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Safety Index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4초

재해통계기반 풍랑피해액예측함수 개발 : 동해안, 제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edicting Function for Wind Wave Damage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Focused on East Sea and Jeju Island)

  • 추태호;권재욱;윤관선;양다운;곽길신
    • 한국환경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5-172
    • /
    • 2017
  • 현 단계에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고, 그에 대처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재해대응 차원에서 피해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면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자연재해 중 풍랑에 관한 피해액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동해 및 제주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재해연보(1991~2014)의 풍랑 및 태풍피해 이력을 수집하였으며, 물가상승률을 반영하기 위해 2014년 기준으로 피해액을 환산하였다. 또한, 기상청 및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서 파고, 풍속, 조위, 파향, 파주기 등의 기상 자료를 수집하였다. 풍랑피해가 발생했을 때 연안지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2015년 국립해양조사연구원에서 발행한 연안재해노출지수(Coastal Disaster Index; CODI), 연안민감도지수(Coastal Sensitivity Index; COSI), 연안재해영향지수(Coastal Potential Impact Index; CPII)를 반영하였다. 피해 발생 시 기상현황, 지역특성을 나타내는 지수, 피해액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풍랑피해액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fighters

  • Elisabetta Riccardi;Luca Fontana ;Daniela Pacella;Fabio Fusco;Ilaria Marinaro;Giovanna Costanzo;Francesco Vassallo ;Maria Triassi ;Ivo Iavicoli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3호
    • /
    • pp.317-324
    • /
    • 2023
  • Background: COVID-19 pandemic represented a unique stressful event that affected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B)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Monitoring PWB is essential not only to clarify the burden on mental health effects but also to define targeted psychological-supporting measures. This cross-sectional study evaluated the PWB of Italian firefighters during the pandemic. Methods: Firefighters recruited during the pandemic period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sychological General Well-Being Index, during the health surveillance medical examination. This tool is usually used to assess the global PWB and explores six subdomains: anxiety, depressed mood, positive well-being, self-control, general health, and vitality. The influencing roles of age, gender, working activities, COVID-19, and pandemic restrictive measures were also explored. Results: A total of 742 firefighters completed the survey. The aggregate median PWB global score was in the 'no distress"" range (94.3 ± 10.3), which was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studies conducted using the same tool in the Italian general population during the same pandemic period. Similar findings were observed in the specific subdomains, thus suggesting that the investigated population was in good PWB condition. Interestingly,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were detected in the younger firefighters. Conclusion: Our data showed a satisfactory PWB situation in firefighters that could be related to different professional factors such as work organization and mental and physical training. In particular, our results would suggest the hypothesis that in firefighters, maintaining a minimum/moder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consisting of even just going to work) might have a profoundly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신뢰도 지수를 적용한 하천제방의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of Levee Embankment Applying Reliability Index)

  • 안기홍;한건연;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7호
    • /
    • pp.547-558
    • /
    • 2009
  • 일반적인 하천제방의 안정성 평가는 확정론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강우특성, 매개변수 등에 대한 불확실성을 안전 계수를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계수는 모형의 매개변수 및 재료 속성의 다양성을 다루는 공학에 폭넓게 이용되나 임의의 자연 현상의 모든 것을 설명해주지는 않는다. 특히 근래에 들어 발생되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 현상과 사상 유래가 없는 홍수들의 발생은 확정론적인 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추계학적 방법을 도입한 수문량 확충 및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분석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매개변수와 특성인자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추계학적 방법 기반의 대책 수립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 강우변동 생성기법을 이용하여 태풍기와 장마기에 해당하는 6월, 7월과 8월, 9월에 발생 가능한 다양한 무차원 누가강우량곡선을 Monte Carlo 기법을 도입하여 생성하였고 신뢰도 지수를 이용하여 하천제방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강우의 지역적 특성 및 시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어 해당 유역의 홍수대책 수립, 수공구조물 설계 및 분석 등 활용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복소고유치해석에서 모드기여도 인자를 이용한 저주파 스퀼소음 저감 (Low Frequency Squeal Noise Reduction using Mode Participation Factor in Complex Eigenvalue Analysis)

  • 박정민;김현수;윤문영;부광석;김흥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3호
    • /
    • pp.325-33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상용 프로그램 ABAQUS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의 불안정 모드를 알아보기 위한 복소고유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불안정 복소 고유모드에서 가장 진동에너지가 큰 부품을 알아보기 위한 기여도해석과 전체 복소 고유모드와 해당 부품의 부품모드간의 기여도해석을 통해 모드 연성의 가능성이 높은 모드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로터의 2차 굽힘모드와 토크멤버의 3차 축방향 횡모드의 연성에 의해 1.4kHz의 불안정 모드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모드 연성을 차단하기 위해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토크멤버에서 해당모드의 주파수 변화에 대한 감도 해석을 실시하였다. 감도 해석 결과를 토대로 질량 가중에 의한 구조물 동특성 변경을 수행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 불안정 모드가 발생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저감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가용수량 추정 (Estimation of Water Storage in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ry)

  • 이희진;남원호;윤동현;장민원;홍은미;김태곤;김대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6호
    • /
    • pp.1-9
    • /
    • 2020
  • Reservoir storage and water level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accurate drought monitoring and prediction. In particular, the agricultural drought has increased the risk of agricultural water shortages due to regional bias in reservoir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which are major water supply facilities for agricultural wat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available water capacity of the reservoir,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water surface area and water capacity. Remote sensing provides images of temporal water storage and level variations, and a combination of both measurement techniques can indicate a change in water volume. In areas of ungauged water volume, satellite remote sensing image acts as a powerful tool to measure changes in surface water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of reservoir storage and level variations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image combined with hydrological statistical data and the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Water surface areas were estimated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s in Seosan, Chungcheongnam-do from 2016 to 2018. The remote sensing-based reservoir storage estimation algorithm from this study is general and transferable to applications for lakes and reservoirs. The data set can be used for improving the representation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for incorporating lakes into weather forecasting models and climate models, and hydrologic processes.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Focused on Recent Randomized-Controlled Stud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Jin-Sol Yoon;Joonyong Noh;Seonju Ahn;Yun-Gwon Seon;Hong-Wook Choi;Sun-Joong Kim;Jae-Uk Sul;Jae-Hong Kim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40권3호
    • /
    • pp.214-237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TMD). We searched 11 databases to find randomized-controlled trials (RCT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8 and January 2023 that used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to treat patients with TMD.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18 RCTs involving 1,109 patients. Nine studies reported that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the evaluation index post-treatment.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treatment groups receiving acupuncture combined with manual therapy had significantly improved visual analog scale score and dysfunction index than the control groups receiving manual therapy. Moreover, the treatment groups receiving acupuncture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had statistically improved maximum mouth opening than the control groups using Western medicine. In conclusion,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have clinical effects on TMD patients. Given that 11 studies were obtained from the Chinese database, a regional bias w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the included studies had high a risk of bias in terms of randomization, concealment, and blinding.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correct these limitations.

관평천 개발에 따른 장기간 어류 생태적 특성 변화 및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Long-term Changes of Fish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Gwanpyeong Stream Development and the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s)

  • 오자윤;이상재;안광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2-2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09-2019년 기간 동안 대전시 외곽의 도심개발에 따른 인근 하천(관평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구간에서 4회 조사(2009, 2010, 2016, 2019)를 통해 이화학적 수질, 어류 종 조성, 생태 건강성 특성에 대해 장기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하천지역에서 도심개발은 2008년에 이루어졌고, 2012년에는 하천복원사업이 수행되어 하천복원 전과 후의 특성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를 위해 군집수준의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 이용하였고, 어류의 기관(Organ) 수준에서 해부학적 건강도(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서는 중류(St. 2)에서 가장 낮은 탁도와 엽록소(Chl-a)가 측정되었다. 이는 빠른 유속에 의한 물리적 요인 때문으로 나타났다. 어류 조사에서는 총 18종이 채집되었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우점 하는 종(40.6%)으로 나타났다. 하천복원 직후(2016)에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과 충식종(Insectivore species)이 우점, 종 다양도 및 종 풍부도 지수 상승, 생태건강도 지수(FAI)가 상승하여 생태 건강도는 "최상상태(A: 87.5)"로 나타났으나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전 기간에 비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Organ) 분석에 의거한 해부학적 건강도 지수(HAI) 분석에 따르면, 피부손상(Skin)은 상류에서, 신장 손상(Kidney)은 하류 역에서 나타났고, 간(Liver)과 아가미(Gill)의 손상은 모든 지점에서 나타나 해부학적 측면의 건강도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II)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Development of integrated disaster mapping method (II) : disaster mapping with risk analysis)

  • 박준형;김병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1호
    • /
    • pp.85-9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 과소화 대응을 위한 마을 단위 농촌생활서비스 평가 모델의 개발 및 분석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ssessment model of a village-level rural living services for response to rural depopulation)

  • 홍상원;배승종;김동현;김수진;김정태;장태일
    • 농촌계획
    • /
    • 제27권1호
    • /
    • pp.57-70
    • /
    • 2021
  • The degree of benefits of living service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can solve the depopulation problem, a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quantitatively analyze problem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in order to cope with the rural de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ssessment model of a village-level rural living service that reflect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rural villages to evaluate the level of rural living services for response rural depopulation.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lated studies, the evaluation index was composed of seven sectors of education, health, welfare, culture, environment, safety, and convenience, and the assessment model of a rural living service was established. This model was evaluated through a sample survey of 90 villages in Nonsan-si, Seongju-gun, and Pyeongchang-gun. As a result of the rural life services evaluation by Si and Gun, Seongju-gun, which is affected by nearby large cities, has the largest variation by village level and is assessed at a lower level overall than other Si and Gun. As a result of the rural life services evaluation by 7 sectors, in the case of health and welfare, low scores were shown in the assessment model, but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was mid-lev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eongju-gu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ssessment model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 due to the influence of nearby large c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villages corresponding to the top 30% and the bottom 30% of th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sector, it was analyzed that the villages with the highest evaluation results in Pyeongchang-gun in both the assessment model and the level of residents'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data based index and accessibility as well as level satisfaction of residents are necessary.

다중빔음향측심 자료분석에 의한 한국 연안 사퇴의 해역별 지형 특성 (Regional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Sand Ridge in Korean Coastal Waters on the Analysis of Multibeam Echo Sounder Data)

  • 백승균;서영교;정자헌;이영윤;이은일;변도성;이화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1호
    • /
    • pp.33-47
    • /
    • 2022
  • 다중빔측심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 해역에 발달한 해저 사퇴의 분포를 확인하고, 해역별 지형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해양조사원의 황해와 대한해협 수심자료를 이용하여 DEM 자료를 작성한 후 TPI 기법을 적용하여 사퇴의 경계를 정밀하게 추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 해역에 분포하는 총 200개의 사퇴를 확인하였으며, 그들의 규모(폭, 길이, 둘레, 면적, 높이)와 형태(폭/길이 비율, 높이/폭 비율, 선형·분기형, 노출·비노출형)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사퇴의 지역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안 항해안전은 물론 해양지명 선정 지원, 해사골재자원 파악, 수산자원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