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active surgery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4초

전체 각막난시에서 전면과 후면 각막난시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in Total Corneal Astigmatism)

  • 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7-382
    • /
    • 2014
  • 목적: 전후면 각막난시와 전체 각막난시를 측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후면 각막난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목적으로 방문한 22~28세의 31명(3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막질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고, 회전 샤임플러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술 전에 전체 각막난시와 전후면 각막난시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굴절력이 가장 큰 경선과 가장 작은 경선의 차이로 난시의 크기를 계산하였고, 가장 가파른 경선의 방향에 따라 직난시와 도난시로 분류하였다. 결과: 전체 각막난시와 전후면 난시의 평균은 $1.13{\pm}0.76D$, $1.51{\pm}0.84D$, 그리고 $-0.59{\pm}0.17D$ 였다. 후면 각막난시의 크기는 대상자들 모두 -1.0 D에서 -0.25 D에 분포하였고, 전체 각막난시의 크기를 100으로 봤을 때 전면 각막난시의 크기는 $142.9{\pm}29.9%$ 였다. 전체 각막난시는 전면난시의 크기와 가장 높은 상관성(y=0.871x-0.184, $R^2=0.982$)을 보였고, 후면 난시와는 높은 음의 상관성(y=-2.974x-0.184, $R^2=0.698$)을 보였다. 대상자들의 각막전면과 후면난시는 모두 직난시에 분류되었다. 결론: 20대 대상자의 전면과 후면 각막난시는 각각 0.2 D에서 -3.8 D, 그리고 -1.0 D에서 -0.25 D의 크기를 가졌고, 전면과 후면난시 모두 직난시의 비율이 높았다.

노안을 위한 정밀 모형안 설계 (Optical Models of the Finite Schematic Eyes for Presbyopia)

  • 박상배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39-447
    • /
    • 2008
  • 노안환자를 위한 백내장 수술, 노안교정을 위한 각막절제술, 노안교정용 콘택트렌즈 및 안경착용과 같은 다양한 조건하에서 정확하게 시력과 상질을 형상화하는 정밀 노안 모형안이 필요하다. 노안에 대해 최근에 발표된 임상 자료들을 이용하여 광학적, 해부학적으로 실안에 근접하며, 노안을 위한 새로운 정밀 모형안을 설계하였다. 연령의 증가에 따라 달라지는 안 매개변수들을 각각 4개의 연령대별로 다르게 적용하였다. 새 모형안에는 알파각, 편심동공, 비구면 GRIN 수정체 및 비구면 망막 면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안들은 노안을 위한 저시력 보정용구, 누진가입도렌즈, 인공수정체 그리고 콘택트렌즈와 같은 시기광학계의 설계는 물론 임상적으로 망막 상의 질을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ifocal versus Bifocal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Cataract Surgery or Refractive Lens Exchange: a Meta-analysis

  • Yoon, Chang Ho;Shin, In-Soo;Kim, Mee Kum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4호
    • /
    • pp.275.1-275.15
    • /
    • 2018
  • Background: We compared the efficacy between trifocal and bifocal diffractive intraocular lens (IOL) implantation. Methods: Through PubMed, MEDLINE, EMBASE, and CENTRAL, we searched potentially relevant articles published from 1990 to 2018. Defocus curves, visual acuities (VAs) were measured as primary outcomes. Spectacle dependence, postoperative refraction, contrast sensitivity (CS), glare, and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were measured as secondary outcomes. Effects were pooled using random-effects method. Results: We included 11 clinical trials, with a total of 787 eyes (395 subjects). The trifocal IOL group showed better binocular distance VA corrected with defocus levels of -0.5, -1.0, -1.5, and -2.5 diopter than the bifocal IOL group (All $P{\leq}0.004$). The trifocal IOL group showed better monocular uncorrected distance and intermediate VAs (mean difference [MD], -0.04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95% confidence interval [CI], -0.07, -0.01; P = 0.006 and MD, -0.07 logMAR; 95% CI, -0.13, -0.01; P = 0.03, respectively). Postoperative refraction, glare, CS, and HO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Conclusion: The overall findings indicate that trifocal diffractive IOL implantation is better than the bifocal diffractive IOL in intermediate VA, and provides similar or better in distance and near VAs without any major deterioration in the visual quality.

Age and Sex Related Changes in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orneal Curvature in Korean Young Population with Orbscan II Topography System

  • Lee, Dong-Hee;Kim, Douk-Hoon;Park, Seung-Hwan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1호
    • /
    • pp.68-7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using the Orbscan II topography system, the influence of age and sex related changes on the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orneal curvature, more specifically the fine structure of the cornea, in a Korean young population. The Orbscan II topography system is a computer-assisted slit-beam scanning technology that can map the anterior section of the cornea. The mean central corneal thickness of all subjects was $547.532{\pm}44.529\;{\mu}m$.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p>0.5) in the mean central corneal thickness between males and females. Sex and age related changes in the mean central corneal thickness had no specific statistical difference (P>0.5).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nterior corneal curvature and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in all subjects, except for the twenty year olds. However, the thickness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central corneal and the eight paracentral corneal thicknesses had strong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 subjects. Also age and sex related changes in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the anterior corneal curvature in all subject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from 20-26 years old (p>0.05). This information could be a suitable reference basis for future studies in the young population of Asia and for the development of examination tools for corneal refractive surgery.

의료전달체계 변경이 3차 의료기관 안과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change of mandatory referral system in an ophthalmology of tertiary care medical institution)

  • 김양수;유승흠;오현주;권오웅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8-104
    • /
    • 2002
  •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ndatory referral system in July 1, 2000, the effect to the medical utilization of outpatient clinic and medical income in ophthalmology of tertiary care medical institute, S Hospital in Seoul was evaluated for 6 months before(1999. 12$\sim$2000. 5) and after(2000. 12$\sim$2001. 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outpatients was reduced by 16.6%. The number of patient with blindness low vision, retina, glaucoma increased and that of patient with accommodation refractive error, cataract decreased. 2. The number of cataract patients was reduced by 36.6%. The major location of patient's address was changed to nearer to the hospital. The number of cataract surgery reduced in 4.1%, the waiting time reduced in 42.2%, however surgery time increased in 20.2% and number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reased in 11.4%. 3. The income of outpatient clinic and cataract surgery reduced. Among items of outpatient clinic income, the most increased was ocular examination and the most reduced was injection and drugs. Among items of cataract surgery income, the most increased was operation fee and the most decreased was doctor's fee. In conclusion, for the patient, due to the lowered density of outpatient population more space was provided to the patients with more severe disease entity such as blindness' low vision, retina and glaucoma. For the hospital,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ophthalmology was not found, however that for creation of the special clinics dealing with more severe disease entity was found. Due to reduced income and increased need of financial investment for the equipment and manpower for the more severe disease entity, the ophthalmology of tertiary care medical institute is faced with financial disaster.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cost of medical practice of more severe disease entity be raised to achieve the success after change of mandatory referral system in ophthalmology.

  • PDF

측정 범위에 따른 각막비구면계수의 비교 (Comparison of Corneal Asphericity with Measuring Range)

  • 전인철;정우재;강지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69-476
    • /
    • 2012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각막의 직경과 방향에 따른 비구면계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안과적 질환이 없고 굴절교정 수술 경험이 없는 성인 57명(평균 $27.0{\pm}4.8$세, 남 20명, 여37명)을 대상으로 각막비구면계측기(Pentacam, Oculus Co., Germany)을 이용하여 각막의 직경과 방향에 따른 비구면계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각막정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비구면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측정된 모든 직경에서 방향별 비구면계수의 크기는 상측> 비측> 하측> 이측 순으로 나타났다.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에 따른 비구면계수와 변화량은 강주경선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각막의 비구면계수는 각막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각막정점을 기준으로 모든 방향에서 측정된 수치나 증가량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막형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RGP 렌즈 제조와 피팅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Application of Terahertz Spectroscopy and Imaging in the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 Zhang, Ping;Zhong, Shuncong;Zhang, Junxi;Ding, Jian;Liu, Zhenxiang;Huang, Yi;Zhou, Ning;Nsengiyumva, Walter;Zhang, Tianfu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4권1호
    • /
    • pp.31-43
    • /
    • 2020
  • The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erahertz electromagnetic waves in the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was examined. Four samples of incomplete cancerous prostatic paraffin-embedded tissues were examined using terahertz spectral imaging (TPI) system and the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the absorption coefficient and refractive index of prostate tumor, normal prostate tissue and smooth muscle from one of the paraffin tissue masses examined were reported. Three hundred and sixty cases of absorption coefficients from one of the paraffin tissues examined were used as raw data to classify these three tissues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Least Squares Support Vector Machine (LS-SVM). An excellent classification with an accuracy of 92.22% in the prediction set was achieved. Using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of THz reflection signal intensity from sample surface and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sample, an attempt was made to use the TPI system to identify the boundaries of the different tissues involved (prostate tumors, normal and smooth muscles). The location of three identified regions in the terahertz images (frequency domain slice absorption coefficient imaging, 1.2 THz)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he tissue tumor region had a distinctively visible color and could well be distinguished from other tissue regions in terahertz images. Results indicate that a THz spectroscopy imaging system can be efficiently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posed advanced computer-based mathematical analysis method to identify tumor regions in the paraffin tissue mass of prostate cancer.

근시도가 나이에 따라 유발되는 고위수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yopic Degree on the Change of Higher-order Aberrations Induced by Aging)

  • 유남열;박경희;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53-362
    • /
    • 2014
  • 목적: 나이의 증가에 따른 고위수차의 변화를 분석하고, 근시도가 나이와 고위수차 변화와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Hartmann-Shack 방식의 LADARWave 장비를 이용하여 20세에서 60세 931안의 고위수차를 분석하였고, 현성굴절검사를 통해 측정된 근시도가 고위수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코마수차, 수직코마수차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직난시수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코마수차, 수직코마수차, 구면수차, 수직트레포일수차, 수평트레포일수차, 수직난시수차, 수평난시수차, 수직테트라포일수차와 나이와의 상관관계는 근시도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수평코마수차와 수평테트라포일수차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근시도수가 나이에 따라 유발되는 고위수차의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혔으며 시력교정술이나 시력교정용구 사용 시 시력의 질을 위하여 이의 고려를 제안하고자 한다.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변화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VDT Work)

  • 서은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5-291
    • /
    • 2012
  • 목적: VDT 작업이 조절기능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절기능 이상과 전신 및 안질환이 없고 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 48명(남 16명, 여 32명)을 대상으로 VDT 작업 전과 2시간 작업 후의 굴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 상대조절력과 최대조절력, 순목 횟수 값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굴절교정 도수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든 검사를 실시하였고 VDT 증후군의 자각증상에 관련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시간동안 VDT 작업 후의 굴절력변화는 0.23 D 증가하였고, 조절래그 변화량은 우안에서는 $0.17{\pm}0.42D$, 좌안에서는 $0.23{\pm}0.47D$(t=2.26, p=0.03) 만큼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절용이성과 상대조절력과 조절력은 VDT 작업 후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순목 횟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VDT 작업 후 안정피로가 33.4%, 어깨통증이 33.3%의 자각증상을 보였다. 결론: 2시간 VDT 작업 시간에 따라 조절래그는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조절기능의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각적 부담을 주는 증상으로는 안정피로가 가장 높은 자각도를 보였다.

각막절개 위치와 크기에 따른 난시교정인공수정체의 난시교정의 정확성 (Accuracy of Astigmatic Correction Using Toric Intraocular Lens by Position and Size of Corneal Incision)

  • 박우경;김만수;김은철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26-134
    • /
    • 2019
  • 목적: 각막절개 방법에 따른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후의 잔여난시를 비교하여 그 방법에 따른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상과방법: 2014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수정체초음파유화술 및 난시교정인공수정체삽입수술을 받은 98명의 환자, 9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각막절개창은 모두 가파른 난시 축에 내었고, 각막 상측에 절개창을 낸 직난시 군을 1군(n=54), 각막의 이측에 절개창을 낸 도난시 군을 2군(n=44)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2.75 mm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절개창을 낸 군(소그룹 1)과 2.2 mm 블레이드를 사용한 군(소그룹 2)의 두 소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술 전 굴절률 및 자동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술 후 잔여난시값과 난시값의 감소량을 계산하였다. 결과: 술 후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굴절난시, 각막난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각막난시값 감소량은 1군과(0.38 ± 0.30D), 2군에서(0.48 ± 0.38D)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44).술 후 잔여난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군과 2군 모두 2.75 mm 각막절개(각각 0.46 ± 0.31D, 0.61 ± 0.36D)는 2.2 mm (각각 0.25 ± 0.25D, 0.23 ± 0.29D)에 비해 각막난시값 감소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시 각막절개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난시 유발의 크기를 정확하게 적용하여 계산하면 술 후 난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