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Economie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초

Central Eastern Europe's Pattern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Regional Structure in Market Distribution

  • Seo, Dae-S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6호
    • /
    • pp.17-23
    • /
    • 2015
  • Purpose - Transnational corporations (TNCs) have influenced drastic changes (financial services, manufacturing, labor, technology transfer) in Central Eastern Europe (CEE). This paper examines the indirect changes in the CEE pattern of industrial development and market distribu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ver 25 years, neighboring (or rival) countries competed to attract TNCs as a double-edged strategy for privatization and debt reduc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attra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many countries started to reflect aspects of national capitalism. Countries also began to realize in 2010 that TNCs sought to enter markets with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export-oriented manufacturing. Results - The analysis reveals that TNC investment strategies were aimed at eliminating local competition to acquire industrial "brown fields" to convert into "green fields." CEE countries have since strengthened their national systems and the support of large-scale state-owned enterprises and small and medium-sized start-up enterprises. Conclusions - CEE has changed based on industrial development and a regional structure of TNC market distribution and associated government policies. The pattern toward flexible markets gives countries the ability to further their economies.

검은 황금인가 악마의 저주인가? 아제르바이쟌의 석유와 연줄망 (Black Gold or the Devil's Curse? Oil and Networks in Azerbaijan)

  • 이채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40-656
    • /
    • 2005
  • 주로 수입원유에 의존하는 한국경제의 만성적 불황은 최근 급등하고 있는 수입 원유가에 기인하는 바가 상당히 크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을 감안할 때 풍부한 유전과 가스전을 보유하고 있는 카스피해 연안의 아제르바이쟌은 일부 한국인들로부터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이행경제체제 국가들, 특히 아제르바이쟌을 포함한 카스피해 지역에서 석유 붐을 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당수 국가들이 천연자원은 풍부하지만, 이러한 자원의 혜택이 외국자본과 결탁한 국가의 엘리트에 의해 유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아제르바이쟌은 내부적 연줄망과 외부적 연줄망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외국의 자본은 아제르바이쟌의 알리예프 대통령과 관련된 이러한 사적인 연줄망을 더욱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아제르바이쟌의 경우, 풍부한 부존자원으로 인한 국가수입이 일반국민들의 생황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부존자원으로 인한 증대되는 수입은 개혁의 유인을 감소시키면서, 에너지 분야의 과도한 성장으로 인해 여타 경제 부문에 대한 투자를 밀어냄으로써 이행경제체제의 발전에 장애가 되는 소위 '네덜란드병'을 발생시킬 가능성까지 야기하고 있다.

  • PDF

조선족의 자영업 활동 : 심양시의 두 조선족집거지경제를 사례로 (Small Business of Korean Chinese : The Case of Two Korean-Chinese Enclave Economy in Shenyang City)

  • 이동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7-520
    • /
    • 2008
  • 심양시의 '서탑'과 '만융' 두 조선족 집거지경제가 출현하게 된 배경에는 조선족이 보유하고 있었던 '개인자원', '가족자원' 외에 '국가자원'과 '민족자원'이 있다. 조선족 집거지 경제가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해 온 조선족 이민자와 한국에서 중국에 온 한국인으로 인해서 조선족집거지가 확장되었고, 국가가 한국인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조선족집거지경제를 장려하였고, 또 조선족 자신이 한국에서의 노무 경험을 통해서 자본, 기술, 정보 등을 습득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가운데서 한국인이라는 '민족자원'이 가장 중요하였다. 한국인이 없었다고 하면 조선족집거지경제가 성립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족과 한국인이라는 '이중적 민족자원'으로 인해서 '이중적 민족집거지경제'가 나타내게 되었고, 이로 인해서 조선족 자영업자는 한국인 자영업자와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따라서 조선족 자영업자는 한국인 자영업자와의 협력을 강화하여 민족집거지경제를 발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해서 민족집거지 바깥으로 경제활동을 확장해 나가야 하게 되었다. 이것은 또한 지리적 집거에서 네트워크에 의한 집거로의 민족집거지경제의 발전을 의미한다.

  • PDF

공항투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Spillover Effects of Airport Investment on Regional Production)

  • 이영혁;유광의;김민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50
    • /
    • 2005
  • 일찍이 1980년대 미국경제가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난관에 봉착했을 때 그 이유 중 하나로 공항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시설 투자의 부족을 지적하는 사람이 많았다. 이후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와 생산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많이 행해졌으나 그 결과는 연구자에 따라 상당부분 상이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공공투자를 고려한 지역생산함수를 이용하여, 공항에 대한 투자가 지역총생산(GRDP)에 미치는 여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그 투자효과를 지역 내로 국한하지 않고 타 지역의 생산에 미치는 파급효과(spillover effect)까지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 투자 스톡을 별도의 독립변수로 분리 채택한 생산함수를 지역별로 횡단면자료와 시계열자료를 합한 패널자료(panel data)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총량자료(aggregate data)를 이용하여 산업전체 생산에 대해 분석한 겨롸는 지역 내${\cdot}$외의 GRDP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파급효과에서 모두 정(+)의 관계를 보여 공항투자가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7개 산업부문별로 분석한 결과는 일정하지 않았다. 즉, 산업의 특성에 때라 공항투자의 직${\cdot}$간접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대한 투자가 지역 내${\cdot}$외의 산업구조를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지역경제의 구조조정에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Comparis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mong Major Asian Countries in the Modern Era

  • Chiu, Rebecca L.H.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23-31
    • /
    • 2013
  • The regional economic crises in the late 1990s and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the late 2000s had reduced the differences in housing policies among the major Asian economies.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and compare housing welfare policy shifts between subsidizing home owning and subsidized renting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conomic and social roles of housing, the lock-in effect of policy processes, and the welfare provision strategy of the East Asian economies. It argues that the impact of economic crises on housing welfare policy in East Asia depended on the dur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crisis and the length and severity of the subsequent economic depression. Another important factor was the role of housing in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especially whether housing market development was considered as an engine of economic growth or revival, and whether the tools of housing policy caused the economic crisis. The loss of impetus for home ownership drive and the new emphasis on rental subsidy provision are new policy trends. Nonetheless, the economic revival since mid-2009 has caused the re-introduction of home ownership subsidies for quenching the housing affordability problems and enhancing home ownership making use of the strong economic conditions.

The Assessment of Occupational Injuries of Workers in Pakistan

  • Noman, Muhammad;Mujahid, Nooreen;Fatima, Ambree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52-461
    • /
    • 2021
  • Background: The prevailing global work scenario and deteriorating health facilities in economies indulge the risk perspective in the labor market model. This is the reason that the risk factor is cautiously attributed to wages and labor market efficiencies specifically in developing and emerging economies. In this respect, Occupational Injuries of Workers (OIW) is considered essential to demonstrate the risk and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OHS) setups given the constraints of the labor. Intuitively, the prim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ssessment of the labor market considering the OIW through the indicators of industry division,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distribution, adopted treatment, gender and regionality. Methods: The assessment strategy of the study has been categorized into trend analysis and Index Value Calculation (IVC) segments employing the data from 2001 to 2018. Results: The pattern of the selected indicators of the OIW has been observed in the available data while the IVC estimations are considered through time and reference categories. The findings of both exercises revealed absolute and relative heterogeneities at both industry and occupational levels. Conclusion: The consistency for gender and regional distribution of both assessments points out the need for effective policy initiatives. The study suggests separate analyses of industry and occupa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HS setups and up-gradation in Pakistan.

자동차공업의 입지와 지역발전에 관한 연구 -전남 율촌 산업단지를 사례로- (A Study on the Regional Development Effects by the Location of a New Automobile Assembly Plant -In the Case of Hyundai Motors Co. in Yulchon Industrial Complex, Chonnam Province-)

  • 이정록;이상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7-98
    • /
    • 1998
  • 본 연구는 제조업 중에서도 지역성장 및 연관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가장 큰 부문인 자동차 산업을 대상으로 새로운 조립공장 입지가 지역경제의 성장 및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경계지리학적 관점에서 논의했다. 우리 나라의 대표적 신산업지구로 발전하고 있는 광양만권의 율촌 산업단지를 사례로, 한국 최대의 자동차 조림기업인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조립공장 입지가 광주 전남의 자동차산업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그리고 보다 미시적 수준에서 광양만권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초래할 것인지 탐색해보고자 했다. 노동집약적 특성과 자본 및 기술집약적 특성을 동시에 지니는 자동차 조립 및 부품생산 부문을 대상으로 첫째, 조립부문-부품생산부문의 공간적 비공간적 연계 특성을 규명하고 둘께, 광주 전남지역 자동차산업의 현 주소 및 이에 대한 신설 조립공장의 파급효과를 분석하며 셋째, 신설 조립공장 입지에 따른 광양만권 역내의 부품산업 발전 가능성을 전망함으로써 지역개발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PDF

Maritime Transport Services Liberalization: Directions for Northeast Asia

  • Jun, Il-Soo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26
    • /
    • 2001
  • Competitive and reliable maritime transport services benefit the economy as a whole, and are key efficiency factors for the production of both goods and services. Although maritime transport sector is very liberalized compared to many other service sectors, certain obstacles must be overcome before full liberalization of the maritime transport can be realized. Particularly, maritime transport services in Northeast Asia are regulated by a complicated and outdated system. To remove these barkers two approaches can be used: a regional trading arrangement approach and a multilateral approach via WTO. However, multilateral efforts are not likely to be successful in achieving any concrete progress towards maritime transport liberalization in the short- to medium-term in Northeast Asia. Consequently, it may be the best to take the following two progressive approaches and to make them work towards liberalization of the maritime transport market: a bilateral approach and a trilateral approach. A gradual process of liberalization would expand the market, help operators achieve economies of scale, promote the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enhance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hipping services, and promote the long-term interests and welfare of the user by improving service quality and diversifying services. A liberalized and integrated maritime transport market in Northeast Asia should achieve both of these long-run policy objectives by benefiting both the transport service users and the transport service providers. In order to move the maritime transport liberalization programs as quickly as possibl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Regional Maritime Transport Liberalization Committee." We suggest it to be a Tripartite (China, Japan and Korea) Committee initially, which can later expand its membership to include other Northeast Asian countries.

  • PDF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Theoretical Approaches to Regional Transformation: Path Dependence Theory and Regional Resilience Concept)

  • 신동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0-83
    • /
    • 2017
  • 경제성장에는 항상 지역간 격차가 있어왔다. 1960년대 이후 발생하기 시작한 선진 공업국의 탈 공업화로 인한 사회 경제적 위기로부터 회복하는 데에도 지역간, 도시간 상당한 격차가 있어 왔다. 이러한 격차에 대한 전통적 이론은 "자원의 불균등한 배분"으로 설명하곤 하였다. 그러나 유사한 수준의 자원을 가진 지역간에도 상당한 성장격차가 있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그러한 전통적 이론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성장과 회복에 있어서의 격차를 설명하는 새로운 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진화론적 경제이론에 근거한 경로이론과 회복력 개념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이론의 출현 배경과 특징, 유용성 등을 비교 분석한다. 이 두 이론은 아직 객관화된 판단의 근거를 개발하지는 못했지만, 종전의 이론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설득력이 있어서, 비(非)계량적 연구방법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 우리 학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선진자본주의사회에서의 산업구조변화와 신흥공업국에서의 산업화에 따른 지역발달문제 (The Industrial Structural Change and Regional Development : The Rise of New Industrial Spaces in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in the Newly Industralizing Countries)

  • 고대경
    • 지역연구
    • /
    • 제8권1호
    • /
    • pp.119-130
    • /
    • 1992
  • Many of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since the 1970s have been experiencing the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is, from Fordism to post-Fordism, or to "flexible production system".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undergoing some chang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industrial production systems. During the Fordist mass production period, the manufacturing belt was the core region of the production system. As the system shifts to flexible production system of which characteristics are veritcal disintegration, emphasis for JIT(just-in-time) delivery system, part-time and short-time labor contracts, design-intensive industries, etc, the new system requires the new production core and has produced the new industrial spaces, such as Sunbelt cities, suburbs, small-or medium-sized cities,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the perspective of global system, the Fordist production system made th NICs developed, because the mass production required many unskilled and low-wage workers. As the NICs exports of manufactured goods have incredibly expanded during the 1970s,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have become threatened. The industriablized countries have restructured their economies and international policies. Such restructures resulted in the economic depression of the NICs. The investment pattern of the industrialized countries has changed and particularly those industries adopting the Post-Fordism have invested from the NICs to the peripheral areas of their own countries or toward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which have much lower wage workers. The investment pattern of the NICs is also undergoing some changes like from metropolitian areas to small or non-metropolitan regions. The regional development since the post-Fordist production is still going on, thus it is not possible to generalize the tendency. That could be a particular phenomenon or a stage in the long-term cycle. But the regional development in the world system since 1980s definitely shows the different pattern.t patte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