반 미래 탄소흡수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Carbon Absorption Distribution based on Satellite Image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 나상일;안호용;류재현;소규호;이경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1호
    • /
    • pp.833-845
    • /
    • 2021
  • 탄소흡수량 산정 및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이해는 기후변화 연구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탄소흡수량 산정에 원격탐사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과거의 탄소흡수량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미래 탄소흡수량 변화 예측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CLUE-S 모형을 사용하여 토지이용 변화를 모의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미래 탄소흡수량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RCP 4.5 및 8.5 시나리오에서 탄소흡수량은 각각 7.92, 13.02% 감소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다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한 미래 탄소흡수량 변화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변화와 연계된 생태계서비스 연구 동향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Ecosystem Service Related to Climate Change Using Big-data)

  • 서자유;최요한;백지원;김수경;김호걸;송원경;주우영;박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3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cosystem service patterns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acceleration utilizing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use big data analysis as one of the network of views to identify convergent thinking in two fields: climate change and ecosystem service. The keywords were analysed to ascertain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perceiving problems, policy direction, climate change implications, and regional difference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search keywords of each continent, the centre of ecosystem service research, and the topics to be referred to in domestic resear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keyword centrality of climate change is similar to the detailed indicators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PBES) regulations, content, and non-material ecosystem services. Second, the cross-analysis of terms in two journals showed a difference in value-oriented point; the Ecosystem Service Journal identified green infrastructure as having economic value, whereas the Climate Change Journal perceives water, forest, carbon, and biodiversity as management topics. The Climate Change Journal, but not the former, focuses on future predictions. Third,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continents showed that water and soil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nomy, and thus, play an important role in policy formulation. This disparity is due to differences in each continen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economic and policy issues. This fact can be used to refer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ecosystem services in Korea. Consistent with the recent trend of expanding research regarding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study strategies to scientifically predict and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climate change.

북한의 1월.8월 인체보온지수 분포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January and August Clo-Unit Distribution in North Korea)

  • 강철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7
    • /
    • 2004
  • 1월의 clo 값은 대체로 삼지연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장전 일대의 동해안 지역이 가장 낮게 나타난다. 또한 해안 지역보다 내륙 지역이, 동해안보다 서해안이 clo 값이 높게 나타난다. 이는 지형적 영향과 기온과 풍속의 지역적 차이에 기인한다. 8월에도 삼지연, 해산 일대, 개마고원 등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지형적 영향으로 기온 저하와 풍속의 증가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특히 8월에는 삼지연을 중심으로 북동-남서 내륙지역으로 등치선이 만곡하고, 이 축을 중심으로 한 이외의 지역이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위도, 지형 및 장마 이후의 고온 다습한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과 강한 일사에 의한 지면 복사열의 방출에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중규모 기상모델에 결합된 육지표면 및 토양 과정 모델들의 특성 (Characteristics on Land-Surface and Soil Models Coupled in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s)

  • 박선기;이은희
    • 대기
    • /
    • 제15권1호
    • /
    • pp.1-16
    • /
    • 2005
  • Land-surface and soil processes significantly affect mesoscale local weather systems as well as global/regional climate.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land-surface models (LSMs) and soil models (SMs) that are frequently coupled into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s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detailed analyses on three LSMs, employed by the PSU/NCAR MM5, are provided. Some impacts of LSMs on heavy rainfall prediction are also discussed.

The Air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Division's Program within U.S. EPA's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Princiotta, Frank T.
    • 청정기술
    • /
    • 제2권2호
    • /
    • pp.30-41
    • /
    • 1996
  • Air pollution problems are serious and present significant challenges to the engineering research community. EPA's engineering research programs have shifted from a primary focus on $SO_2$ and NOx pollution control to more complex and more difficult problems such as indoor air quality, air toxics, and global climate change. EPA research engineers are working closely with other research organizations in both the private sector and other federal research organizations to identify, evaluate, and develop cost-effective engineering solutions. The APPCE works closely with the EPA regulatory and regional offices to ensure that the best engineering information is utilized to formulate and implement the Agency's environmental protection prog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