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active error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7초

7세부터 9세 사이의 한국인 어린이의 굴절 이상 (Refractive Error in 7-9 Year-old Korea Children)

  • 김덕훈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203-208
    • /
    • 2014
  • Purpose. To analysis the refractive error in 7-9 year-old Korea children. Methods. From July 2013 to June 2014, two hundred eighty two subject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ometr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47.58%, emmetropia 42.35%, astigmatism 32.33%, and hyperopia 8.76%. Myopia was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axis of astigmatism was with the rule in 65%, against the rule in 31.5%, and oblique in 3.5%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7 year and 9 year of mal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10). Also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7 years and 9 years of femal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36). However,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spherical equivalent power(p>0.5). Conclusions. In this study,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the axis of astigmatism was the with- the- rule. The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was similar results between male and female. However The refractive error was different style with aging.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error at young children can provide the information of useful diagnosis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acuity.

굴절이상에 의한 각막 변화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Corneal Variation by Refractive Error)

  • 이혜정;오현진;정미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85-490
    • /
    • 2014
  • 등가구면 굴절력에 따른 각막굴절력과 각막난시도, 각막 난시 축의 변화도 분석을 통하여 굴절이상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세 이상의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KR-8800을 이용하여 등가구면 굴절력, 각막굴절력, 각막난시도를 측정하였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3.01{\pm}3.79D$로. 각막 굴절력은 $43.79{\pm}1.60D$로, 각막 난시도는 $-1.17{\pm}0.79D$로 측정되었다. 전체 대상자의 등가구면 굴절력 중 근시안은 61%, 정시안은 22%, 원시안은 17%이며, 각막난시가 0.75D 이상은 63%로 나타났으며, 직난시는 84.13%, 도난시는 9.52% 순으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원시에서 근시로 진행함에 따라 각막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5, p=0.01). 성인에 있어서 굴절이상의 원인은 각막 굴절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고, 굴절이상의 대부분은 근시이며 굴절이상도가 더 커질수록 각막 굴절력이 steep 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이 굴절이상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올바른 시기능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등학생들의 굴절이상과 시력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은규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41-143
    • /
    • 2008
  • 목적: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시력과 굴절이상과의 관계를 조사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 3, 6학년 200명(400안)을 선정하여 나안시력과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근시도는 증가하고, 시력은 감소하였고, 1차 회귀직선방정식은 Y=2.1471X-3.1484 (F=313.9377, P<0.001)로 나타났다. 원시도와 시력에 대한 1차 회귀직선방정식은 Y=-0.6854X+1.1764 (F=7.054, P<0.01)로 나타나 원시도와 시력 감소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시력과 난시도의 관계는 Y=2.2509X-2.8738 (F=21.7952, P<0.001)로 나타나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결론: 근시, 원시, 난시 모두 시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 PDF

성공적인 굴절교정수술자 안구상태분석에 대한 연구 (The Analysis of the State of Successful Refractive Surgery's Eye)

  • 장우영;이정영;박정식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23-230
    • /
    • 2014
  • Purpose. Scheduled calibration of refractive error's have various refractive surgery, and a side effect of post refractive surgery for refractive errors's before refractive surgery, by analyzing the eye condition of the refractive error's good state, it tri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fractive error's refractive surgery. Methods. In response to 60 people preoperative data 20-30 generations of age, were analyzed for eye conditions. Results. IOP, thickness of the cornea, liquid leakage amount inspection, the corneal endothelium inspection, the size of the pupil, have been conducted auto refraction test and showed a numerical value in most normal range. Conclusion. Surgery can be of individual differences of patients,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full normal range, to the surgery based on the case of this study, the side effects of patients after surgery is expected to be prevention.

굴절이상을 결정하는 안광학 요소에 관한 연구 (Study of Ocular Components in Determining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

  • 서용원;최영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 17세에서 30세사이의 38명을 대상으로 Vision Tester로 자각적 굴절이상을 측정하고, 난시가 있는 사람은 등가구면도수틀 취했다. 각막 굴절력과 곡율반경은 Baush & Lomb사 Keratometer로 측정했으며 전방의 깊이, 수정체의 두께, 초자체의 깊이, 안축의 길이 등은 A-mode Ultrasonography로 측정 했고, 각막 두께는 Phakometry로 측정했다. 굴절이상과 안광학요소의 상관계수를 구한 결과 안축의 길이, 초자체의 깊이, AL/CR 비와는 각각 0.95, 0.96, 0.95로 아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각막곡율반경, 굴절력, 수정체의 두께와는 각각 0.60, 0.66, 0.67로 나타났으며, 각막의 두께와는 괄목할 만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공기정합 스테이지의 위치결정오차 분석 및 보정 (Analysis and compensation of positioning error for aerostatic stage)

  • 황주호;박천홍;이찬흥;김승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8-391
    • /
    • 2002
  • A 250mm stroke aerostatic stage, which detects position with laser scale and is driven by linear motor, is made and analyzed positioning error in 20$\pm$ 0.5 $^{\circ}C$ controlled atmosphere, aiming at investigating positioning characteristic of ultra-precision stage. We prove this aerostatic stage has a 10nm micro step resolution by experiment. By means of analyzing laser interferometer system, the scale of measuring error is about 0.2-0.4$\mu\textrm{m}$ according to refractive index error from missing the temperature change. To improve laser interferometer system, compensate refractive index error using measuring data from thermocouple. And, confirm 0.10$\mu\textrm{m}$ repeatability and 0.13 $\mu\textrm{m}$ positioning accuracy using the compensating refractive index. Also, we confirm 0.07 ${\mu}{\textrm}{m}$ repeatability of the stage using capacitive displacement sensor.

  • PDF

한국 어린이의 연령에 따른 굴절이상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Aging in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 김덕훈;김대년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39-246
    • /
    • 2014
  • Purpose.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aging in young children in South Korea. Methods : From July 2013 to June 2014, five hundred subjects( 250 male subjects, 250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7 and 12 years) were performed in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Refraction. Myopia, hyperopia, astigmatism, and anisometropia were defined as spherical equivalent(SE)${\leq}-0.50$ diopters, SE ${\geq}+2.00$ D, cylinder error ${\geq}0.75$ D and SE difference${\geq}1.00$ D between binocular eyes, respectively. Results. The refractive error by spherical equivalent among all subjects was myopia 80.41%, astigmatism 44.89%, emmetropia 18.27%, anisometropia 16.92%, and hyperopia 1.32%. The prevalence of myopia increased with age. but hyperopia was decrease. Myopia and astigmatism were much more common in male than femal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Emmetropia and hyperopia were much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s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 prevalence of spherical equivalent was much common from -1.00 diopter to 0.99 diopter. On the other hand, the prevalence of myopia was much more than hyperopia.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9 year and 10 year of femal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5). In all another group of age, there was not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ing in spherical equivalent power(p>0.5).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ale and female as age in the spherical equivalent power(P>0.01). Conclusions: Myopia was the most common refractive error in Korea young children, while hyperopia was decreased after 7 years.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ge between male and female at spherical equivalent power(P> 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the refractive error as age at young children can give the useful diagnosis data for the correction of visual function.

누진렌즈안경 착용자의 가입도와 굴절이상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Change of Refractive error and Addition in Progressive Eyeglasses Lens Wearers)

  • 주석희;심문식;심준범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9-404
    • /
    • 201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누진렌즈 안경 착용자의 굴절이상 변화를 연구하였다. 방법: 2003년부터 2013년까지 광주광역시 소재의 안경원을 방문한 43~69세의 노안인 사람 중에 안질환이 없고, 누진렌즈 안경을 처방받은 244명을 대상으로 원거리 굴절상태와 연령대에 따른 원용굴절력과 가입도의 굴절이상 변화를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굴절이상에 따른 원용굴절력의 변화는 정시안 +0.10 D, 근시안 +0.07 D, 원시안 +0.23 D로 나타났고(p=0.000), 가입도의 변화는 정시안 +0.22 D, 근시안 +0.29 D, 원시안 +0.17 D로 나타났다(p=0.003). 연령대에 따른 굴절력 변화는 43~49세의 경우 원용굴절력 +0.08 D, 가입도 +0.30 D로 나타났고, 50~59세의 경우 원용굴절력, +0.17 D, 가입도 +0.20 D로 나타났으며, 60~69세의 경우는 원용굴절력 +0.15 D, 가입도 +0.14 D로 나타났다(p=0.046, p=0.006). 결론: 누진안경 착용자의 원용굴절력과 가입도의 변화는 모든 굴절상태와 연령대에서 점점 (+)방향으로 증가됨을 나타내었다.

굴절이상도와 난시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spherical refractive error and astigmatism)

  • 이정영;김재도;김대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39-446
    • /
    • 2004
  • 근시의 발생 및 증가의 원인이 지속적인 망막의 흐린 상에 의한다는 것이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져 왔다. 실제 임상에서는 미교정 난시가 망막의 흐린 상을 유발하는 한 가지 원인이 될 수 있다. 난시와 굴절이상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8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N-vision 5001 자동굴절검안기(Shinnippon)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였다. 직난시와 사난시의 그룹에서는 구면굴절이상도와 난시의 상관계수와 통계값은 각각 r=0.53 (ANOVA F=32.40, N=87, P<0.05)과 r=0.53(ANOVA F=5.14, N=15, P<0.001)으로 난시도수의 증가와 함께 굴절이상도수가 증가하지만 도난시와의 상관계수는 r=0.09 (ANOVA F=0.18, N=22, P<0.001)로 구면굴절이상도와 난시와의 상관관계는 미미한 것을 나타났다. 그룹 전체의 난시도수와 굴절 이상도는 각각의 그룹의 상관도 보다 높게 나타났다(r=0.56: ANOVA F=77.80, N=173, P<0.001) 그룹 전체에서 난시도수와 굴절이상도의 상관관계가 유의적 수준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미교정 난시가 구면굴절이상의 발생 및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등학생의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of Myopic Refractive Error and Ocular Components in Primary School Students)

  • 전순우;이현주;황혜경;박천만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9-303
    • /
    • 2012
  • 목적: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근시성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는 근시성 굴절이상 62명을 대상으로 굴절검사, 각막곡률반경,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안축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생의 근시성 굴절이상은 안축장(저학년 r=-0.653, p=0.000/고학년 r =-0.742, p=0.000), AL/CR비(저학년 r=-0.571, p=0.000/고학년 r=-0.852, p=0.000)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초등학생의 근시성 굴절이상은 안축장과 및 AL/CR비와 상관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